25 처녀에 대하여는 내가 주께 받은 계명이 없으되 주의 자비하심을 받아서 충성스러운 자가 된 내가 의견을 말하노니
26 내 생각에는 이것이 좋으니 곧 임박한 환난으로 말미암아 사람이 그냥 지내는 것이 좋으니라
27 네가 아내에게 매였느냐 놓이기를 구하지 말며 아내에게서 놓였느냐 아내를 구하지 말라
28 그러나 장가 가도 죄 짓는 것이 아니요 처녀가 시집 가도 죄 짓는 것이 아니로되 이런 이들은 육신에 고난이 있으리니 나는 너희를 아끼노라
29 형제들아 내가 이 말을 하노니 그 때가 단축하여진 고로 이 후부터 아내 있는 자들은 없는 자 같이 하며
30 우는 자들은 울지 않는 자 같이 하며 기쁜 자들은 기쁘지 않은 자 같이 하며 매매하는 자들은 없는 자 같이 하며
31 세상 물건을 쓰는 자들은 다 쓰지 못하는 자 같이 하라 이 세상의 외형은 지나감이니라
32 너희가 염려 없기를 원하노라 장가 가지 않은 자는 주의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주를 기쁘시게 할까 하되
33 장가 간 자는 세상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아내를 기쁘게 할까 하여
34 마음이 갈라지며 시집 가지 않은 자와 처녀는 주의 일을 염려하여 몸과 영을 다 거룩하게 하려 하되 시집 간 자는 세상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남편을 기쁘게 할까 하느니라
35 내가 이것을 말함은 너희의 유익을 위함이요 너희에게 올무를 놓으려 함이 아니니 오직 너희로 하여금 이치에 합당하게 하여 흐트러짐이 없이 주를 섬기게 하려 함이라
36 그러므로 만일 누가 자기의 약혼녀에 대한 행동이 합당하지 못한 줄로 생각할 때에 그 약혼녀의 혼기도 지나고 그같이 할 필요가 있거든 원하는 대로 하라 그것은 죄 짓는 것이 아니니 그들로 결혼하게 하라
37 그러나 그가 마음을 정하고 또 부득이한 일도 없고 자기 뜻대로 할 권리가 있어서 그 약혼녀를 그대로 두기로 하여도 잘하는 것이니라
38 그러므로 결혼하는 자도 잘하거니와 결혼하지 아니하는 자는 더 잘하는 것이니라
39 아내는 그 남편이 살아 있는 동안에 매여 있다가 남편이 죽으면 자유로워 자기 뜻대로 시집 갈 것이나 주 안에서만 할 것이니라
40 그러나 내 뜻에는 그냥 지내는 것이 더욱 복이 있으리로다 나도 또한 하나님의 영을 받은 줄로 생각하노라
하나님의 창조 질서는 한 남자와 한 여자가 만나 결혼을 하여 가정을 이루는 것입니다. 성경에는 결혼과 부부관계, 자녀 양육, 가정과 관련된 많은 말씀이 등장합니다. 이를 보면 하나님이 결혼과 가정을 매우 중시하신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 바울은 결혼에 관해 교훈합니다.
바울이 독신을 권면한 이유(25~26절)
바울은 결혼에 대한 자기 생각을 이야기합니다. 결론적으로는, 가능하면 결혼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말씀입니다. 이 권면은 자칫 오해를 살 수 있지만 바울의 서신서들을 살펴보면, 그가 결혼과 가정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결혼과 가정, 부부관계에 대한 귀한 가르침이 바울서신에 많이 등장하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아직 결혼하지 않은 자들에 대해 주님께 받은 계명이 없다고 말합니다(25절). 결혼에 대해 주님이 말씀하지 않으신 이유는 명백합니다. 하나님이 결혼을 만드셨고, 하나님이 아담과 하와의 결혼을 주도적으로 이끄셨기에 결혼은 명백한 하나님의 뜻입니다. 그럼에도 바울이 독신을 권면한 이유는 환난이 임박했기 때문입니다(26절). 당시 로마의 압제 속에 그리스도인들을 향한 박해가 시작되리라 예견됐기에 가정을 이루면 또 다른 아픔과 어려움이 찾아올 수 있었습니다. 즉 결혼에 관한 바울의 교훈은 당시 상황에 따른 것이라 보면 됩니다.
주님이 최우선(27~34절)
바울은 결혼한 이들이 배우자의 비위를 맞추느라 신앙생활을 소홀히 할까 걱정했습니다(27, 29, 32, 34절). 또한 당시 로마의 박해가 다가오고 있었기에 박해를 당할 때 가족으로 인해 더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었습니다. 29〜31절의 말씀은 마치 아내를 버리라는 말씀처럼 해석될 위험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말씀은 세상에 있는 것들에 미련을 두지 말라는 메시지입니다. 울어야 할 일이든, 기뻐해야 할 일이든, 이 세상에서 소유하고 누리는 모든 일은 결국 지나가 버린다는 사실임을 일깨우는 말씀입니다. 우리가 이 땅에 있다가 없어져 버릴 것들에 매이면, 정작 마음을 쏟아야 할 영원한 것들을 소홀히 여길 수 있음을 경고하는 것입니다. 부부관계나 가정도 이 맥락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배우자를 아끼고 사랑하는 것은 마땅한 일이지만, 주님보다 우선시하면 그것은 곧 우상이 됩니다.
바울은 왜 이렇게 말씀했을까?(35~40절)
바울은 성도들이 결혼하면 그로 인해 맺어질 새로운 관계들에 얽매여 주님이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려날 수 있음을 염려했습니다. 그렇기에 오늘의 본문을 읽으면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초점은 결혼하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왜 바울 사도가 결혼에 대해 이렇게 부정적 측면을 이야기하고 있느냐, 이것입니다. 바울이 결혼에 관해 위와 같이 권고한 이유는 고린도 교회의 성도들이 흐트러짐 없이 주님을 섬기도록 하기 위해서였습니다(35절). 바울은 박해가 다가오는 시기에 성도들이 결혼 때문에 또 다른 환난을 겪지 않기를, 또 주님을 섬기는 일에 소홀하지 않기를 바랐습니다. 그럼에도 결혼 자체는 하나님의 뜻이기에 36, 38절에서는 긍정적으로 언급하기도 합니다.
결혼은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며 하나님이 만드신 제도입니다. 가정의 중심이 하나님이실 때 그 가정은 복됩니다. 하나님보다 가정과 배우자가 우선시되면 그 가정은 하나님으로부터 올 복을 막아버리는 셈입니다. 가정의 달인 5월에, 우리 성도들의 가정이 하나님을 중심으로 아름답게 세워지기를 기도합니다. 하나님을 우선할 때 가정에도 복이 깃드는 성경적 원리를 직접 경험하길 축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