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각각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_고린도전서 7:17-24

17 오직 주께서 각 사람에게 나눠 주신 대로 하나님이 각 사람을 부르신 그대로 행하라 내가 모든 교회에서 이와 같이 명하노라

18 할례자로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무할례자가 되지 말며 무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할례를 받지 말라

19 할례 받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요 할례 받지 아니하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로되 오직 하나님의 계명을 지킬 따름이니라

20 각 사람은 부르심을 받은 그 부르심 그대로 지내라

21 네가 종으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았느냐 염려하지 말라 그러나 네가 자유롭게 될 수 있거든 그것을 이용하라

22 주 안에서 부르심을 받은 자는 종이라도 주께 속한 자유인이요 또 그와 같이 자유인으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은 자는 그리스도의 종이니라

23 너희는 값으로 사신 것이니 사람들의 종이 되지 말라

24 형제들아 너희는 각각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하나님과 함께 거하라

초대교회 안에 심각한 논쟁거리가 있었는데, 바로 할례 문제였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어도 반드시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유대주의자들이 초대교회 안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고린도 교회도 마찬가지로 할례 문제가 중요한 논쟁거리가 되었습니다.

할례를 받을까, 말까?(17~19절)

바울은 할례와 무할례에 대해 거론합니다. 할례 자체로 구원을 얻는 것이 아니기에 할례를 받지 않은 사람은 굳이 할례를 받으려 하지 말고, 이미 할례를 받은 사람은 할례받은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말라고 가르칩니다(18〜19절). 할례는 구약시대(율법 시대)에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표시로 받는 의식이었습니다. 그러나 몸에 할례를 행하는 것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의 은혜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이기에 할례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로 인해 구원받은 성도는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는 삶이 중요하지, 할례와 같은 문제로 논쟁하는 것은 무의미하고 헛될 뿐임을 강조합니다.

종이냐, 자유인이냐?(20~22절)

이어서 자유인과 종에 대해 교훈합니다. 당시는 노예 제도가 있었기에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들 중에도 노예 신분인 이들이 있었습니다. 바울은 그들이 비록 종의 신분이지만 그리스도 안에서 진정한 자유인이라고 선언합니다. 또한 자유인은 그리스도의 종이라고 선언합니다(22절). 이는 모든 성도가 세상의 신분과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게 주안에서 자유인이고 그리스도의 종이라는 선언입니다. 그러니 자신의 신분 때문에 위축되거나 염려할 필요 없이 주의 종으로 살기에 힘쓰라고 권면합니다(20절). 물론 종이 자유인이 될 수 있으면 그렇게 하라고 말합니다(21절). 정말 중요한 것은 모두가 사람의 종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종이라는 것입니다(22절). 사회적 신분이 우리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와 맺은 관계가 우리의 정체성을 결정합니다. 내 상태를 한탄하기보다는 내 모습 그대로 하나님의 자녀로서, 하나님께 속한 자답게 살아가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보디발의 집에서 종살이하던 요셉이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지키자 하나님이 요셉을 통해 위대한 일을 행하셨던 것을 기억합니다. 내 상황이나 처지를 탓하기보다는 어떤 처지나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자녀로서 온전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하나님께 영광이 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종이다(23~24절)

바울은 종이든 자유인이든 우리가 모두 그리스도의 종이기 때문에 결코 사람의 종이 되지 말라고 명합니다(23절). 예수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피로 우리를 사셨기 때문에 우리의 주인은 오직 예수님이십니다. 우리는 자연스럽게 세상의 지위와 신분으로 우리를 규정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정체성은 세상에 의해 규정되지 않습니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규정됩니다. 우리를 규정하는 것은 그리스도십니다. 우리의 정체성은 그리스도인이며, 오직 그리스도의 종이어야 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이고, 그리스도의 지체입니다. 우리가 어떤 위치에 있든 그리스도의 종이라는 정체성은 변하지 않는 진리입니다.

교회의 전통과 관습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나 그것이 본질은 아닙니다. 우리의 사회적 신분도 우리를 규정할 본질은 아닙니다. 우리가 복음 안에서, 그리스도 안에서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이 우리를 규정합니다. 다른 것들이 우리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그리스도인입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 다윗이 그 마음에 생각하기를 내가 후일에는 사울의 손에 붙잡히리니 블레셋 사람들의 땅으로 피하여 들어가는 것이 좋으리로다 사울이 이스라엘 온 영토 내에서 다시 나를 찾다가 단념하리니 내가 그의 손에서 벗어나리라 하고 2 다윗이 일어나 함께 있는 사람 육백 명과 더불어 가드 왕 마옥의 아들 아기스에게로 건너가니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저마다 가족을 거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