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또 간음하지 말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28.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음욕을 품고 여자를 보는 자마다 마음에 이미 간음하였느니라
29.만일 네 오른 눈이 너로 실족하게 하거든 빼어 내버리라 네 백체 중 하나가 없어지고 온 몸이 지옥에 던져지지 않는 것이 유익하며
30.또한 만일 네 오른손이 너로 실족하게 하거든 찍어 내버리라 네 백체 중 하나가 없어지고 온 몸이 지옥에 던져지지 않는 것이 유익하니라
31.또 일렀으되 누구든지 아내를 버리려거든 이혼 증서를 줄 것이라 하였으나
32.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누구든지 음행한 이유 없이 아내를 버리면 이는 그로 간음하게 함이요 또 누구든지 버림받은 여자에게 장가드는 자도 간음함이니라
33.또 옛 사람에게 말한 바 헛 맹세를 하지 말고 네 맹세한 것을 주께 지키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34.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도무지 맹세하지 말지니 하늘로도 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의 보좌임이요
35.땅으로도 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의 발등상임이요 예루살렘으로도 하지 말라 이는 큰 임금의 성임이요
36.네 머리로도 하지 말라 이는 네가 한 터럭도 희고 검게 할 수 없음이라
37.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
오늘날 세상 법에서는 대부분 간통을 정죄하지 않습니다. 성을 개인의 자유로 인정하는 분위기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성이 영적 문제임을 가르칩니다. 성도는 성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가지고 하나님의 거룩한 법을 지켜야 합니다.
1. 타락으로 인한 성의 왜곡
하나님은 한 남자와 한 여자가 결혼 관계 안에서 나누는 성을 합법적인 것으로 정하셨습니다. 부부의 성은 생육하고 번성하라는 하나님의 창조 명령을 이루는 방법으로, 거룩한 하나님의 법입니다(창 1:28; 2:24). 그러나 아담이 하나님과의 언약을 깨뜨리고 타락한 이후로 성적 영역도 타락하게 되었습니다. 성경은 결혼 관계 이외의 모든 성관계를 간음으로 정죄합니다. 그러나 현실 속에서는 성적 타락이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습니다. 남녀 간의 불륜뿐 아니라 성 착취, 동성애(레 18:22), 수간(신 27:21) 등 하나님의 법을 벗어난 음행이 난립합니다. 음행은 특히 몸으로 짓는 죄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몸으로 하나님의 법을 어기고 창조 원리를 거스르는 것입니다. 성도는 음행이 단순히 탐욕을 채우는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도전임을 기억하고 음행을 멀리함으로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2. 음심을 정죄하신 예수님
법은 구체적 행위를 정죄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음행을 행하기 전에 그러한 마음을 품는 것까지 정죄하십니다. 창조주 하나님이시기에 사람의 마음을 판단하시는 것입니다. 이러한 예수님의 말씀은 사람이 스스로 의인이라고 내세울 여지를 없애 버립니다. 사람이 자신의 의지로 행동을 억제할 수는 있지만 마음에 떠오르는 생각까지 완벽하게 통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예수님의 말씀은 누구도 죄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말해 줍니다. 성도는 겉으로 드러나는 행위만이 아니라 내면 깊숙한 곳을 성찰하면서 자신이 언제나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한 존재임을 겸손히 인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마음의 부정함까지 회개하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성령 충만한 삶을 살아야 합니다.
3. 우상숭배인 음행
사도 바울은 성도의 몸이 성령께서 거하시는 전이므로 음행을 피해야 한다고 경고합니다(고전 6:18-19). 음행의 죄가 성전에서 우상을 숭배하는 것과 같은 가증한 범죄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구약시대 우상숭배 제의에는 음행이 동반되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우상숭배와 음행의 죄에 빠지자 하나님께 혹독한 징벌을 받기도 했습니다(민 25:1-5). 오늘날 세상에서는 많은 사람이 쾌락을 추구하는 것은 자신의 자유라고 주장하며 온갖 음행을 행하고 있습니다. 자기 몸으로 자유롭게 행동하고자 하는 경향은 창조주 하나님의 존재를 부인하는 자들에게는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그러나 성도는 그리스도의 보혈로 구속받아 거룩한 자로 인정받고 하나님의 영이 거하시는 성전이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음행을 피하고 그 신분에 맞게 하나님을 예배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고전 6:20). 성도는 이제 살아도 주를 위해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해 죽는 존재로서, 사나 죽으나 자신의 인생이 주님의 것임을 고백해야 합니다(롬 14:8).
성도의 음행은 그리스도 안에서 성전이라는 자신의 정체를 부정하는 악행입니다. 즉 자신을 구원하신 그리스도를 부인하고 십자가에 다시 못 박는 죄입니다(히 6:6). 성도는 음행의 영적 의미를 마음에 새기고 성적 유혹을 이기고 거룩한 삶을 하나님께 산제물로 드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