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곱째 달에 왕의 종친 엘리사마의 손자요 느다냐의 아들로서 왕의 장관인 이스마엘이 열 사람과 함께 미스바로 가서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에게 이르러 미스바에서 함께 떡을 먹다가
2.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과 그와 함께 있던 열 사람이 일어나서 바벨론의 왕의 그 땅을 위임했던 사반의 손자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를 칼로 쳐죽였고
3.이스마엘이 또 미스바에서 그다랴와 함께 있던 모든 유다 사람과 거기에 있는 갈대아 군사를 죽였더라
4.그가 그다랴를 죽인 지 이틀이 되었어도 이를 아는 사람이 없었더라
5.그 때에 사람 팔십 명이 자기들의 수염을 깎고 옷을 찢고 몸에 상처를 내고 손에 소제물과 유향을 가지고 세겜과 실로와 사마리아로부터 와서 여호와의 성전으로 나아가려 한지라
6.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이 그들을 영접하러 미스바에서 나와 울면서 가다가 그들을 만나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에게로 가자 하더라
7.그들이 성읍 중앙에 이를 때에 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이 자기와 함께 있던 사람들과 더불어 그들을 죽여 구덩이 가운데에 던지니라
8.그 중의 열 사람은 이스마엘에게 이르기를 우리가 밀과 보리와 기름과 꿀을 밭에 감추었으니 우리를 죽이지 말라 하니 그가 그치고 그들을 그의 형제와 마찬가지로 죽이지 아니하였더라
9.이스마엘이 그다랴에게 속한 사람들을 죽이고 그 시체를 던진 구덩이는 아사 왕이 이스라엘의 바아사 왕을 두려워하여 팠던 것이라 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이 그가 쳐죽인 사람들의 시체를 거기에 채우고
10.미스바에 남아 있는 왕의 딸들과 모든 백성 곧 사령관 느부사라단이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에게 위임하였던 바 미스바에 남아 있는 모든 백성을 이스마엘이 사로잡되 곧 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이 그들을 사로잡고 암몬 자손에게로 가려고 떠나니라
11.가레아의 아들 요하난과 그와 함께 있는 모든 군 지휘관이 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이 행한 모든 악을 듣고
12.모든 사람을 데리고 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과 싸우러 가다가 기브온 큰 물 가에서 그를 만나매
13.이스마엘과 함께 있던 모든 백성이 가레아의 아들 요하난과 그와 함께 있던 모든 군 지휘관을 보고 기뻐한지라
14.이에 미스바에서 이스마엘이 사로잡은 그 모든 백성이 돌이켜 가레아의 아들 요하난에게로 돌아가니
15.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이 여덟 사람과 함께 요하난을 피하여 암몬 자손에게로 가니라
16.가레아의 아들 요하난과 그와 함께 있던 모든 군 지휘관이 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이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를 죽이고 미스바에서 잡아간 모든 남은 백성 곧 군사와 여자와 유아와 내시를 기브온에서 빼앗아 가지고 돌아와서
17.애굽으로 가려고 떠나 베들레헴 근처에 있는 게롯김함에 머물렀으니
18.이는 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이 바벨론의 왕이 그 땅을 위임한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를 죽였으므로 그들이 갈대아 사람을 두려워함이었더라
그다랴가 바벨론의 지배를 받아들이는 정책을 선택함으로써 하나님의 심판을 수용한 반면, 끝까지 바벨론의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반대파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이 바벨론을 사용하셔서 유다의 죄를 심판하신다는 사실을 외면하여 결국 하나님의 뜻을 거역하는 선택을 했습니다. 그들의 어리석은 판단이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살펴봅시다.
1. 이스마엘의 판단과 그 결과
유다의 왕족이었던 이스마엘은 바벨론의 지배를 벗어나 유다가 독립하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 그는 그다랴의 친 바벨론 정책을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결국, 그는 그다랴를 제거함으로써 바벨론의 지배력에서 벗어나고자 했습니다. 그뿐 아니라 예루살렘의 파멸을 애도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을 죽이고 왕의 딸들과 백성을 잡아 암몬으로 향했습니다. 이스마엘의 이러한 행위는 유다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뜻을 철저히 저버린 반역의 처사였습니다. 유다를 징계하심으로 당신의 백성을 새롭게 회복하시려는 하나님의 계획에 정면으로 도전한 것입니다. 하나님이 내리시는 징계의 고난을 회피하기 위해 그저 인간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는 절대로 선한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하나님의 사람이었던 다윗도 하나님의 뜻을 거역하고 인구조사를 함으로써 하나님의 징계를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자기를 찾아온 선지자 갓이 제안한 세 가지 재앙 중에서 하나님이 친히 내리시는 전염병의 심판을 받기로 결정합니다(삼하 24장). 하나님이 고난을 통해 당신의 백성을 거룩하게 하실 때, 성도들은 고난 속에서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뜻에 순응해야 합니다. 심판과 고난은 누구든지 피하고 싶은 어려움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뜻을 배우려면 고난을 통과해야 합니다. 고난을 당하고 있습니까? 고난의 자리에서 하나님의 뜻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2. 요하난의 판단과 그 결과
암몬을 향해 도주하는 이스마엘을 추격해 그에게 잡힌 포로들을 해방시킨 것은 요하난과 군대 장관들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스마엘에 의해 바벨론 군사들이 살해되었기 때문에 요하난과 그의 일행들은 바벨론의 보복을 두려워하여 이집트에 피신하기에 이릅니다. 바벨론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강대국 이집트의 도움을 받으려 했던 것입니다. 당시 이집트가 바벨론보다 더 강한 나라였을지라도 이러한 선택은 하나님의 뜻에 무지한 선택일 뿐이었습니다. 유다의 12대 왕이었던 아하스는 하나님을 거역한 사악한 왕이었습니다. 그는 산당을 세우고 이방의 우상숭배를 끌어들이는 범죄를 자행했습니다. 하나님은 이를 징계하시기 위해 아람 왕 르신과 이스라엘 왕 베가를 유다에 보내셔서 전쟁을 일으키십니다. 그때 아하스는 하나님의 심판 앞에 겸허히 회개하지 않고 강대국 앗수르 왕의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결국, 아하스 왕의 뜻대로 르신과 베가가 물러갔지만, 앗수르가 예루살렘을 공격해 유다는 막대한 재산을 앗수르에 상납해야 하는 비참한 결과를 맞이했습니다(왕하 16장). 고난을 마주했을 때, 도움이 될만한 사람을 찾아가기보다 하나님을 먼저 찾으시길 바랍니다. 고난이 하나님의 징계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인간적 도피처를 찾으려는 어떤 시도도 결코 성공할 수 없습니다.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의 자리로 회복시켜 달라고 기도하는 것만이 최선의 선택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저지른 죄로 인해 종종 우리를 징계하십니다. 징계에는 우리를 거룩하게 하시려는 하나님의 은혜가 담겨 있습니다. 그러나 연약한 우리는 징계를 회피하고자 합니다. 회피만으로는 어떤 문제도 해결되지 않습니다. 먼저 우리의 죄를 인정하고 거룩한 삶의 회복을 위해 겸비하여 기도하는 것만이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