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그 때에 이스라엘 사람들이 기드온에게 이르되 당신이 우리를 미디안의 손에서 구원하셨으니 당신과 당신의 아들과 당신의 손자가 우리를 다스리소서 하는지라
23.기드온이 그들에게 이르되 내가 너희를 다스리지 아니하겠고 나의 아들도 너희를 다스리지 아니할 것이요 여호와께서 너희를 다스리시리라 하니라
24.기드온이 또 그들에게 이르되 내가 너희에게 요청할 일이 있으니 너희는 각기 탈취한 귀고리를 내게 줄지니라 하였으니 이는 그들이 이스마엘 사람들이므로 금 귀고리가 있었음이라
25.무리가 대답하되 우리가 즐거이 드리리이다 하고 겉옷을 펴고 각기 탈취한 귀고리를 그 가운데에 던지니
26.기드온이 요청한 금 귀고리의 무게가 금 천칠백 세겔이요 그 외에 또 초승달 장식들과 패물과 미디안 왕들이 입었던 자색 의복과 또 그 외에 그들의 낙타 목에 둘렀던 사슬이 있었더라
27.기드온이 그 금으로 에봇 하나를 만들어 자기의 성읍 오브라에 두었더니 온 이스라엘이 그것을 음란하게 위하므로 그것이 기드온과 그의 집에 올무가 되니라
28.미디안이 이스라엘 자손 앞에 복종하여 다시는 그 머리를 들지 못하였으므로 기드온이 사는 사십 년 동안 그 땅이 평온하였더라
29.요아스의 아들 여룹바알이 돌아가서 자기 집에 거주하였는데
30.기드온이 아내가 많으므로 그의 몸에서 낳은 아들이 칠십 명이었고
31.세겜에 있는 그의 첩도 아들을 낳았으므로 그 이름을 아비멜렉이라 하였더라
32.요아스의 아들 기드온이 나이가 많아 죽으매 아비에셀 사람의 오브라에 있는 그의 아버지 요아스의 묘실에 장사되었더라
33.기드온이 이미 죽으매 이스라엘 자손이 돌아서서 바알들을 따라가 음행하였으며 또 바알브릿을 자기들의 신으로 삼고
34.이스라엘 자손이 주위의 모든 원수들의 손에서 자기들을 건져내신 여호와 자기들의 하나님을 기억하지 아니하며
35.또 여룹바알이라 하는 기드온이 이스라엘에 베푼 모든 은혜를 따라 그의 집을 후대하지도 아니하였더라
분명 기드온은 이스라엘 역사상 손꼽히는 사사였습니다. 그는 겸손하고 용감했으며, 하나님의 뜻에 온전히 순종했습니다. 하지만 그도 역시 인간이었고, 죄와 유혹으로 그는 휘청거렸습니다.
기드온이 왕들을 죽이고 돌아오자 이스라엘 사람들이 기드온을 왕으로 삼고자 했습니다(22절). 이전까지 그 어떤 사사도 왕의 자리를 제안받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왜 이스라엘 사람들은 기드온을 왕으로 세우려 했을까요? 개선하는 기드온의 모습이 그들이 생각했던 왕의 모습, 그들이 바라는 왕의 모습과 일치했기 때문입니다. 배신자들을 숙청하고, 적군의 왕들을 죽이고, 전리품을 탈취해 행진하는 왕을 그들은 그동안 원하고 있었습니다. 기드온은 비록 그가 인지하지는 못했지만 사사보다는 왕 같은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기드온은 왕이 되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당연하고 겸손한 반응입니다. 그렇게 모든 일이 마무리되었다면 좋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의 한계가 곧 나타났습니다. 그는 하나님께 묻지 않고, 백성에게 금귀고리를 걷어 에봇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이스라엘을 타락하게 만들었습니다(23-27절). 그는 많은 군주가 그랬던 것처럼 승리의 표식을 남기고 싶었던 것입니다. 미디안과의 전쟁 전에 반복해서 표징을 구하며 하나님께 묻던 태도는 사라지고 큰 승리에 고양되어 자기 생각대로 주저하지 않고 결정하고 판단하고 행동하면서 이런 문제가 발생했던 것입니다.
몇 가지 실수가 있었지만 기드온은 여전히 이스라엘의 사사였고, 그가 살아있는 40년간 이스라엘에 평화가 이어졌습니다(28절). 그 역시 불완전하지만 하나님의 사람이었기에 하나님이 이스라엘에 승리와 평화를 허락하신 것입니다. 우리에게도 자신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게 만드는 요소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그래도 괜찮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을 아시고(히 4:15), 우리를 질책하는 대신 감당할 수 있는 힘과 용기를 주시기 때문입니다(약 1:5).
기드온에게는 70명의 아들이 있었습니다. 또한 다른 지역에 첩이 낳은 아들도 있었습니다(29-32절). 왕도 아내를 많이 두지 말아야 한다는 말씀을 고려할 때(신 17:17), 사사가 아내를 많이 두고 첩까지 둔 것은 결코 바른 행실이 아닙니다. 이런 결점은 그의 가문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공동체에 비극을 가져오게 됩니다. 사람은 누구에게나 약점이 있습니다. 어쩌면 신앙의 싸움은 약점을 공격하는 죄의 유혹을 어떻게 막아 내느냐의 싸움일 것입니다. 자신의 약점을 잘 알아서 말씀으로 막아 내는 성도가 되어야 합니다.
기드온이 죽자마자 이스라엘은 빠르게 하나님에게서 돌아섰습니다. 음란하게 우상을 섬기고, 하나님을 기억하지도 않았고, 위대한 가문을 후대하지도 않았습니다(33-35절). 기드온은 죽음 이후의 일을 전혀 대비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우리는 좋은 신앙의 가정에서 믿음이 대를 잇지 못하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은혜와 능력을 주신 이유는 단지 우리만을 구원하시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믿음이 더 많은 사람에게 전해져야 합니다.
신앙의 영웅들도 우리와 다를 바 없이 부족하고 연약한 자들이었습니다. 모두가 혈기와 감정과 죄의 유혹에 노출되어 있었고, 때로 하나님에게서 멀어지곤 했습니다. 우리를 매일 유혹하고 공격하는 죄가 있습니다. 죄의 유혹과 공격에 넘어가지 않도록 깨어 기도하는 성도가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