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경솔함이 만드는 위기_사무엘상 14:24-35

24 이 날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피곤하였으니 이는 사울이 백성에게 맹세시켜 경계하여 이르기를 저녁 곧 내가 내 원수에게 보복하는 때까지 아무 음식물이든지 먹는 사람은 저주를 받을지어다 하였음이라 그러므로 모든 백성이 음식물을 맛보지 못하고

25 그들이 다 수풀에 들어간즉 땅에 꿀이 있더라

26 백성이 수풀로 들어갈 때에 꿀이 흐르는 것을 보고도 그들이 맹세를 두려워하여 손을 그 입에 대는 자가 없었으나

27 요나단은 그의 아버지가 백성에게 맹세하여 명령할 때에 듣지 못하였으므로 손에 가진 지팡이 끝을 내밀어 벌집의 꿀을 찍고 그의 손을 돌려 입에 대매 눈이 밝아졌더라

28 그 때에 백성 중 한 사람이 말하여 이르되 당신의 부친이 백성에게 맹세하여 엄히 말씀하시기를 오늘 음식물을 먹는 사람은 저주를 받을지어다 하셨나이다 그러므로 백성이 피곤하였나이다 하니

29 요나단이 이르되 내 아버지께서 이 땅을 곤란하게 하셨도다 보라 내가 이 꿀 조금을 맛보고도 내 눈이 이렇게 밝아졌거든

30 하물며 백성이 오늘 그 대적에게서 탈취하여 얻은 것을 임의로 먹었더라면 블레셋 사람을 살륙함이 더욱 많지 아니하였겠느냐

31 그 날에 백성이 믹마스에서부터 아얄론에 이르기까지 블레셋 사람들을 쳤으므로 그들이 심히 피곤한지라

32 백성이 이에 탈취한 물건에 달려가서 양과 소와 송아지들을 끌어다가 그것을 땅에서 잡아 피째 먹었더니

33 무리가 사울에게 전하여 이르되 보소서 백성이 고기를 피째 먹어 여호와께 범죄하였나이다 사울이 이르되 너희가 믿음 없이 행하였도다 이제 큰 돌을 내게로 굴려 오라 하고

34 또 사울이 이르되 너희는 백성 중에 흩어져 다니며 그들에게 이르기를 사람은 각기 소와 양을 이리로 끌어다가 여기서 잡아 먹되 피째로 먹어 여호와께 범죄하지 말라 하라 하매 그 밤에 모든 백성이 각각 자기의 소를 끌어다가 거기서 잡으니라

35 사울이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았으니 이는 그가 여호와를 위하여 처음 쌓은 제단이었더라

누구나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면 경솔하게 행동하게 마련입니다. 문제는 경솔함 뒤에는 허영, 자만, 욕심이 따른다는 사실입니다. 그것이 개인의 문제에서 그치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타인과 공동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 위기가 찾아올 수밖에 없습니다. 본문에서 사울은 초조한 마음에 경솔한 선택을 합니다. 그의 경솔함이 불러온 과오를 살펴보며 우리의 삶을 돌아보기를 바랍니다.

사울은 전세가 유리해지자 군사들에게 블레셋 정벌을 마칠 때까지 전원 금식하라는 맹세를 시킵니다(24절). 아마도 금식하면 하나님이 더욱 도와주시리라 생각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이 자기 백성을 도우시는 것은 당신의 뜻 가운데 자발적인 행하심일 뿐, 인간의 희생을 대가로 요구하시지 않습니다. 하나님을 우리의 뜻을 이루어 주시는 분으로 여겨 그분의 뜻을 바꾸려 해서는 안 됩니다. 그저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순종해야 합니다.

요나단은 블레셋을 ‘할례받지 않은 자들’(6절)이라 불렀지만, 사울은 블레셋을 ‘내 원수’라고 부릅니다(24절). 곧 요나단은 블레셋을 하나님의 언약과 상관없는 하나님의 대적으로 이해했지만, 사울에게 블레셋은 자신의 왕권을 위협하는 개인의 원수에 불과했던 것입니다. 그러면서 맹세를 어기면 저주가 내릴 것이라며 허기진 군사들을 옥죄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명예를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았던 요나단과 너무도 대조적인 모습입니다. 우리는 개인의 욕심 때문에 사람을 도구화하지 말아야 합니다. 오직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일에 연합하고 동역해야 합니다.

사울의 맹세를 모르는 요나단은 수풀에 흐르는 꿀을 먹고 기운을 차립니다. 나중에야 맹세 소식을 알고서 아버지의 경솔한 판단을 지적합니다(25〜30절). 군사들이 억지로 금식하는 대신 음식을 먹고 힘내서 전투를 더 잘 수행하게 하는 것이 낫다고 합니다. 이처럼 하나님의 뜻보다 자신의 생각을 앞세우면 피해자가 생겨날 수 있습니다.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말을 절대시하여 강요하지 말고 지혜롭고 유연한 태도로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 가야 합니다.

승리가 확정되자 굶주린 군사들은 탈취한 가축을 피째 먹는 심각한 죄를 저지릅니다(31〜32절). 짐승들을 향해 달려간 그들의 모습은 사울 왕의 경솔함을 닮은 듯합니다. 사실 백성은 맹세를 했지만 그 의미를 알지도 못했고, 강요에 의한 맹세였기에 짐승을 피째 먹지 말아야 하는 율법도 잊었던 것입니다. 이렇듯 자기중심적인 경솔한 태도는 타인에게 쉽게 전염됩니다. 갈급하고 긴급할수록 경솔함보다 진중함으로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분별해야 합니다.

사울은 군사들이 믿음 없이 행했다며 책망합니다(33〜34절). 하지만 그 원인 제공자는 바로 사울 자신입니다. 군사들이 허기에 빠져 이성을 잃지 않도록 적절히 대처했다면, 자신이 미리 군사들을 위해 음식을 준비했다면, 그런 일은 생기지 않았을 것입니다. 우리는 나의 영향 아래 있는 사람들을 통제의 대상으로 바라보지 말고, 그들이 하나님 앞에 바르게 설 수 있도록 섬기며 도와야 합니다.

사울의 맹세는 금식의 내용보다 그 동기가 문제였습니다. 그의 맹세는 하나님이 아닌 자신을 향해 있었고, 자신의 소욕을 이루기 위해 하나님과 사람들을 이용했던 것입니다. 진정 우리 인생의 모든 순간에 경솔하게 행동하지 않도록 늘 하나님께 우리 자신을 맞추며 그분의 일하심에 우리를 맡길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1 view

Recent Posts

See All

16 그가 다윗을 인도하여 내려가니 그들이 온 땅에 편만하여 블레셋 사람들의 땅과 유다 땅에서 크게 약탈하였음으로 말미암아 먹고 마시며 춤추는지라 17 다윗이 새벽부터 이튿날 저물 때까지 그들을 치매 낙타를 타고 도망한 소년 사백 명 외에는 피한 사람이 없었더라 18 다윗이 아말렉 사람들이 빼앗아 갔던 모든 것을 도로 찾고 그의 두 아내를 구원하였고 19

1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사흘 만에 시글락에 이른 때에 아말렉 사람들이 이미 네겝과 시글락을 침노하였는데 그들이 시글락을 쳐서 불사르고 2 거기에 있는 젊거나 늙은 여인들은 한 사람도 죽이지 아니하고 다 사로잡아 끌고 자기 길을 갔더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성읍에 이르러 본즉 성읍이 불탔고 자기들의 아내와 자녀들이 사로잡혔는지라 4 다윗과 그와 함께 한

1 블레셋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군대를 아벡에 모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스르엘에 있는 샘 곁에 진 쳤더라 2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은 수백 명씩 수천 명씩 인솔하여 나아가고 다윗과 그의 사람들은 아기스와 함께 그 뒤에서 나아가더니 3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이 이르되 이 히브리 사람들이 무엇을 하려느냐 하니 아기스가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에게 이르되 이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