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늙은이를 꾸짖지 말고 권하되 아버지에게 하듯 하며 젊은이에게는 형제에게 하듯 하고
2 늙은 여자에게는 어머니에게 하듯 하며 젊은 여자에게는 온전히 깨끗함으로 자매에게 하듯 하라
3 참 과부인 과부를 존대하라
4 만일 어떤 과부에게 자녀나 손자들이 있거든 그들로 먼저 자기 집에서 효를 행하여 부모에게 보답하기를 배우게 하라 이것이 하나님 앞에 받으실 만한 것이니라
5 참 과부로서 외로운 자는 하나님께 소망을 두어 주야로 항상 간구와 기도를 하거니와
6 향락을 좋아하는 자는 살았으나 죽었느니라
7 네가 또한 이것을 명하여 그들로 책망 받을 것이 없게 하라
8 누구든지 자기 친족 특히 자기 가족을 돌보지 아니하면 믿음을 배반한 자요 불신자보다 더 악한 자니라
9 과부로 명부에 올릴 자는 나이가 육십이 덜 되지 아니하고 한 남편의 아내였던 자로서
10 선한 행실의 증거가 있어 혹은 자녀를 양육하며 혹은 나그네를 대접하며 혹은 성도들의 발을 씻으며 혹은 환난 당한 자들을 구제하며 혹은 모든 선한 일을 행한 자라야 할 것이요
11 젊은 과부는 올리지 말지니 이는 정욕으로 그리스도를 배반할 때에 시집 가고자 함이니
12 처음 믿음을 저버렸으므로 정죄를 받느니라
13 또 그들은 게으름을 익혀 집집으로 돌아 다니고 게으를 뿐 아니라 쓸데없는 말을 하며 일을 만들며 마땅히 아니할 말을 하나니
14 그러므로 젊은이는 시집 가서 아이를 낳고 집을 다스리고 대적에게 비방할 기회를 조금도 주지 말기를 원하노라
15 이미 사탄에게 돌아간 자들도 있도다
16 만일 믿는 여자에게 과부 친척이 있거든 자기가 도와 주고 교회가 짐지지 않게 하라 이는 참 과부를 도와 주게 하려 함이라
바울은 디모데에게 말씀 사역에 집중하라고 했지만 그렇다고 골방에 앉아 성경만 연구하라고 한 것은 아닙니다. 디모데는 목회자로서 교회를 섬기는 사역을 감당해야 했는데, 이때 섬김의 대상에 따라 경우에 맞게 대응해야 했습니다.
성도들을 존중하는 대처(1-2절)
당시 다른 종교의 사제나 제사장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들이 특별한 존재임을 과시하거나 권위주의적 태도를 취하곤 했습니다. 그러나 교회 사역자는 지도자로서 권위를 가졌다고 해서 권위적으로 사람들을 대해서는 안 됩니다. 분명 디모데는 말씀을 가르치는 지도자였고, 교인들의 잘못을 지적해 바로잡는 일도 감당해야 했습니다. 그럼에도 나이가 많은 교인들에게는 부모처럼 대하고, 젊은이들에게는 형제와 자매처럼 대해야 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절대 권위를 가지고 있지만, 말씀을 가르치고 전하는 자는 결코 다른 사람들에게 권위주의적 태도로 다가가서는 안 됩니다.
과부를 대하는 기본 원칙(3-8절)
초대교회의 사역 가운데 중요한 것 한 가지가 바로 가난한 자들을 구제하는 사역이었습니다. 그렇기에 바울은 디모데에게 이 사역을 어떤 원칙을 가지고 감당해야 하는지를 가르칩니다. 바울은 우선 ‘참 과부인 과부를 존대하라’고 명합니다(3절). 당시 에베소교회의 상황을 명확하게 재구성할 수는 없지만, 과부들 중에 올바른 신앙을 가지고 경건하게 살아가는 여인들이 있었는가 하면 방탕한 생활에 빠진 여인들도 있었던 모양입니다(6-7절). 바울은 이들을 잘 검증해 ‘참 과부’만을 후원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그런데 과부라 하더라도 자녀나 손자들이 있다면 그들의 돌봄을 받게 해야 한다고 권합니다(4절).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홀로 되신 어머니나 할머니를 부양하는 것이 하나님 앞에서 올바른 의무이기 때문입니다(8절). 믿음의 공동체는 성도들 한 사람 한 사람을 이처럼 세밀하게 살피고 돌봐줌으로써 어느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해 어려움 속에서 고통당하지 않도록 섬겨야 합니다.
합리적으로 대처하라(9-16절)
이어서 바울은 ‘과부로 명부에 올릴 자’를 규정하는데, 교회가 공식적으로 후원해야 할 과부들의 명단을 작성하라는 말입니다. 과부로 명부에 올릴 자는 60세 이상으로 한 남편의 아내였던 자, 선한 행실의 증거가 있는 자입니다(9-10절). 바울은 특히 선한 행실의 증거를 언급하면서 남편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녀를 충실히 양육했을 뿐 아니라 어려운 사람을 돕기까지 한 사람이라면 교회의 후원을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젊은 과부들에 대해서는 상당한 경계를 보이는데(11-13절) 아마도 당시 거짓 교사들의 가르침에 휩쓸린 사람들 중에 젊은 과부가 많았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15절). 또한, 과부에게 친척이 있으면 그들이 과부를 도와주게 하라고 권고합니다. 친족의 어려움을 외면하면서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섬긴다고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바울은 도움받을 친척이 없는 과부를 후원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이렇게 상황과 형편과 처지에 따라 교회는 우선순위를 정해 도움의 손길을 펼쳐야 합니다.
바울이 가르치는 ‘경건함’에는 경우에 맞게 사람들을 섬기는 지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회는 사람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공동체지만, 무분별하게 베풀다 보면 무질서한 공동체가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비둘기처럼 순결해야 하는 동시에 뱀처럼 지혜로워야 합니다. 섬김의 대상을 바르게 인식하고 올바른 섬김으로 선을 이루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