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교회가 택해야 할 올바른 길_디모데전서 2:1-15

1 그러므로 내가 첫째로 권하노니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구와 기도와 도고와 감사를 하되

2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하라 이는 우리가 모든 경건과 단정함으로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을 하려 함이라

3 이것이 우리 구주 하나님 앞에 선하고 받으실 만한 것이니

4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으며 진리를 아는 데에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

5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 또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자도 한 분이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라

6 그가 모든 사람을 위하여 자기를 대속물로 주셨으니 기약이 이르러 주신 증거니라

7 이를 위하여 내가 전파하는 자와 사도로 세움을 입은 것은 참말이요 거짓말이 아니니 믿음과 진리 안에서 내가 이방인의 스승이 되었노라

8 그러므로 각처에서 남자들이 분노와 다툼이 없이 거룩한 손을 들어 기도하기를 원하노라

9 또 이와 같이 여자들도 단정하게 옷을 입으며 소박함과 정절로써 자기를 단장하고 땋은 머리와 금이나 진주나 값진 옷으로 하지 말고

10 오직 선행으로 하기를 원하노라 이것이 하나님을 경외한다 하는 자들에게 마땅한 것이니라

11 여자는 일체 순종함으로 조용히 배우라

12 여자가 가르치는 것과 남자를 주관하는 것을 허락하지 아니하노니 오직 조용할지니라

13 이는 아담이 먼저 지음을 받고 하와가 그 후며

14 아담이 속은 것이 아니고 여자가 속아 죄에 빠졌음이라

15 그러나 여자들이 만일 정숙함으로써 믿음과 사랑과 거룩함에 거하면 그의 해산함으로 구원을 얻으리라

디모데가 사역해야 했던 에베소는 헬라의 우상들로 가득한 곳이었고, 유대인 출신 성도 중에는 헬라 문화에 대한 적개심 때문에 유대 문화를 강하게 주장하는 자들도 많았습니다. 이들을 ‘신화와 족보에 몰두하는 자들’(4절) 이라고 규정한 바울은 이들로 인해 혼란스러운 에베소 교회를 바르게 세우기 위해 디모데가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가를 교훈합니다.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말라(1-7절)

우선 바울은 유대 율법주의자들이 무조건 이방인을 배척하는 것에 반대하며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으며 진리를 아는 데에 이르기를 원하신다”(4절)고 가르칩니다. 그렇기에 ‘모든 사람’을 위해 간구하고, 임금들을 비롯한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라고 권면합니다(1-2절). 이는 이방인들을 위해 기도하라는 말입니다. 그렇다고 바울이 헬라 문화를 두둔하고 있다고 오해하면 안 됩니다. 바울은 예수님의 유일성에 대해 가르치면서 특별히 예수님이 ‘사람’이셨음을 강조합니다(5절). 그리스 신화에 익숙한 자들은 예수님을 헬라 신화의 신들처럼 사람의 형상으로 세상에 나타난 신으로 생각한 자들이 있었던 것입니다. 또한 영적 세계와 육적 세계를 명확히 구분하는 헬라 철학의 영향으로 신이 사람이 되었다는 메시지를 부인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절대 헬라 철학과 복음을 혼합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방인의 스승으로서 이 사실을 가르쳤고, 믿음과 진리 안에서 이를 전파했다고 말합니다(7절). 바울은 헬라 철학과 그리스도의 복음을 적당히 섞어 가르치지 않았으며, 디모데에게도 그렇게 가르치지 말리고 명령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바울은 그리스도의 복음을 선명하게 전했고, 그가 전한 복음에 의해 교회는 지금까지 참 생명을 전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도 세상의 학문이나 가치관과 복음을 뒤섞는 가르침을 철저히 경계해야 합니다.

참된 경건의 삶을 택하라(8-15절)

당시 경건하다고 생각한 유대인들 중에는 이방인을 배척하고 배격하는 자들도 있었고, 에베소와 같은 이방지역에 사는 사람은 정기적으로 예루살렘에 가서 기도하고 예배하기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분노와 다툼을 피하라”고 하면서 전투적 태도를 버리라고 명합니다. 또 성전이 아니라도 ‘각처에서’ 기도할 수 있는 ‘거룩한 손’이 있음을 가르칩니다(8절). 기도하는 장소가 아니라 언제 어디서든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 것입니다. 여성도들에게는 헬라의 외모 지상주의 풍조를 버리고 선한 행실을 보이라고 가르칩니다(9-10절). 그리고 당시 교회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바울은 당시 교회의 상황을 고려해 여자들에게 일체 순종함으로 조용히 배우라고 하고, 여자가 남자를 가르치고 주관하지 못하게 합니다(11-12절). 바울은 뱀의 꼬임에 여자가 먼저 넘어갔음을 이야기하면서(13-14절) 여성도들이 거짓 교훈을 철저히 경계해야 함을 교훈합니다. 또한 정숙하게 행하며 믿음과 사랑과 거룩함을 추구하면 해산함으로 구원을 얻으리라고 선언합니다(15절). ‘해산함으로 구원을 얻으리라’는 표현은 여자의 후손으로 구원자가 오신다는 메시지를 떠 올리게 합니다. 하나님은 여자의 해산함을 통해 당신이 뜻하신 구원의 역사를 이루어 가십니다. 성도는 세상의 사조에 휩쓸리지 않고 일상에서 참된 경건을 추구해야 합니다.

성도들이 바른 신앙관을 갖추지 못하면 세상의 정치나 문화적 상황에 이리저리 휩쓸리게 됩니다. 헬라의 문화와 유대교의 율법주의 사이에서 어느 쪽으로도 휩쓸리지 않고 복음의 진리만을 전했던 바울처럼 우리도 세상의 교훈에 휩쓸리지 말고 복음의 진리만을 붙잡아야 합니다. 그럴 때 세상은 우리를 ‘예수님의 제자들’로 인정할 것입니다.

6 views

Recent Posts

See All

1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사흘 만에 시글락에 이른 때에 아말렉 사람들이 이미 네겝과 시글락을 침노하였는데 그들이 시글락을 쳐서 불사르고 2 거기에 있는 젊거나 늙은 여인들은 한 사람도 죽이지 아니하고 다 사로잡아 끌고 자기 길을 갔더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성읍에 이르러 본즉 성읍이 불탔고 자기들의 아내와 자녀들이 사로잡혔는지라 4 다윗과 그와 함께 한

1 블레셋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군대를 아벡에 모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스르엘에 있는 샘 곁에 진 쳤더라 2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은 수백 명씩 수천 명씩 인솔하여 나아가고 다윗과 그의 사람들은 아기스와 함께 그 뒤에서 나아가더니 3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이 이르되 이 히브리 사람들이 무엇을 하려느냐 하니 아기스가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에게 이르되 이는

15 사무엘이 사울에게 이르되 네가 어찌하여 나를 불러 올려서 나를 성가시게 하느냐 하니 사울이 대답하되 나는 심히 다급하니이다 블레셋 사람들은 나를 향하여 군대를 일으켰고 하나님은 나를 떠나서 다시는 선지자로도, 꿈으로도 내게 대답하지 아니하시기로 내가 행할 일을 알아보려고 당신을 불러 올렸나이다 하더라 16 사무엘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너를 떠나 네 대적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