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그러므로 내가 말하노니 그들이 넘어지기까지 실족하였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그들이 넘어짐으로 구원이 이방인에게 이르러 이스라엘로 시기나게 함이니라
12.그들의 넘어짐이 세상의 풍성함이 되며 그들의 실패가 이방인의 풍성함이 되거든 하물며 그들의 충만함이리요
13.내가 이방인인 너희에게 말하노라 내가 이방인의 사도인 만큼 내 직분을 영광스럽게 여기노니
14.이는 혹 내 골육을 아무쪼록 시기하게 하여 그들 중에서 얼마를 구원하려 함이라
15.그들을 버리는 것이 세상의 화목이 되거든 그 받아들이는 것이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는 것이 아니면 무엇이리요
16.제사하는 처음 익은 곡식 가루가 거룩한즉 떡덩이도 그러하고 뿌리가 거룩한즉 가지도 그러하니라
17.또한 가지 얼마가 꺾이었는데 돌감람나무인 네가 그들 중에 접붙임이 되어 참감람나무 뿌리의 진액을 함께 받는 자가 되었은즉
18.그 가지들을 향하여 자랑하지 말라 자랑할지라도 네가 뿌리를 보전하는 것이 아니요 뿌리가 너를 보전하는 것이니라
19.그러면 네 말이 가지들이 꺾인 것은 나로 접붙임을 받게 하려 함이라 하리니
20.옳도다 그들은 믿지 아니하므로 꺾이고 너는 믿으므로 섰느니라 높은 마음을 품지 말고 도리어 두려워하라
21.하나님이 원 가지들도 아끼지 아니하셨은즉 너도 아끼지 아니하시리라
22.그러므로 하나님의 인자하심과 준엄하심을 보라 넘어지는 자들에게는 준엄하심이 있으니 너희가 만일 하나님의 인자하심에 머물러 있으면 그 인자가 너희에게 있으리라 그렇지 않으면 너도 찍히는 바 되리라
23.그들도 믿지 아니하는 데 머무르지 아니하면 접붙임을 받으리니 이는 그들을 접붙이실 능력이 하나님께 있음이라
24.네가 원 돌감람나무에서 찍힘을 받고 본성을 거슬러 좋은 감람나무에 접붙임을 받았으니 원 가지인 이 사람들이야 얼마나 더 자기 감람나무에 접붙이심을 받으랴
바울은 자기 동족 이스라엘이 복음을 받아들이기를 소망하면서도 도무지 그렇게 되지 않을 것 같은 현실을 마주하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바울에게 이 문제를 해결할 길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려 주셨습니다. 이는 인간의 눈으로 보기에는 아주 의외의, 역설적인 길이었습니다.
1. 이방인 선교의 역설
사실 바울은 어느 도시든 들어가면 언제나 유대인의 회당부터 먼저 들어가 복음을 전했습니다. 하지만 유대인들은 복음을 배척했고, 그 결과 이방인들이 복음을 받아들여 하나님의 백성이 되었습니다. 즉 이스라엘이 넘어짐으로 구원이 이방인에게로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바울은 유대인의 실패로 이방인이 구원을 받았듯이 또한 이방인이 하나님의 백성이 된 것을 유대인이 시기함으로 결국 그들도 구원받게 될 것을 기대했습니다. 바울은 유대인 중 일부가 버림을 받고 그 자리에 다른 여러 민족이 들어와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처럼 유대인이 죽은 자가 다시 살아나는 것과 같은 은혜를 경험하리라고 기대합니다. 그렇게 되면 결과적으로 유대인과 이방인의 구분은 사라지고, 그저 모두가‘하나님의 백성’이 됩니다. 바울은 이처럼 큰 꿈을 꾸며 선교 사역을 이어갔습니다.
2. 중요한 것은 뿌리에 있다.
중요한 것은 유대인이냐, 이방인이냐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아들이느냐, 아니냐에 있습니다. 바울은 이 사실을 처음 익은 곡식과 감람나무 비유로 설명합니다. 첫 수확물이 제사로 드려지면 나머지 곡식들도 모두 하나님께 드려졌다고 여겨졌고, 그것으로 만든 빵까지 하나님께 드려진 셈이 됩니다(민 15:20). 또 돌감람나무 가지라 하더라도 참감람나무에 접붙이면 그 뿌리 덕에 그 가지는 참감람나무의 일부가 됩니다. 첫 곡식과 뿌리는 모두 예수님을 상징합니다. 예수님이 하나님께 드려지셨기에 우리도 드려졌고, 우리가 예수님께 붙어 있기에 거룩한 백성이 됩니다. 바울은 믿음을 온전히 지키지 못하면 원래 유대인들이 하나님의 백성이었다가 꺾여 나간 것처럼 이방인 그리스도인들도 하나님께 가차 없이 잘려나갈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우리의 조건이나 행위가 아닌 오직 예수님이 구원의 길이라는 사실을 명심하십시오.
3. 새로운 기회를 주시리라.
하나님은 준엄하셔서 믿음이 없다면 유대인이라도 버리십니다. 또 하나님은 인자하셔서 믿음이 있다면 이방인이라도 구원하십니다. 돌감람나무 가지로 비유되는 이방인은 원래 하나님 백성이 아니었지만 참감람나무에 접붙임을 받아, 즉 예수님을 영접하여 구원을 받았습니다. 돌감람나무 가지도 접붙임을 받을 수 있다면, 원감람나무 가지인 유대인도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해 구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자기 민족을 향한 바울의 소망이었습니다. 우리도 주위의 친지와 이웃을 향해 이런 소망을 품어야 합니다. 그의 과거 모습이 어떠했든, 예수님을 영접하면 하나님은 인자하셔서 구원을 베풀어 주십니다.
바울은 동족 유대인들로부터 박해를 받았고 오히려 이방인들에게 영접을 받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족을 구원하겠다는 소망을 버리지 않았습니다. 혹시 가까운 친지나 이웃 가운데 너무 완고하게 거부하여 전도를 포기한 사람은 없습니까? 바울이 박해를 당하면서도 동족 구원을 위해 노력했다면, 우리도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지 못할 이유는 없을 것입니다. 주님이 구령의 열정을 우리 가운데 회복시키시기를 위해 기도하는 시간을 가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