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삼일에 에스더가 왕후의 예복을 입고 왕궁 안 뜰 곧 어전 맞은편에 서니 왕이 어전에서 전 문을 대하여 왕좌에 앉았다가
2 왕후 에스더가 뜰에 선 것을 본즉 매우 사랑스러우므로 손에 잡았던 금 규를 그에게 내미니 에스더가 가까이 가서 금 규 끝을 만진지라
3 왕이 이르되 왕후 에스더여 그대의 소원이 무엇이며 요구가 무엇이냐 나라의 절반이라도 그대에게 주겠노라 하니
4 에스더가 이르되 오늘 내가 왕을 위하여 잔치를 베풀었사오니 왕이 좋게 여기시거든 하만과 함께 오소서 하니
5 왕이 이르되 에스더가 말한 대로 하도록 하만을 급히 부르라 하고 이에 왕이 하만과 함께 에스더가 베푼 잔치에 가니라
6 잔치의 술을 마실 때에 왕이 에스더에게 이르되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뇨 곧 허락하겠노라 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뇨 나라의 절반이라 할지라도 시행하겠노라 하니
7 에스더가 대답하여 이르되 나의 소청, 나의 요구가 이러하니이다
8 내가 만일 왕의 목전에서 은혜를 입었고 왕이 내 소청을 허락하시며 내 요구를 시행하시기를 좋게 여기시면 내가 왕과 하만을 위하여 베푸는 잔치에 또 오소서 내일은 왕의 말씀대로 하리이다 하니라
9 그 날 하만이 마음이 기뻐 즐거이 나오더니 모르드개가 대궐 문에 있어 일어나지도 아니하고 몸을 움직이지도 아니하는 것을 보고 매우 노하나
10 참고 집에 돌아와서 사람을 보내어 그의 친구들과 그의 아내 세레스를 청하여
11 자기의 큰 영광과 자녀가 많은 것과 왕이 자기를 들어 왕의 모든 지방관이나 신하들보다 높인 것을 다 말하고
12 또 하만이 이르되 왕후 에스더가 그 베푼 잔치에 왕과 함께 오기를 허락 받은 자는 나밖에 없었고 내일도 왕과 함께 청함을 받았느니라
13 그러나 유다 사람 모르드개가 대궐 문에 앉은 것을 보는 동안에는 이 모든 일이 만족하지 아니하도다 하니
14 그의 아내 세레스와 모든 친구들이 이르되 높이가 오십 규빗 되는 나무를 세우고 내일 왕에게 모르드개를 그 나무에 매달기를 구하고 왕과 함께 즐거이 잔치에 가소서 하니 하만이 그 말을 좋게 여기고 명령하여 나무를 세우니라
에스더서에는 왕이나 하만처럼 겉으로는 강력한 권세를 가진 것 같지만 실제로는 아무것도 못하는 자들과 모르드개와 에스더처럼 겉으로는 아무런 힘이 없어 보이지만 실상은 그 누구보다 강력한 권능을 가진 사람이 대조되어 나타납니다. 오늘 본문에서도 최고의 권세자인 왕 앞에서 연약한 모습이지만 실제로는 강력한 왕후 에스더와,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강한 것처럼 착각하며 안하무인 격으로 행동하는 하만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겸손하고 신중한 권세자(1~8절)
1장의 와스디 사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왕후에게는 아무런 실권이 없었습니다. 게다가 에스더는 유다인 고아 출신으로서 와스디의 뒤를 이었기에 그저 형식상 왕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을 뿐입니다. 하지만 에스더가 목숨을 걸고 왕후의 예복을 입고 왕 앞에 나아가자, 하나님은 그녀가 왕의 눈에 사랑스럽게 하시고, 왕권의 상징인 금 규를 만지게 하실 뿐 아니라 ‘나라의 절반’을 약속받게 하십니다(1〜3절). 에스더와 유다인들의 금식 기도가 응답되어 단숨에 왕권이 에스더에게 주어진 것입니다. 에스더가 권세를 잡았다는 사실은 그녀가 잔치를 베풀었다는 데에서도 나타납니다(4절). 잔치는 권세자들이 여는 행위입니다. 게다가 그곳에 참석하는 자가 왕과 하만이니 에스더는 가장 높은 자들을 불러 잔치를 베푸는 권세자로 올라선 것입니다(5절). 잔치 자리에서 왕이 다시 한번 나라의 절반이라도 주겠다고 약속함에도 불구하고(6절) 에스더는 침착하게 다시 한번 하만과 함께 참여해 달라고만 요청합니다(7~8절). 실권을 잡았음에도 교만해지지 않고 신중하게 권세를 사용하는 에스더의 모습은 참된 권세자의 모습을 잘 보여 줍니다. 혹시 우리가 다른 이들 위에서 지휘하고 감독하는 자리에 서게 된다면 더욱 겸손할 줄 알아야 합니다.
교만하고 변덕스러운 우매자(9~14절)
겸손하고 신중한 모습을 보였던 에스더와는 달리, 하만은 감정 기복이 심하여 변덕스러울 뿐 아니라 매우 교만합니다. 에스더의 잔치에서 나올 때만 해도 하만은 즐거웠습니다. 하지만 모르드개를 보고 매우 노했습니다(9절). 이처럼 자기 마음을 다스리지 못하고 변덕스러운 자가 권세를 가지면 아랫사람들을 힘들게 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자신을 파멸로 이끌 수밖에 없습니다. 하만은 친구들과 아내 앞에서 자기가 얼마나 큰 영광을 가졌는지를 자랑합니다(10〜12절). 그런데 이렇게 기쁜 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 앞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 모르드개 한 사람을 용납하지 못해 분노를 참지 못합니다(13절). 이런 말에 모르드개를 죽여 50규빗(약 22〜25미터, 아파트 7〜8층 높이) 높이의 나무에 매단 후에 왕과 함께 즐겁게 잔치에 가라고 말하는 그 아내와 친구들 역시 심판을 당해 마땅한 자들입니다(14a절). 물론 이런 말을 듣고 그 일을 그대로 행하도록 명령하는 하만이야말로 권세를 가질 자격이 없으며 죽임을 당해 마땅한 자임이 분명합니다(14b절). 하나님은 겸손한 자를 높이시고, 교만한 자를 낮추시는 분입니다. 세상에서 어떤 위치에 서 있건 간에 모든 사람은 주님의 종들일 뿐입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복을 주시고 높이실수록, 우리는 자신을 낮추고 겸손하며 신중하게 움직이는 지혜를 가져야 합니다.
권세를 가지고 높아질수록 겸손할 줄 알아야 한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 자리에 섰을 때 그대로 실천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평소에 주님 앞에서 겸손한 마음을 품은 사람이 높은 자리에 가게 되어도 교만에 빠지지 않고 지혜롭고 신중하게 행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항상 다른 사람을 배려하며, 무엇보다 주님 앞에서 겸손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