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전에 라이스 땅을 정탐하러 갔던 다섯 사람이 그 형제들에게 말하여 이르되 이 집에 에봇과 드라빔과 새긴 신상과 부어 만든 신상이 있는 줄을 너희가 아느냐 그런즉 이제 너희는 마땅히 행할 것을 생각하라 하고
15.다섯 사람이 그 쪽으로 향하여 그 청년 레위 사람의 집 곧 미가의 집에 이르러 그에게 문안하고
16.단 자손 육백 명은 무기를 지니고 문 입구에 서니라
17.그 땅을 정탐하러 갔던 다섯 사람이 그리로 들어가서 새긴 신상과 에봇과 드라빔과 부어 만든 신상을 가져갈 때에 그 제사장은 무기를 지닌 육백 명과 함께 문 입구에 섰더니
18.그 다섯 사람이 미가의 집에 들어가서 그 새긴 신상과 에봇과 드라빔과 부어 만든 신상을 가지고 나오매 그 제사장이 그들에게 묻되 너희가 무엇을 하느냐 하니
19.그들이 그에게 이르되 잠잠하라 네 손을 입에 대라 우리와 함께 가서 우리의 아버지와 제사장이 되라 네가 한 사람의 집의 제사장이 되는 것과 이스라엘의 한 지파 한 족속의 제사장이 되는 것 중에서 어느 것이 낫겠느냐 하는지라
20.그 제사장이 마음에 기뻐하여 에봇과 드라빔과 새긴 우상을 받아 가지고 그 백성 가운데로 들어가니라
21.그들이 돌이켜서 어린 아이들과 가축과 값진 물건들을 앞세우고 길을 떠나더니
22.그들이 미가의 집을 멀리 떠난 때에 미가의 이웃집 사람들이 모여서 단 자손을 따라 붙어서
23.단 자손을 부르는지라 그들이 얼굴을 돌려 미가에게 이르되 네가 무슨 일로 이같이 모아 가지고 왔느냐 하니
24.미가가 이르되 내가 만든 신들과 제사장을 빼앗아 갔으니 이제 내게 오히려 남은 것이 무엇이냐 너희가 어찌하여 나더러 무슨 일이냐고 하느냐 하는지라
25.단 자손이 그에게 이르되 네 목소리를 우리에게 들리게 하지 말라 노한 자들이 너희를 쳐서 네 생명과 네 가족의 생명을 잃게 할까 하노라 하고
26.단 자손이 자기 길을 간지라 미가가 단 자손이 자기보다 강한 것을 보고 돌이켜 집으로 돌아갔더라
27.단 자손이 미가가 만든 것과 그 제사장을 취하여 라이스에 이르러 한가하고 걱정 없이 사는 백성을 만나 칼날로 그들을 치며 그 성읍을 불사르되
28.그들을 구원할 자가 없었으니 그 성읍이 베드르홉 가까운 골짜기에 있어서 시돈과 거리가 멀고 상종하는 사람도 없음이었더라 단 자손이 성읍을 세우고 거기 거주하면서
29.이스라엘에게서 태어난 그들의 조상 단의 이름을 따라 그 성읍을 단이라 하니라 그 성읍의 본 이름은 라이스였더라
30.단 자손이 자기들을 위하여 그 새긴 신상을 세웠고 모세의 손자요 게르솜의 아들인 요나단과 그의 자손은 단 지파의 제사장이 되어 그 땅 백성이 사로잡히는 날까지 이르렀더라
31.하나님의 집이 실로에 있을 동안에 미가가 만든 바 새긴 신상이 단 자손에게 있었더라
자동차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시동을 걸고 액셀을 밟아야 합니다. 제동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를 밟아야 합니다. 이 두 장치는 운전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만일 액셀만 밟고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금방 사고를 당해 큰 위험을 겪을 것입니다. 본문의 등장인물들이 이를 잘 보여 줍니다.
이전에 정탐을 갔던 다섯 사람이 단 지파 군사들에게 미가의 집에 목상과 에봇과 드라빔과 은으로 도금한 신상이 있으니 그것을 빼앗자고 제안했습니다(14절). 미가가 집에 없는 상황에서 젊은 레위인은 신당이 약탈당하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습니다(15-17절). 무장한 6백 명의 군인이 문 입구에서 있었기 때문입니다. 단 지파는 하나님이 아니라 사람이 만든 우상을 힘으로 차지하려고 했습니다. 성공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우상을 손에 넣으려 했던 것입니다. 영적 무지는 심각한 오류를 낳습니다.
단 자손은 신상을 약탈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젊은 레위인에게 자신들의 아버지와 제사장이 되라고 권했습니다(19절). 한 집안의 제사장보다는 한 지파의 제사장이 되는 것이 더 낫지 않느냐고 귀가 솔깃할 만한 제안을 했습니다. 그러자 젊은 레위인은 기뻐하면서 미가의 우상들을 가지고 그들을 따라갔습니다(20절). 이 모습은 성공주의 목회자의 자화상입니다. 세상에서 잘 되는 것보다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자로 사는 것이 진정한 성공입니다.
미가는 이웃들을 불러 모아 추격에 나섰습니다(21-22절). 단 사람들은 어린아이들과 가축을 앞세우고 갔기에 금방 따라잡혔습니다. 단 지파 사람들은 ‘왜 쫓아왔느냐?’라며 뻔뻔하게 반응했습니다(23절). 미가는“내가 만든 신들을 다 훔쳐 가놓고 무슨 일이냐고 묻는 것이냐?”라고 항의했습니다(24절). 이 말은 우상숭배의 어리석음을 그대로 드러냅니다. 그가 만든 신상들은 자신을 보호할 수 없어 끌려가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우상이 자신을 구해 주리라고 기대하지만 우상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단 지파 사람들은 “조용히 돌아가라! 그렇지 않으면 다 죽일 것이다”라고 협박했습니다(25절). 미가는 그들을 이길 수 없음을 깨닫고 말없이 돌아갔습니다(26절). 미가는 우상들도 빼앗기고 제사장에게도 배신을 당했습니다. 미가는 레위 사람을 제사장으로 모셨으니 복을 받을 것이라 기대했지만 그에게 임한 것은 재산 몰수와 배신이라는 하나님의 심판이었습니다. 누구든 하나님의 기준을 무시하고 사람의 기준대로 살게 되면 이렇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단 자손은 라이스에 이르러 주저하지 않고 칼날로 치고 성읍을 불살랐습니다(27절). 그러고 나서 성읍을 재건하고 거기에 정착해 그곳을‘단’으로 개명했습니다(28-29절). 더 충격적인 일은 그들이 신상을 만들었다는 것과 제사장이 된 그 젊은 레위인이 모세의 손자이자 게르솜의 아들인 ‘요나단’이라는 것입니다(30절). 십계명을 전해 준 모세의 후손이 제1계명을 어기는 아이러니를 봅니다.
단 지파의 만행과 폭력 그리고 요나단의 배신과 제사장 직무는 끝없는 이스라엘의 타락상을 보여 줍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집이 실로에 있는 동안 미가가 만든 우상을 그대로 두고 섬겼습니다(31절). 오늘 본문에는 하나님을 떠나 자기 이익을 위해 배신과 폭력을 일삼는 기회주의자들이 가득합니다. 잘못된 길로 들어섰을 때 빨리 깨닫고 바른길로 돌아와야 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탐욕이 우리를 더 깊은 나락으로 떨어뜨릴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