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요한의 제자들이 이 모든 일을 그에게 알리니
19 요한이 그 제자 중 둘을 불러 주께 보내어 이르되 오실 그이가 당신이오니이까 우리가 다른 이를 기다리오리이까 하라 하매
20 그들이 예수께 나아가 이르되 세례 요한이 우리를 보내어 당신께 여쭈어 보라고 하기를 오실 그이가 당신이오니이까 우리가 다른 이를 기다리오리이까 하더이다 하니
21 마침 그 때에 예수께서 질병과 고통과 및 악귀 들린 자를 많이 고치시며 또 많은 맹인을 보게 하신지라
22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희가 가서 보고 들은 것을 요한에게 알리되 맹인이 보며 못 걷는 사람이 걸으며 나병환자가 깨끗함을 받으며 귀먹은 사람이 들으며 죽은 자가 살아나며 가난한 자에게 복음이 전파된다 하라
23 누구든지 나로 말미암아 실족하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하시니라
24 요한이 보낸 자가 떠난 후에 예수께서 무리에게 요한에 대하여 말씀하시되 너희가 무엇을 보려고 광야에 나갔더냐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냐
25 그러면 너희가 무엇을 보려고 나갔더냐 부드러운 옷 입은 사람이냐 보라 화려한 옷을 입고 사치하게 지내는 자는 왕궁에 있느니라
26 그러면 너희가 무엇을 보려고 나갔더냐 선지자냐 옳다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선지자보다도 훌륭한 자니라
27 기록된 바 보라 내가 내 사자를 네 앞에 보내노니 그가 네 앞에서 네 길을 준비하리라 한 것이 이 사람에 대한 말씀이라
28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여자가 낳은 자 중에 요한보다 큰 자가 없도다 그러나 하나님의 나라에서는 극히 작은 자라도 그보다 크니라 하시니
29 모든 백성과 세리들은 이미 요한의 세례를 받은지라 이 말씀을 듣고 하나님을 의롭다 하되
30 바리새인과 율법교사들은 그의 세례를 받지 아니함으로 그들 자신을 위한 하나님의 뜻을 저버리니라
31 또 이르시되 이 세대의 사람을 무엇으로 비유할까 무엇과 같은가
32 비유하건대 아이들이 장터에 앉아 서로 불러 이르되 우리가 너희를 향하여 피리를 불어도 너희가 춤추지 않고 우리가 곡하여도 너희가 울지 아니하였다 함과 같도다
33 세례 요한이 와서 떡도 먹지 아니하며 포도주도 마시지 아니하매 너희 말이 귀신이 들렸다 하더니
34 인자는 와서 먹고 마시매 너희 말이 보라 먹기를 탐하고 포도주를 즐기는 사람이요 세리와 죄인의 친구로다 하니
35 지혜는 자기의 모든 자녀로 인하여 옳다 함을 얻느니라
누가의 저술목적 중 가장 핵심은 바로 예수님이 새 이스라엘의 왕이심을 선포하는 것입니다. 유대인들은 예수님이 그리스도이심을 거부했지만, 이방인이었던 누가는 계속 예수님의 그리스도 되심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오늘 본문은 바로 이 메시지를 웅변적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오실 그이가 당신이십니까?(18~23절)
누가복음은 세례 요한이 상징하는 구약과 유대교, 그리고 예수님이 상징하는 신약과 교회의 관계에 대해 큰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1〜3장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여기서도 누가는 마태복음보다 더 큰 관심을 표현하며, 세례 요한이 자신의 제자들을 통해 전한 말을 굳이 반복해서 기록합니다(18〜20절; 마 11:2~3). 특히 누가는 마침 예수님의 치유사역을 요한의 제자들이 볼 수 있었다는, 마태복음에는 없는 내용을 언급해 확실성을 강조합니다(21절). 예수님은 이사야서에 기록된 하나님 나라의 증거 구절들을 인용하시며, 당신이 메시아이심을 밝혀 주십니다(22절; 사 26:19; 29:18〜19; 35:5〜6; 61:1). 성경의 예언이 예수님을 통해 이뤄지고 있고, 요한의 제자들이 자기들의 눈으로 직접 보았으니 예수님이 그리스도이심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예수님이 유대인들이 기대하던 메시아의 모습과 다른 것은 분명합니다. 아마 세례 요한도 자기의 기대와 많이 다르다는 생각에 제자들을 보냈을 것입니다. 어쩌면 세례 요한은 자기 생명을 바쳐 그분의 길을 준비했는데 정작 그분이 자기 기대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 불안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실족하지 않는 자가 복이 있다고 선언하십니다(23절). 하나님 나라는 인간의 바람대로 임하지 않습니다. 지금도 주님은 주님의 시간에 가장 적절한 방식으로 섭리하시며, 교회를 통해 그 영광을 드러내십니다. 내 생각과 기대대로 교회가 움직이지 않는다고 낙심해서는 안 됩니다.
누가 말씀을 따르는 자인가?(24〜35절)
세례 요한의 제자들이 떠나자, 예수님은 세례 요한의 가치, 곧 구약성경과 이스라엘 역사의 가치에 대해 설명하십니다. 출애굽 한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모세를 통해 말씀을 받았듯이, 당시 유대인들은 광야로 나가 세례 요한을 통해 말씀을 받았습니다(24〜26절). 하나님은 세례 요한, 곧 구약성경을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보내셨으며, 예수님 이전까지 그만큼 위대한 존재는 없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을 통해 세워진 하나님 나라에서는 지극히 작은 자라도 세례 요한보다 더 큽니다(27〜28절). 왜냐하면 하나님 나라에서는 구약의 모든 은총이 성취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구약성경의 은혜와 혜택(요한의 세례)은 백성에게 주어졌지, 정작 구약성경을 열심히 공부했던 바리새인과 율법학자에게는 주어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율법의 전문가들이 오히려 구약성경의 총아인 세례 요한의 선포에 귀를 기울이지도 않았고, 그 말에 순종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29〜30절). 그들은 금욕적인 모습을 보이며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세례 요한은 귀신이 들렸다고 하고, 금욕적이지 않으신 예수님은 먹고 마시기를 탐하는 자라고 비난합니다(33〜35절). 예수님은 말씀을 잘 아는 사람이 하나님 나라의 은혜를 누리는 것이 아니라 그 앞에서 온전히 순종하고 세례를 받는 자들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음을 분명히 보여 주십니다.
오래 신앙생활을 한 사람, 성경을 많이 아는 사람들은 ‘내가 이만큼 헌신했으니 복을 주시겠지’하는 기대가 이뤄지지 않으면 불평하곤 합니다. 이는 예수님 당시의 종교 지도자들이 자기들의 기대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예수님을 거부하고, 자기 귀에 달콤하게 들리는 말씀만 듣고 선포했던 것과 비슷합니다. 이런 사람들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이런 교만한 태도를 버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