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누가 하나님 나라에 합당한가?_누가복음 5:12-26

12 예수께서 한 동네에 계실 때에 온 몸에 나병 들린 사람이 있어 예수를 보고 엎드려 구하여 이르되 주여 원하시면 나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나이다 하니

13 예수께서 손을 내밀어 그에게 대시며 이르시되 내가 원하노니 깨끗함을 받으라 하신대 나병이 곧 떠나니라

14 예수께서 그를 경고하시되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고 가서 제사장에게 네 몸을 보이고 또 네가 깨끗하게 됨으로 인하여 모세가 명한 대로 예물을 드려 그들에게 입증하라 하셨더니

15 예수의 소문이 더욱 퍼지매 수많은 무리가 말씀도 듣고 자기 병도 고침을 받고자 하여 모여 오되

16 예수는 물러가사 한적한 곳에서 기도하시니라

17 하루는 가르치실 때에 갈릴리의 각 마을과 유대와 예루살렘에서 온 바리새인과 율법교사들이 앉았는데 병을 고치는 주의 능력이 예수와 함께 하더라

18 한 중풍병자를 사람들이 침상에 메고 와서 예수 앞에 들여놓고자 하였으나

19 무리 때문에 메고 들어갈 길을 얻지 못한지라 지붕에 올라가 기와를 벗기고 병자를 침상째 무리 가운데로 예수 앞에 달아 내리니

20 예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이르시되 이 사람아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시니

21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생각하여 이르되 이 신성 모독 하는 자가 누구냐 오직 하나님 외에 누가 능히 죄를 사하겠느냐

22 예수께서 그 생각을 아시고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희 마음에 무슨 생각을 하느냐

23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는 말과 일어나 걸어가라 하는 말이 어느 것이 쉽겠느냐

24 그러나 인자가 땅에서 죄를 사하는 권세가 있는 줄을 너희로 알게 하리라 하시고 중풍병자에게 말씀하시되 내가 네게 이르노니 일어나 네 침상을 가지고 집으로 가라 하시매

25 그 사람이 그들 앞에서 곧 일어나 그 누웠던 것을 가지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자기 집으로 돌아가니

26 모든 사람이 놀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심히 두려워하여 이르되 오늘 우리가 놀라운 일을 보았다 하니라

제자를 부르신 사건(1〜11절)과 제자들 중에서 열두 사도를 세우신 사건(6:12〜16) 사이의 일들은 그저 나열된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제자로 부름 받음’이라는 하나의 주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누가는 예수님께 은혜를 받은 나병 환자와 중풍병자를 등장시키면서 그와 반대로 은혜를 받지 않은 사람들의 모습을 대조하고 있습니다.

자기 유익을 앞세우지 않는 자(12~16절)

한 나병환자가 예수님을 찾아와 ‘원하시면’ 자기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다고 고백합니다(12절). 이는 모든 것이 주님의 주권에 속했음을 고백하는 표현입니다. 이처럼 겸손히 도움을 요청하는 그에게 예수님은 “내가 원한다”고 하시며 그를 깨끗하게 하십니다(13절). 예수님은 다른 사람에게는 알리지 말고 제사장에게 가서 깨끗하게 되었음을 확인받으라고 하셨습니다(14절). 하지만 예수님에 관한 소문은 더 퍼졌고, 수많은 무리가 모여들었습니다. 누가는 그들이 ‘말씀도 듣고 자기 병도 고침을 받고자’하는, 즉 자기 유익을 추구하는 자들이었음을 밝힙니다(15절). 예수님은 그들을 통해 세력을 규합하려 하시지 않고, 오히려 이들을 떠나 한적한 곳에 가셔서 기도하십니다(16절). 하나님의 나라는 자기 뜻이 아니라 주님의 뜻을 따르고, 자기 유익을 구하지 않는 자들에 의해 세워지는 영적 공동체이기 때문입니다.

믿음으로 나아오는 자(17~20절)

공관복음에서 ‘무리’는 예수님을 보겠다고 모여들지만, 사실상 그들은 자기 유익을 구하는 자들이기에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쓰임 받지 못합니다. 오히려 믿음의 사람들의 앞을 막는 장애물이 되기만 하는데, 여기서도 마찬가지입니다(19a절). 그 무리에는 유대인이 사는 지역의 각 곳에서 온 바리새인과 율법 교사들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17절). 그러나 믿음의 사람은 아무리 무리의 방해를 받아도 어떻게든 그 장애를 뚫고 예수님께 나아갑니다(18, 19b절). 이들은 지붕에 올라가 기와를 벗기고 중풍병자를 달아 내리는 수고까지 마다하지 않고 예수님께 나아갔습니다. 예수님은 그들에게서 ‘믿음’을 보셨고(20a절), 그 자리에서 중풍병자의 죄 사함을 선포하시는데, 이는 예수님이 계신 그 집이 성전이 되었음을 알려 줍니다. 이처럼 믿음을 가진 자는 어떤 장애라도 뚫고 나아가려 하고, 그가 있는 곳은 어디나 주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성전이 될 수 있습니다.

종교에 묶이지 않은 자(21~26절)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은 하나님만이 죄를 사하실 수 있고, 죄 사함의 선언은 성전에서 제사장만이 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겼기에 예수님이 신성 모독죄를 저질렀다고 판단했습니다(21〜22절). 그러나 예수님이 세우실 하나님 나라에서는 성전 제사가 아니라 믿음으로 말미암아 죄 사함을 얻게 됩니다. 예수님의 사죄 선포는 성전에서 제사장들이 선언하는 종교적 언사가 아니라 실제로 역사하는 권능의 말씀이었습니다(23〜24a절). 예수님은 그 사람에게 침상을 가지고 집으로 가라고 명하셨고, 그는 곧 일어나 자기 침상을 들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집으로 돌아갔습니다(24b〜25절). 사람들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심히 두려워했는데, 이는 하나님의 권능을 목격했을 때의 반응입니다(26절). 이처럼 종교적 형식을 붙잡는 자가 아니라 살아 계신 하나님을 온전하게 믿는 자가 하나님의 은혜를 누릴 수 있습니다.

우리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죄 사함을 받고 하나님의 자녀가 됩니다. 믿음이란 주님의 주권을 전적으로 인정하고, 어떤 환경에서도 주님께 적극적으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이런 믿음의 사람이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쓰임 받습니다.

5 views

Recent Posts

See All

16 그가 다윗을 인도하여 내려가니 그들이 온 땅에 편만하여 블레셋 사람들의 땅과 유다 땅에서 크게 약탈하였음으로 말미암아 먹고 마시며 춤추는지라 17 다윗이 새벽부터 이튿날 저물 때까지 그들을 치매 낙타를 타고 도망한 소년 사백 명 외에는 피한 사람이 없었더라 18 다윗이 아말렉 사람들이 빼앗아 갔던 모든 것을 도로 찾고 그의 두 아내를 구원하였고 19

1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사흘 만에 시글락에 이른 때에 아말렉 사람들이 이미 네겝과 시글락을 침노하였는데 그들이 시글락을 쳐서 불사르고 2 거기에 있는 젊거나 늙은 여인들은 한 사람도 죽이지 아니하고 다 사로잡아 끌고 자기 길을 갔더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성읍에 이르러 본즉 성읍이 불탔고 자기들의 아내와 자녀들이 사로잡혔는지라 4 다윗과 그와 함께 한

1 블레셋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군대를 아벡에 모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스르엘에 있는 샘 곁에 진 쳤더라 2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은 수백 명씩 수천 명씩 인솔하여 나아가고 다윗과 그의 사람들은 아기스와 함께 그 뒤에서 나아가더니 3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이 이르되 이 히브리 사람들이 무엇을 하려느냐 하니 아기스가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에게 이르되 이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