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여섯째 달에 천사 가브리엘이 하나님의 보내심을 받아 갈릴리 나사렛이란 동네에 가서
27 다윗의 자손 요셉이라 하는 사람과 약혼한 처녀에게 이르니 그 처녀의 이름은 마리아라
28 그에게 들어가 이르되 은혜를 받은 자여 평안할지어다 주께서 너와 함께 하시도다 하니
29 처녀가 그 말을 듣고 놀라 이런 인사가 어찌함인가 생각하매
30 천사가 이르되 마리아여 무서워하지 말라 네가 하나님께 은혜를 입었느니라
31 보라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32 그가 큰 자가 되고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라 일컬어질 것이요 주 하나님께서 그 조상 다윗의 왕위를 그에게 주시리니
33 영원히 야곱의 집을 왕으로 다스리실 것이며 그 나라가 무궁하리라
34 마리아가 천사에게 말하되 나는 남자를 알지 못하니 어찌 이 일이 있으리이까
35 천사가 대답하여 이르되 성령이 네게 임하시고 지극히 높으신 이의 능력이 너를 덮으시리니 이러므로 나실 바 거룩한 이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어지리라
36 보라 네 친족 엘리사벳도 늙어서 아들을 배었느니라 본래 임신하지 못한다고 알려진 이가 이미 여섯 달이 되었나니
37 대저 하나님의 모든 말씀은 능하지 못하심이 없느니라
38 마리아가 이르되 주의 여종이오니 말씀대로 내게 이루어지이다 하매 천사가 떠나가니라
천사 가브리엘은 마리아를 찾아와 그녀를 ‘은혜받은 자’라고 불렀습니다. 하나님이 그녀를 통해 구세주를 이 땅에 보내기로 작정하셨기 때문입니다. 마리아는 하나님의 뜻에 온전히 순종했습니다. 마리아는 순종이 어려운 상황에서 순종을 선택함으로써 우리에게 본을 보여 주었습니다. 마리아의 순종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요?
상황을 뛰어넘는 순종
가브리엘 천사는 마리아가 조만간 아들을 낳을 것이며 그 아이의 이름을 예수로 하라고 전합니다. 마리아는 천사가 한 이야기를 듣고 너무나 당황합니다. 그녀는 요셉과 결혼을 앞두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율법에 따르면 약혼한 신랑이 신부에게 재정적 보상을 하고 나면 결혼 관계가 아니더라도 둘은 부부로 여겨졌습니다. 재정적 보상 이후에 1년이 지나면 신랑은 신부를 집으로 데려와 혼인 예식을 치를 수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리아는 사회적으로 이미 요셉의 아내였습니다. 그런데 임신을 하게 되면 정혼자인 요셉에게 도덕적으로 의심을 받을 것이며 정혼자를 배반한 부정한 여인으로 사람들에게 지탄받게 될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마리아가 두려움을 느낀 것은 너무나 당연합니다. 그러나 그녀는 사람들의 오해와 비난에 대한 두려움 속에서도 결연하게 순종을 선택합니다. 자신에게 말씀하시는 하나님을 자신의 주인으로 인정함으로써 그분의 뜻에 굴복한 것입니다. 많은 사람이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는 이유로 자신의 처지와 상황을 내세웁니다. 분주한 일상과 재정적 어려움이,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치러야 할 피곤함이 핑계가 되어 봉사와 사역으로 부르시는 하나님의 음성을 저버립니다. 우리는 마리아의 순종을 보면서 상황을 핑계 대지 않는 겸손함을 배워야 합니다. 겸손한 순종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축복을 경험하시기 바랍니다.
이성을 뛰어넘는 순종
마리아는 천사에게 물었습니다. 자기는 남자와 관계를 가진 적이 없는데 어떻게 아들을 낳느냐는 것입니다. 처녀인 마리아는 자신이 아들을 낳을 것이라는 천사의 말을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녀가 의심하기에 충분한 상황입니다. 마리아의 질문에 천사는 성령의 능력이 이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대답합니다. 그러고는 오랫동안 임신하지 못했던 친척 엘리사벳이 임신한 사실을 이야기해 줍니다. 천사는 마리아에게 하나님의 무한하신 능력을 믿으라고 도전한 것입니다. 마리아는 이 순간 이성과 믿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이성을 주셨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이성을 사용해 이해하고 배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으로 만족해서는 안 됩니다. 때로는 하나님의 전능하심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이성을 뛰어넘어 순종해야 할 때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오직 믿음으로 여리고 성을 무너뜨렸습니다(수 6장). 만약 그들이 이성적으로 행동했다면 철옹성 같은 여리고를 결코 함락시킬 수 없었을 것입니다. 마리아는 자신의 ‘이성으로' 이해되지 않는 하나님의 뜻에 ‘믿음으로’ 순종했습니다. 하나님은 지금도 우리에게 믿음의 순종을 요구하십니다. 오직 하나님의 약속을 신뢰하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한 믿음의 순종을 통해 우리는 마침내 하나님의 뜻이 이 땅에 이루어지는 것을 보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자신의 생각과 하나님의 뜻이 부합할 때는 기쁘게 순종합니다. 그러나 진정한 순종은 우리의 상황이나 생각을 뛰어넘는 것입니다. 마리아는 이러한 순종의 본이 됩니다. 그 순종의 결과 이 땅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셨습니다. 이처럼 우리가 삶의 현장에서 온전히 순종할 때, 우리는 하나님의 구원이 임하는 역사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