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드기야가 왕위에 오를 때에 나이가 이십일 세라 예루살렘에서 십일 년 동안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하무달이라 립나인 예레미야의 딸이더라
2.그가 여호야김의 모든 행위를 본받아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한지라
3.여호와께서 예루살렘과 유다에게 진노하심이 그들을 자기 앞에서 쫓아내시기까지 이르렀더라 시드기야가 바벨론 왕을 배반하니라
4.시드기야 제구년 열째 달 열째 날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그의 모든 군대를 거느리고 예루살렘을 치러 올라와서 그 성에 대하여 진을 치고 주위에 토성을 쌓으매
5.그 성이 시드기야 왕 제십일년까지 포위되었더라
6.그 해 넷째 달 구일에 성중에 기근이 심하여 그 땅 백성의 양식이 떨어졌더라
7.그 성벽이 파괴되매 모든 군사가 밤중에 그 성에서 나가 두 성벽 사이 왕의 동산 곁문 길로 도망하여 갈대아인들이 그 성읍을 에워쌌으므로 그들이 아라바 길로 가더니
8.갈대아 군대가 그 왕을 뒤쫓아 가서 여리고 평지에서 시드기야를 따라 잡으매 왕의 모든 군대가 그를 떠나 흩어진지라
9.그들이 왕을 사로잡아 그를 하맛 땅 리블라에 있는 바벨론 왕에게로 끌고 가매 그가 시드기야를 심문하니라
10.바벨론 왕이 시드기야의 아들들을 그의 눈 앞에서 죽이고 또 리블라에서 유다의 모든 고관을 죽이며
11.시드기야의 두 눈을 빼고 놋사슬로 그를 결박하여 바벨론 왕이 그를 바벨론으로 끌고 가서 그가 죽는 날까지 옥에 가두었더라
52장은 바벨론에 의한 예루살렘 멸망에 대한 증언으로, 열왕기하 24:18-25:30과 내용이 거의 일치합니다. 예레미야의 예언을 귀담아듣지 않고 순종하는 데 주저했던 시드기는 결국 나라의 멸망을 막지 못하고 비참한 최후를 맞고 말았습니다.
1. 멸망을 선택하다
시드기야는 하나님에 대한 신앙도, 왕으로서의 줏대도, 국제 정세에 대한 시야도 없었던 자였습니다. 그는 바벨론이 세운 꼭두각시 왕이었지만 바벨론의 통치에 복종하라는 하나님의 말씀에도 불구하고 친애굽파였던 형 여호야김처럼 계속 애굽의 힘을 빌려 바벨론에게서 벗어나려 시도했습니다. 그는 결국 베니게, 모압, 에돔, 암몬 등과 힘을 합쳐 애굽의 도움을 받아 바벨론에게 저항하자는 움직임이 생기자 거기에 동조하고 말았는데, 예레미야는 이 일이 하나님의 진노하심 때문에 일어났다고 해석합니다. 지리적으로 바벨론에 비해 애굽이 훨씬 가까웠고, 솔로몬이 애굽에서 왕비를 택한 이후로 이어져 오던 애굽의 영향력과 친애굽 성향의 신하들의 세력이 만만치 않았기에 시드기야는 예레미야가 전한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말씀에 순종한다는 것은 내재되어 있는 죄의 영향력을 끊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결론은 멸망밖에 없습니다.
2. 모든 것을 잃어버리다
시드기야는 나름 열심히 바벨론의 침공에 대비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모든 것을 잃어버리는 데는 1년 5개월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우선 바벨론에 의해 포위당한 기간에 성안에는 먹을 것이 남아나지 않았습니다. 함께 싸우자고 했던 동맹국들도, 큰 나라 애굽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결국, 예루살렘의 성벽은 깨어지고, 군사들은 흩어져 버렸습니다. 그는 멀리 도망가지도 못하고 여리고 평지에서 바벨론 군대에 잡히고 말았습니다. 예레미야를 통해 전해진 하나님의 말씀을 거부한 시드기야는 그가 의지했던 예루살렘 성도, 성벽과 군대로 상징되는 왕권도 모두 박탈당하고 비참한 포로가 되고 말았습니다. 이처럼 하나님이 아니라 눈에 보이는 것을 의지하면 결국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맙니다. 영원히 존재하시는 하나님을 의뢰할 때에야 우리는 모든 것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3.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다
시드기야는 결국 북쪽 시리아의 리블라(립나; 참조, 왕하 25:6)로 끌려갑니다. 시드기야가 21세에 즉위해 11년을 통치한 시점이었기에 그의 아들들은 모두 어렸을 것입니다. 그 어린 아들들이 아버지의 눈앞에서 죽임을 당합니다. 젊은 아버지에게 어린 아들들의 죽음을 보여 주는 것이 그의 눈이 마지막으로 감당한 역할이었습니다. 시드기야는 그 후에 눈이 뽑힌 채 약속의 땅에서 쫓겨나 바벨론에서 죄수로서 최후를 맞이했습니다.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징계를 감내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주었지만, 시드기야는 사람을 의지하다가 모든 것을 잃고 말았습니다. 시드기야의 모습은 하나님의 말씀에서 떠난 자의 결말이 무엇인지를 잘 보여 줍니다. 하나님의 백성은 말씀위에 서야 합니다.
종교개혁자들이 강조했던 ‘오직 성경’은 우리가 하나님의 보호하심 아래 살아갈 수 있게 해 주는 절대적인 원리입니다. 말씀을 알지 않고, 그 말씀에 순종하지 않으면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고 누리고 있는 모든 것을 다 잃을 수도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합니다. 혹시 내게 아직도 순종하지 못하고 있는 하나님의 말씀이 있다면, 이 시간에 철저하게 회개하고 순종의 결단을 내려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