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월절이라 하는 무교절이 다가오매
2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를 무슨 방도로 죽일까 궁리하니 이는 그들이 백성을 두려워함이더라
3 열둘 중의 하나인 가룟인이라 부르는 유다에게 사탄이 들어가니
4 이에 유다가 대제사장들과 성전 경비대장들에게 가서 예수를 넘겨 줄 방도를 의논하매
5 그들이 기뻐하여 돈을 주기로 언약하는지라
6 유다가 허락하고 예수를 무리가 없을 때에 넘겨 줄 기회를 찾더라
7 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날이 이른지라
8 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시며 이르시되 가서 우리를 위하여 유월절을 준비하여 우리로 먹게 하라
9 여짜오되 어디서 준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10 이르시되 보라 너희가 성내로 들어가면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나리니 그가 들어가는 집으로 따라 들어가서
11 그 집 주인에게 이르되 선생님이 네게 하는 말씀이 내가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먹을 객실이 어디 있느냐 하시더라 하라
12 그리하면 그가 자리를 마련한 큰 다락방을 보이리니 거기서 준비하라 하시니
13 그들이 나가 그 하신 말씀대로 만나 유월절을 준비하니라
오늘부터 시작되는 수난 기사(22〜23장)를 통해 누가는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이 대제사장과 서기관의 힘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와 예수님의 적극적인 순종에 의해서 일어난 일이라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해하려는 자들의 의도를 이미 아셨음에도 불구하고 피하지 않으시고 하나님의 섭리에 순종해 그 가운데로 들어가십니다.
사탄을 따르는 지도자들(1~6절)
누가는 예수님의 가르침 단락(19:47〜21:38)과 비슷한 시작을 통해 새로운 이야기(수난 기사)가 시작됨을 알려 줍니다(47〜48절; 참조, 19:47〜48). 먼저 성전에 속한 대제사장과 서기관들, 곧 종교지도자들이 나오는데, 이들의 중요한 특징은 하나님이 아니라 백성, 곧 사람을 두려워했다는 사실입니다(2절). 그리고 또 다른 종류의 지도자, 곧 예수님을 따르는 자들의 열두 지도자 중 한 명이었던 가룟 유다가 그들을 찾아옵니다. 유다가 배신하는 장면에서 누가는 마태복음이나 마가복음에는 없는 사탄을 언급하는데, 이는 욥기를 떠올리게 합니다(3절; 참조, 욥 1:6). 예수님이 마치 욥과 같이 아무런 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고난을 받으심을 암시하는 것입니다. 유다가 예수님을 넘기는 대가로 받을 것은 돈, 곧 더러운 이익이었고(4〜5절), 그가 할 일은 그들이 두려워하는 대상, 곧 백성이 없을 때를 찾는 것입니다(6절). 대제사장, 서기관은 유대 사회에서 최고 지도자들입니다. 가룟 유다도 예수님의 많은 제자 중 열두 시도에 속한 사람이니 지도자 위치에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위치에 있던 사람이라 하더라도 하나님을 전심으로 따르지 않고 사람을 의식한다면 이렇게 더러운 이익이나 추구하는 사탄의 하수인으로 전락할 것입니다. 우리는 오직 진리만을 추구하고, 하나님만을 두려워해야 합니다. 또 누가 그런 지도자인지 분별해 내는 지혜를 구해야 합니다.
하나님께 순종하시는 예수님(7~13절)
예수님은 악인들의 모략에 당하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수난을 당하시기 위해 움직이셨습니다. 지금까지 종교지도자들이 예수님을 죽이려고 시도하지 않은 것이 아니지만 죽이지 못했던 이유는 하나님이 허락하지 않으셨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제는 ‘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이 되었고, 예수님은 유월절 양으로 죽임을 당하셔야 했습니다(7절; 참조, 막 14:12). 예수님은 제자들을 보내 유월절 식사를 준비하게 하셨는데(8절), 이 과정이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객실이 마련되어 있는 곳을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이 들어가는 집으로 따라가라고 하십니다. 남성 명사가 쓰였기에 그 사람이 남자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10절). 당시 물긷는 일은 보통 여종이 하는 일이었기 때문에 남자가 물동이를 가지고 가는 것은 이례적인 일입니다. 제자들은 예수님 말씀대로 그 사람을 따라가서 유월절 식사를 할 방을 마련했습니다. 유월절에는 방을 구하기가 몹시 어려웠는데, 그 방은 예수님을 위해 이례적으로 비어 있었습니다(11〜12절). 이처럼 주님은 이 모든 것이 하나님의 섭리에 따라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 주십니다. 세상에는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많고, 악인들이 득세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모든 것이 악인들을 멸하시고 하나님의 백성을 높이시기 위한 하나님의 섭리라는 사실을 깨닫고 주님을 의지하며 믿음을 잃지 말아야 합니다.
간혹 교회 지도자의 악행이 드러나 큰 충격과 파장을 일으킬 때가 있습니다. 그때 우리는 탄식하며 분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때문에 흔들리거나 하나님을 의심하는 마음을 품어서는 안 됩니다. 모든 것이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교회가 바로 세워지기 위한 과정 가운데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주님의 선하신 뜻을 바라보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