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너는 어서 속히 내게로 오라
10 데마는 이 세상을 사랑하여 나를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갔고 그레스게는 갈라디아로, 디도는 달마디아로 갔고
11 누가만 나와 함께 있느니라 네가 올 때에 마가를 데리고 오라 그가 나의 일에 유익하니라
12 두기고는 에베소로 보내었노라
13 네가 올 때에 내가 드로아 가보의 집에 둔 겉옷을 가지고 오고 또 책은 특별히 가죽 종이에 쓴 것을 가져오라
14 구리 세공업자 알렉산더가 내게 해를 많이 입혔으매 주께서 그 행한 대로 그에게 갚으시리니
15 너도 그를 주의하라 그가 우리 말을 심히 대적하였느니라
16 내가 처음 변명할 때에 나와 함께 한 자가 하나도 없고 다 나를 버렸으나 그들에게 허물을 돌리지 않기를 원하노라
17 주께서 내 곁에 서서 나에게 힘을 주심은 나로 말미암아 선포된 말씀이 온전히 전파되어 모든 이방인이 듣게 하려 하심이니 내가 사자의 입에서 건짐을 받았느니라
18 주께서 나를 모든 악한 일에서 건져내시고 또 그의 천국에 들어가도록 구원하시리니 그에게 영광이 세세무궁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19 브리스가와 아굴라와 및 오네시보로의 집에 문안하라
20 에라스도는 고린도에 머물러 있고 드로비모는 병들어서 밀레도에 두었노니
21 너는 겨울 전에 어서 오라 으불로와 부데와 리노와 글라우디아와 모든 형제가 다 네게 문안하느니라
22 나는 주께서 네 심령에 함께 계시기를 바라노니 은혜가 너희와 함께 있을지어다
바울은 지금 인생의 마지막에 있습니다. 그를 향한 재판은 이미 진행 중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어떤 결말을 맞을지 예상했기에, 복음 사역을 하는 동안 누구보다 위로가 되었던 디모데를 다시 한번 만나보길 원했습니다.
내게 속히 오라(9~13절)
바울은 디모데에게 속히 와 달라고 요구합니다. 지금 바울의 곁에는 아무도 없습니다. 그는 자신을 떠난 세 사람을 언급합니다. 데마, 그레스게, 디도가 그들입니다. 데마는 한 때 바울의 동역자였지만(골 4:14; 몬 1:24) 세상을 사랑하여 신앙을 버렸습니다. 반면 그레스게와 디도는 각자 다른 사역을 위해 떠났을 것입니다. 지금 바울의 곁에는 누가만이 남아 있습니다(행 20:6; 골 4:14; 몬 1:24). 그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저자로 바울의 선교 여행에 함께하면서 끝까지 바울을 수행했습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마가를 데려와 달라고 요청합니다. 마가는 바울의 제1차 선교 여행에서 바울 일행을 떠난 이후 바울과 관계가 좋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마가는 바울이 로마 감옥에 수감되었을 때 그와 함께 있었던 것으로 여겨집니다(골 4:10; 몬 1:24). 두기고는 에베소로 파송되었는데, 이는 디모데가 에베소를 떠났을 때 공석을 채우기 위한 조치로 보입니다. 바울과 함께 사역한 이들은 많았으나, 그 과정과 결말이 각기 달랐습니다. 우리는 믿음의 길을 걷다가 중도 포기하거나 세상 유혹에 흔들리지 않도록, 끝까지 믿음의 교제 안에서 신앙을 붙들어야 합니다.
천국에 들어갈 것을 소망함(14〜18절)
바울은 자신에게 직접적 해를 입힌 사람을 디모데에게 알려 주고 있습니다. 그는 구리 세공업자 알렉산더입니다. 그가 어떤 해를 바울에게 입혔는지는 알 수 없지만, 바울의 입장을 보며 그리스도인들이 원수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습니다. 곧 주께서 그 원수가 행한 대로 갚아주실 것이라고 믿는 것입니다. 또 바울은 처음 고난에 처했을 때 자신과 함께했던 사람들이 지금은 아무도 남아 있지 않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바울은 그들을 원망하거나 탓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떠날지라도 예수님이 자신의 곁에서 끝까지 함께하시고 힘을 주심을 바울은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그는 자신이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모든 어려움을 이기고 천국에 갈 것을 알았습니다. 우리는 신앙생활 하면서 사람들에게서 기쁨과 위로 또는 낙심과 실망을 경험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경험해야 할 것은 다른 사람을 탓하는 마음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입니다.
끝인사(19~22절)
바울은 편지의 마지막에 브리스가와 아굴라, 오네시보로의 집에 인사를 전합니다. 또 에라스도(행 19:22), 드로비모(행 20:4)의 근황도 언급합니다. 그러면서 겨울 전에 자기에게 속히 올 것을 요구합니다. 그리고 로마에서 안부를 전하는 이들의 인사와 함께 편지를 마칩니다. 특별히 바울은 주님이 디모데의 심령에 함께해 주실 것을 축복합니다. 아무리 외롭고 고통스러운 사역의 길이라도 주님이 그 마음에 함께 계심이 모든 근심의 해답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오직 주님이 우리의 심령에 함께 계실 때, 우리는 고난 중에서도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감옥에서 디모데에게 마지막 편지를 보내는 바울은 절망과 슬픔에 싸여 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확신과 소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어떤 고난도 그의 확신과 소망을 뒤흔들 수 없었습니다. 동역자들이 떠나간 상황에서도 허무함과 슬픔을 이겨 낸 바울을 보며, 소망과 기쁨의 원천이 주님께 있다는 사실을 다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