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반쪽짜리 가정, 절반의 변화_창세기 28:1-9

1 이삭이 야곱을 불러 그에게 축복하고 또 당부하여 이르되 너는 가나안 사람의 딸들 중에서 아내를 맞이하지 말고

2 일어나 밧단아람으로 가서 네 외조부 브두엘의 집에 이르러 거기서 네 외삼촌 라반의 딸 중에서 아내를 맞이하라

3 전능하신 하나님이 네게 복을 주시어 네가 생육하고 번성하게 하여 네가 여러 족속을 이루게 하시고

4 아브라함에게 허락하신 복을 네게 주시되 너와 너와 함께 네 자손에게도 주사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주신 땅 곧 네가 거류하는 땅을 네가 차지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5 이에 이삭이 야곱을 보내매 그가 밧단아람으로 가서 라반에게 이르렀으니 라반은 아람 사람 브두엘의 아들이요 야곱과 에서의 어머니 리브가의 오라비더라

6 에서가 본즉 이삭이 야곱에게 축복하고 그를 밧단아람으로 보내어 거기서 아내를 맞이하게 하였고 또 그에게 축복하고 명하기를 너는 가나안 사람의 딸들 중에서 아내를 맞이하지 말라 하였고

7 또 야곱이 부모의 명을 따라 밧단아람으로 갔으며

8 에서가 또 본즉 가나안 사람의 딸들이 그의 아버지 이삭을 기쁘게 하지 못하는지라

9 이에 에서가 이스마엘에게 가서 그 본처들 외에 아브라함의 아들 이스마엘의 딸이요 느바욧의 누이인 마할랏을 아내로 맞이하였더라

서로 속고 속이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게 된 언약의 가정은 반쪽짜리가 되었습니다. 뒤늦은 후회로 각자 상황을 바로잡으려 하지만 아직은 절반의 변화일 뿐입니다. 하나님이 진정 바라시는 것은 절반이 아닌 온전함입니다.

리브가는 두 아들을 모두 잃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야곱을 라반의 집으로 도피시킬 계획을 세웁니다. 그녀는 에서처럼 야곱도 헷 사람의 딸들과 결혼을 하면 삶에 아무런 낙이 없을 것이라며 이삭을 설득합니다. 이에 이삭은 야곱을 불러 축복하며 당부합니다(1절). 이삭도 자신을 속인 리브가와 야곱이 달갑지 않았겠지만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한발 물러섰습니다. 때론 인생의 문제 앞에서 내 감정과 생각을 내려놓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한발 물러섰을 때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비로소 보입니다.

이삭은 야곱을 축복하며 아버지 아브라함이 자신의 아내를 구하기 위해 종에게 당부했던 말을 그대로 전합니다. 곧 가나안 사람들의 딸 중에서 아내를 삼지 말고 친족 중에서 아내를 맞이하라는 내용입니다(1〜2절). 이삭은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에서가 헷 사람의 딸 중에서 아내를 삼을 때는 아무런 지도를 해주지 않았습니다. 이제야 가장으로서 중심을 잡기 시작한 것입니다. 우리는 자녀를 향한 쓴소리도 사랑의 방법임을 알아야 합니다. 아무런 지도도, 책망도 없다면 자녀의 방종만 키우게 됩니다.

이삭은 ‘전능하신 하나님’의 이름으로 야곱을 축복합니다. 이전에 에서로 착각했을 때 축복의 주체는 아버지 이삭이었지만 이제는 하나님이 축복의 주체가 됩니다(3〜4절). 이삭은 어쩌면 자신이 재산과 종들, 또한 아비멜렉과의 화친 조약으로 얻은 평안 등 모든 복을 소유했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복을 물려주는 것만으로도 자녀들에게 충분하다고 여겼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들을 축복하는 과정에서 겪은 사건을 통해 진정한 복은 하나님이 주시는 복임을 깨닫게 된 것입니다.

이제 야곱은 고향을 떠나 밧단아람 라반의 집으로 떠납니다(5절). 어머니 리브가의 오라비라는 말을 듣고 어느 정도 안심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라반의 집으로 간 야곱의 삶은 결코 평탄하지 않았습니다. 형을 속였던 그는 라반에게 속아 오랜 세월 고생하며 살아야 했습니다. 모든 것이 나의 뜻과 계획대로 되는 듯 여겨지는 그때가 영적으로는 더 위험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어리석음이 나의 지혜보다 더 지혜롭고, 하나님의 약함이 나의 강함보다 더 강함을 기억해야 합니다(고전 1:25).

에서는 이삭이 야곱을 축복하고 떠나보내는 모습을 유심히 지켜보면서 한 가지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6〜8절). 8절은 이러한 에서의 깨달음을 ‘또 본즉’이라고 표현합니다. 자신이 헷 사람의 딸들과 결혼함으로 부모가 괴로워했음을 깨달은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스마엘의 딸 마할랏을 아내로 맞이합니다(9절). 그러나 이 역시 바른 선택이 아니었습니다. 자기 생각에 아무리 옳다고 판단되어도 하나님의 말씀과 상관없으면 바른길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언약 백성은 언약을 따라 살아가야 합니다. 이삭이 언약을 따라 야곱을 축복하고, 야곱은 언약을 따라 가나안 족속이 아니라 친족 가운데 아내를 구하러 떠나면서 틀어진 모든 것이 제대로 자리를 잡아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은 하나님의 말씀이 이끄는 대로 따라갈 때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으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2 views

Recent Posts

See All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36 아비가일이 나발에게로 돌아오니 그가 왕의 잔치와 같은 잔치를 그의 집에 배설하고 크게 취하여 마음에 기뻐하므로 아비가일이 밝는 아침까지는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하다가 37 아침에 나발이 포도주에서 깬 후에 그의 아내가 그에게 이 일을 말하매 그가 낙담하여 몸이 돌과 같이 되었더니 38 한 열흘 후에 여호와께서 나발을 치시매 그가 죽으니라 39 나발이 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