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바로의 마음이 완강하여 백성 보내기를 거절하는도다
15.아침에 너는 바로에게로 가라 보라 그가 물 있는 곳으로 나오리니 너는 나일 강 가에 서서 그를 맞으며 그 뱀 되었던 지팡이를 손에 잡고
16.그에게 이르기를 히브리 사람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나를 왕에게 보내어 이르시되 내 백성을 보내라 그러면 그들이 광야에서 나를 섬길 것이니라 하였으나 이제까지 네가 듣지 아니하도다
17.여호와가 이같이 이르노니 네가 이로 말미암아 나를 여호와인 줄 알리라 볼지어다 내가 내 손의 지팡이로 나일 강을 치면 그것이 피로 변하고
18.나일 강의 고기가 죽고 그 물에서는 악취가 나리니 애굽 사람들이 그 강 물 마시기를 싫어하리라 하라
19.여호와께서 또 모세에게 이르시되 아론에게 명령하기를 네 지팡이를 잡고 네 팔을 애굽의 물들과 강들과 운하와 못과 모든 호수 위에 내밀라 하라 그것들이 피가 되리니 애굽 온 땅과 나무 그릇과 돌 그릇 안에 모두 피가 있으리라
20.모세와 아론이 여호와께서 명령하신 대로 행하여 바로와 그의 신하의 목전에서 지팡이를 들어 나일 강을 치니 그 물이 다 피로 변하고
21.나일 강의 고기가 죽고 그 물에서는 악취가 나니 애굽 사람들이 나일 강 물을 마시지 못하며 애굽 온 땅에는 피가 있으나
22.애굽 요술사들도 자기들의 요술로 그와 같이 행하므로 바로의 마음이 완악하여 그들의 말을 듣지 아니하니 여호와의 말씀과 같더라
23.바로가 돌이켜 궁으로 들어가고 그 일에 관심을 가지지도 아니하였고
24.애굽 사람들은 나일 강 물을 마실 수 없으므로 나일 강 가를 두루 파서 마실 물을 구하였더라
25.여호와께서 나일 강을 치신 후 이레가 지나니라
세상 사람들이 우상을 섬기는 이유는 그것들이 화와 복을 준다고 착각하기 때문입니다. 우상 숭배자들의 마음에는 두려움과 탐욕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출애굽 당시 재앙을 통해 우상의 헛됨과 창조주 하나님의 능력을 깨달아 하나님만을 예배하는 지혜를 얻기를 바랍니다.
1. 피조물을 섬기는 우상숭배
출애굽 당시 애굽은 세계적인 강대국이었습니다. 다른 나라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강한 군대를 가지고 있었고 경제적으로도 풍요로웠습니다. 이 같은 배경에는 나일강이 있었습니다. 풍부한 강물이 있어서 가뭄이 들어도 애굽사람들은 농사를 지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아브라함도 기근이 들자 애굽으로 내려갔고 이삭도 가뭄을 맞아 애굽으로 내려가려고 시도했습니다. 애굽 사람들에게 나일강은 풍요를 누리게 하는 젖줄이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다신 사상을 가지고 있던 애굽 사람들은 나일강을 신으로 숭배했습니다. 하나님이 모세를 통한 첫 번째 기사로 나일강을 피로 만드신 이유입니다. 이와같이 어리석은 인간들은 자신들에게 유익을 주며 눈에 보이는 대상을 우상으로 섬깁니다. 애굽인들이 풍요를 가져다주는 나일강을 우상으로 섬긴 것처럼 오늘날에는 사람들이 돈을 사랑하고 돈을 우상으로 섬깁니다(마 6:24). 성도는 어리석은 우상 숭배자들과 달리 모든 것을 창조하시고 우리에게 누리게 하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며 그분을 섬겨야 합니다.
2. 우상을 심판하시는 하나님
하나님은 나일강을 피로 변하게 하여 애굽사람들이 그 물을 마시지 못하게 하심으로 우상과 우상숭배 행위에 대해 심판을 내리십니다. 애굽사람들은 나일강의 물을 마실 수 없게 되자 나일강 가를 두루 파서 마실 물을 구해야 했습니다. 애굽의 바로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고통을 주었듯이 애굽 사람들은 물을 마시기 위해 이제까지와는 달리 힘든 노동을 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바로는 물을 피로 변하게 하신 하나님의 역사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애굽의 마술사들도 같은 일을 행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런 반응은 바로의 마음이 완악하여 모세의 말을 듣지 않을 것이라고 예고하신 하나님의 말씀이 성취된 결과였습니다. 하나님의 징벌과 심판에 회개하지 않고 고집을 부리는 것은 하나님의 심판을 자초하는 어리석은 행위입니다(롬 2:5). 성도는 하나님이 징계하실 때 즉각 회개해야 합니다.
3. 창조주 하나님을 예배하라
하나님은 나일강의 주인이 당신이심을 애굽 사람들로 알게 하셨습니다. 즉 그들이 누리는 풍요로운 복의 근본은 바로 하나님의 은혜임을 밝히셨습니다. 보통사람들은 창조주 하나님을 알지 못해 하나님이 만드신 피조물을 우상으로 섬깁니다. 그래서 바울은 눈에 보이는 것들에 대해 탐하는 욕심이 우상숭배라고 말합니다(골 3:5). 사람은 재물과 하나님을 동시에 섬길 수 없습니다. 하나님 외의 다른 것을 사랑하고 섬기는 것은 우상숭배입니다(마 6:24). 출애굽의 목적은 이스라엘 백성이 우상을 숭배하는 애굽 땅을 떠나 광야에서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었습니다. 성도는 모든 것의 창조주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을 돌릴 뿐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의 존재와 영광을 알리는 사명을 다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백성인 우리도 세상의 것에 대한 탐욕을 버리지 못하면 무의식적으로 우상숭배의 죄에 깊이 빠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철저히 우상을 구별하여 온 몸과 마음을 다하여 오직 하나님만을 사랑하고 예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