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얼마 후에 유다의 아내 수아의 딸이 죽은지라 유다가 위로를 받은 후에 그의 친구 아둘람 사람 히라와 함께 딤나로 올라가서 자기의 양털 깎는 자에게 이르렀더니
13 어떤 사람이 다말에게 말하되 네 시아버지가 자기의 양털을 깎으려고 딤나에 올라왔다 한지라
14 그가 그 과부의 의복을 벗고 너울로 얼굴을 가리고 몸을 휩싸고 딤나 길 곁 에나임 문에 앉으니 이는 셀라가 장성함을 보았어도 자기를 그의 아내로 주지 않음으로 말미암음이라
15 그가 얼굴을 가리었으므로 유다가 그를 보고 창녀로 여겨
16 길 곁으로 그에게 나아가 이르되 청하건대 나로 네게 들어가게 하라 하니 그의 며느리인 줄을 알지 못하였음이라 그가 이르되 당신이 무엇을 주고 내게 들어오려느냐
17 유다가 이르되 내가 내 떼에서 염소 새끼를 주리라 그가 이르되 당신이 그것을 줄 때까지 담보물을 주겠느냐
18 유다가 이르되 무슨 담보물을 네게 주랴 그가 이르되 당신의 도장과 그 끈과 당신의 손에 있는 지팡이로 하라 유다가 그것들을 그에게 주고 그에게로 들어갔더니 그가 유다로 말미암아 임신하였더라
19 그가 일어나 떠나가서 그 너울을 벗고 과부의 의복을 도로 입으니라
20 유다가 그 친구 아둘람 사람의 손에 부탁하여 염소 새끼를 보내고 그 여인의 손에서 담보물을 찾으려 하였으나 그가 그 여인을 찾지 못한지라
21 그가 그 곳 사람에게 물어 이르되 길 곁 에나임에 있던 창녀가 어디 있느냐 그들이 이르되 여기는 창녀가 없느니라
22 그가 유다에게로 돌아와 이르되 내가 그를 찾지 못하였고 그 곳 사람도 이르기를 거기에는 창녀가 없다 하더이다 하더라
23 유다가 이르되 그로 그것을 가지게 두라 우리가 부끄러움을 당할까 하노라 내가 이 염소 새끼를 보냈으나 그대가 그를 찾지 못하였느니라
다말이라는 이름은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에 당당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본문에 다말이 예수님의 계보에 수록되는 계기가 된 사건이 소개되는데, 여기에서 다말은 수치와 모욕, 죽음까지 불사한 용기 있는 행동과 결단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갑니다.
유다는 아내의 장례를 마치고 양털을 깎기 위해 딤나로 올라갑니다. 그 소식을 들은 다말은 과부의 옷을 벗고 얼굴을 가린 채 유다를 기다렸습니다(12〜14절). 다말은 사실 억울했을 것입니다. 남편 엘과 오난이 죽은 이유가 자신에게 있는 것이 아닌데 그 일로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녀는 남편 가문을 이으려 합니다. 당시 가나안 사회에서 여성에게 중요한 역할은 혈통을 이을 자녀를 낳는 것이었기에 그것을 사명처럼 여겼던 것입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해 자신의 사명을 감당하는 자들을 통해 하나님은 당신의 뜻을 이루어 가십니다.
유다는 너울을 쓴 며느리 다말을 알아보지 못하고 창녀로 여겨 동침을 요구합니다. 다말은 그 대가로 염소 새끼를 약속받습니다(15〜17절). 아무리 다말이 너울을 썼어도 유다가 다말을 알아보지 못한 것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하나님이 유다의 가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신다는 느낌을 갖게 됩니다. 하나님은 당신의 때가 되면 적극적으로 개입하시고 역사를 이루십니다.
다말은 유다에게 염소 새끼를 받을 때까지 담보물로 도장과 끈, 지팡이를 달라고 요구했고, 유다는 순순히 건네줍니다(17〜18절). 도장과 끈과 지팡이는 가문의 권위와 신분을 상징하는 것이었습니다. 유다는 그것을 담보물로 잠시 준 것이지만, 다말은 유다와 동침한 사실을 증명할 물품을 확보한 것입니다. 임신하게 된다면 자신의 아이가 바로 유다 집안의 자손임을 증명하고자 한 것입니다. 결국 다말과 그 아들은 유다의 가문에 속해서 다윗과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를 잇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다말은 유다로 인해 임신합니다(18절). 다말은 유다와의 관계 후에 곧바로 그 자리를 떠납니다. 마치 임신에 대한 확신을 가진 것처럼 보입니다. 물론 다말이 시아버지를 속이고 동침한 것이 윤리적 행동이라 할 수 없지만, 한 번의 관계를 통해 임신을 하고, 다윗과 예수님의 조상이 된 베레스를 낳았다는 사실로 하나님이 이 일을 선하게 사용하셨음을 알게 됩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실수와 잘못도 사용하셔서 선하신 계획을 이루어 가십니다.
유다는 친구 히라를 통해 염소 새끼를 주고 담보물을 되찾으려 했지만 다말을 찾지 못합니다(20〜23절). 유다는 창녀와의 약속을 지키려는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이지만 정작 때가 되면 셀라를 다말에게 주겠다는 중요한 약속은 무시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사람은 아무리 약속을 잘 지킨다고 해도 모든 약속을 지킬 수는 없습니다. 유다처럼 자신의 입장에 따라 약속을 저버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모든 약속을 온전히 이루시는 신실한 분입니다.
언약의 당사자인 유다와 그 아들들의 잘못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가나안 여인 다말을 통해 당신의 계획을 성취하셨습니다. 죽은 남편의 자손을 낳고자 하는 다말의 열정을 귀하게 사용하신 것입니다. 물론 다말이 온전히 거룩한 여인은 아니었습니다. 우리도 여전히 부족하고 넘어지지만 신실하신 하나님은 우리를 통해 역사하시고 당신의 뜻을 이루실 것입니다. 우리는 오직 하나님만 의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