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요셉 가문도 벧엘을 치러 올라가니 여호와께서 그와 함께 하시니라
23.요셉 가문이 벧엘을 정탐하게 하였는데 그 성읍의 본 이름은 루스라
24.정탐꾼들이 그 성읍에서 한 사람이 나오는 것을 보고 그에게 이르되 청하노니 이 성읍의 입구를 우리에게 보이라 그리하면 우리가 네게 선대하리라 하매
25.그 사람이 성읍의 입구를 가리킨지라 이에 그들이 칼날로 그 성읍을 쳤으되 오직 그 사람과 그의 가족을 놓아 보내매
26.그 사람이 헷 사람들의 땅에 가서 성읍을 건축하고 그것의 이름을 루스라 하였더니 오늘까지 그 곳의 이름이 되니라
27.므낫세가 벧스안과 그에 딸린 마을들의 주민과 다아낙과 그에 딸린 마을들의 주민과 돌과 그에 딸린 마을들의 주민과 이블르암과 그에 딸린 마을들의 주민과 므깃도와 그에 딸린 마을들의 주민들을 쫓아내지 못하매 가나안 족속이 결심하고 그 땅에 거주하였더니
28.이스라엘이 강성한 후에야 가나안 족속에게 노역을 시켰고 다 쫓아내지 아니하였더라
29.에브라임이 게셀에 거주하는 가나안 족속을 쫓아내지 못하매 가나안 족속이 게셀에서 그들 중에 거주하였더라
30.스불론은 기드론 주민과 나할롤 주민을 쫓아내지 못하였으므로 가나안 족속이 그들 중에 거주하면서 노역을 하였더라
31.아셀이 악고 주민과 시돈 주민과 알랍과 악십과 헬바와 아빅과 르홉 주민을 쫓아내지 못하고
32.아셀 족속이 그 땅의 주민 가나안 족속 가운데 거주하였으니 이는 그들을 쫓아내지 못함이었더라
33.납달리는 벧세메스 주민과 벧아낫 주민을 쫓아내지 못하고 그 땅의 주민 가나안 족속 가운데 거주하였으나 벧세메스와 벧아낫 주민들이 그들에게 노역을 하였더라
34.아모리 족속이 단 자손을 산지로 몰아넣고 골짜기에 내려오기를 용납하지 아니하였으며
35.결심하고 헤레스 산과 아얄론과 사알빔에 거주하였더니 요셉의 가문의 힘이 강성하매 아모리 족속이 마침내는 노역을 하였으며
36.아모리 족속의 경계는 아그랍빔 비탈의 바위부터 위쪽이었더라
영적 위험은 우리의 안일한 생각에서 시작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진지하게 생각하기보다는 스스로 괜찮다고 여기며 자신에게 편하고 유익한 길을 선택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을 소홀하게 여기기 시작하면 반드시 영적 위험에 직면하고 믿음의 길에서 추락하게 됩니다. 우리는 본문을 통해 그 교훈을 배울 수 있습니다.
요셉 가문이 벧엘을 치러 올라가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여호와께서 그들과 함께하셨기 때문입니다(22절). 그런데 그들은 벧엘을 정탐할 때, 그곳 주민인 한 사람에게 성읍의 정보를 제공하면 선대 할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그의 도움으로 성읍을 정복하자 그와 그 가족을 놓아 보냈습니다(23-25절). 그와 그 가족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통합되지 않고 대신 가나안의 관행을 유지하며 헷 사람의 땅에서 새 성읍을 짓고 벧엘(루스)과 그 문화를 그대로 이식합니다(26절). 요셉 가문은 하나님의 명령을 그대로 따르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의 명령을 우리의 편의대로 바꿔서는 안 됩니다. 원래 말씀하신 그대로 따라야 타락하지 않습니다.
므낫세 지파는 벧스안, 다아낙, 돌, 이블르암, 므깃도에 사는 주민들과 그 주변 마을들을 진멸하지 않았습니다(27절). 그리하여 기존 거주민들은 므낫세의 묵인하에 그대로 머물러 살았습니다. 그곳에 계속 살겠다는 가나안 사람들의 결심이 하나님께 순종하겠다는 이스라엘 백성의 결심보다 더 컸습니다. 나중에 이스라엘 백성이 군사적 우위에 있을 때에도, 그들은 쫓겨나지 않았고 강제 노역에 동원되었습니다(28절). 즉 이스라엘은 순종보다 경제적 이득을 선택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뜻을 따라 하나님의 영광을 추구해야 합니다. 사사로운 이득보다 하나님의 말씀을 우선하는 것이 신앙의 기본입니다.
에브라임도 게셀에 거하는 가나안 족속을 쫓아내지 못했습니다(29절). 게셀은 군사 요충지로,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남북과 동서가 교차하는 지점입니다. 이렇게 중요한 곳에 가나안 주민들이 사는 것을 에브라임은 방치했습니다. 좀 더 북쪽에 자리 잡은 스불론도 하나님께 순종하지 않았습니다(30절). 스불론은 기드론과 나할롤 주민들을 강제 노역에 동원하기 위해, 그들이 자신들의 영역에 거주하는 것을 허용했습니다. 죄악의 요소를 묵인하고 방조하면 결국 비참한 결과를 맞이하게 됩니다.
아셀 지파와 납달리 지파의 경우는 좀 더 심각합니다. 그들이 오히려 가나안 주민들 사이에 살도록 허용된 침입자로 묘사됩니다(31-33절). 얼마나 수치스러운 모습입니까? 하나님의 말씀대로 행하지 않으면 우리도 돌이킬 수 없는 수치를 당할 것입니다.
북쪽에서 벌어진 실패담은 최고조에 달합니다. 단 지파는 아모리 족속에 압도되어 위축된 나머지 골짜기로 내려갈 수도 없었습니다(34절). 나중에 요셉 족속이 강성해져 단 지파의 영토 일부를 합병한 이후에는 아모리 족속을 압박하여 강제 노역을 시켰습니다(35절). 믿음의 실패가 가져오는 결과는 이렇게 처참한 것입니다.
이스라엘은 가나안 족속을 쫓아내거나 진멸하기보다는 오히려 함께 섞여 살았습니다. 가나안 족속이 끼칠 신앙적 위험이 사라졌다고 생각하여, 영적 싸움이 진정되었다고 오판한 것입니다. 이러한 타협은 죄악으로 추락하는 지름길이 되었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이라는 정체성을 잊지 말고, 세상의 유혹에 타협하지 말아야 합니다. 오늘 말씀은 그런 유혹에 넘어가지 말라는 경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