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나를 능하게 하신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 내가 감사함은 나를 충성되이 여겨 내게 직분을 맡기심이니
13 내가 전에는 비방자요 박해자요 폭행자였으나 도리어 긍휼을 입은 것은 내가 믿지 아니할 때에 알지 못하고 행하였음이라
14 우리 주의 은혜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과 사랑과 함께 넘치도록 풍성하였도다
15 미쁘다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한 이 말이여 그리스도 예수께서 죄인을 구원하시려고 세상에 임하셨다 하였도다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
16 그러나 내가 긍휼을 입은 까닭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내게 먼저 일체 오래 참으심을 보이사 후에 주를 믿어 영생 얻는 자들에게 본이 되게 하려 하심이라
17 영원하신 왕 곧 썩지 아니하고 보이지 아니하고 홀로 하나이신 하나님께 존귀와 영광이 영원무궁하도록 있을지어다 아멘
18 아들 디모데야 내가 네게 이 교훈으로써 명하노니 전에 너를 지도한 예언을 따라 그것으로 선한 싸움을 싸우며
19 믿음과 착한 양심을 가지라 어떤 이들은 이 양심을 버렸고 그 믿음에 관하여는 파선하였느니라
20 그 가운데 후메내오와 알렉산더가 있으니 내가 사탄에게 내준 것은 그들로 훈계를 받아 신성을 모독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라
바울이 에베소교회를 섬기는 디모데에게 무엇보다 강조했던 사역은 거짓 교사들의 가르침을 반박하고 성도들이 미혹 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이런 사역에 가장 효과적인 도구는 신학논쟁보다는 자신의 체험을 간증하는 것입니다. 앞에서 율법이 사람들의 죄악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지 구원하기 위한 도구가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설명한 바울은 이제 자기 삶을 통해 이 가르침을 확증하고 있습니다.
오직 은혜로 세워진다(12-14절)
거짓 교사들은 자기들이 특별한 지식을 알고 있기에 가르치는 자가 되었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바울은 자신이 비방자, 박해자, 폭행자로서 사도의 직분을 맡기에 가장 부적절한 자임을 상기시킵니다. 자신은 많은 것을 ‘알았기’ 때문이 아니라 도리어 ‘알지 못했기’ 때문에 사도가 되었다고 고백했습니다(12-13절). 그리고 자신이 사도의 직분을 받은 것은 오직 ‘주의 은혜’라고 고백했습니다(14절). 즉 어떤 지식을 갖추었거나 공을 세워 교회의 사역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우리가 구원을 얻고 직분을 받은 것은 모두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았습니다. 거짓 사역자일수록 자기 능력과 자격을 내세우며 다른 이들과 자신을 비교합니다. 그러나 진정한 사역자는 모든 것이 은혜임을 알기에 그저 겸손히 맡겨진 일에 충성합니다. 우리 모두는 이렇게 충성스러운 사역자들이 되어야 합니다.
오직 주께만 영광을 돌린다(15-17절)
바울은 예수님이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구원하시려고 이 땅에 임하셨다는 사실을 다시금 강조하면서 자기야말로 그 죄인들 중 ‘괴수’라고 고백했습니다(15절). 즉, 율법을 강조하는 거짓 교사들의 눈으로 본다면 가장 구원받지 못할 자가 바로 자신이라는 말입니다. 그런데 주님이 자신을 본으로 삼으셔서 하나님의 구원이 이런 사람에게도 임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고 주장했습니다(16절). 죄인 중에 괴수와 같은 자신도 구원을 받았는데 하나님의 은혜가 임하지 않을 사람이 누구냐는 말입니다. 바울은 오직 하나님이 ‘존귀와 영광을 영원무궁토록’ 받으셔야 한다고 찬양하며 사람이 칭찬과 높임을 받을 수 없음을 선포했습니다(17절). 사실 바울은 그 누구보다도 탁월한 지성을 가졌고, 혈통적으로도 그 누구보다 인정받을만 했지만, 자기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낮춤으로써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려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이처럼 자신을 낮추는 자가 참사역자입니다.
거짓 교사들을 내쫓으라(18-20절)
바울은 이제 거짓 교사가 누구인지 명확하게 밝힙니다. 디모데에게 말하는 형식으로 에베소교회를 향해 후메내오와 알렉산더에게서 훈계를 받지 말고, 신성모독의 죄를 짓지 못하게 하라고 선언합니다. “내가 (그들을) 사탄에게 내주었다" 는 말은 공식적으로 출교를 선언하는 표현입니다(20절). 디모데가 복음에 반하는 자들을 이렇게 출교할 수 있으려면 전에 그를 지도한 예언을 따라 선한 싸움을 싸워야했습니다(18절). 바울은 특히 ‘믿음과 착한 양심’을 강조했는데, 교회 지도자가 이런 성품을 지니지 않고 악한 자를 출교하려 한다면 서로 싸우며 서로가 서로에게 출교를 선언하는 일이 벌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교회 지도자의 권위는 사람들이 인정하는 지식이나 능력이나 지위가 아니라 주님을 닮은 성품에서 나옴을 기억해야합니다.
교회의 리더십은 세상의 기준을 따르면 안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성도는 주님과 교회를 섬기기 위해, 그리고 참된 사역자를 분별히기 위해 세상의 기준이 아닌 하나님의 기준으로 모든 것을 판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