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내가 다시 말하노니 누구든지 나를 어리석은 자로 여기지 말라 만일 그러하더라도 내가 조금 자랑할 수 있도록 어리석은 자로 받으라
17 내가 말하는 것은 주를 따라 하는 말이 아니요 오직 어리석은 자와 같이 기탄 없이 자랑하노라
18 여러 사람이 육신을 따라 자랑하니 나도 자랑하겠노라
19 너희는 지혜로운 자로서 어리석은 자들을 기쁘게 용납하는구나
20 누가 너희를 종으로 삼거나 잡아먹거나 빼앗거나 스스로 높이거나 뺨을 칠지라도 너희가 용납하는도다
21 나는 우리가 약한 것 같이 욕되게 말하노라 그러나 누가 무슨 일에 담대하면 어리석은 말이나마 나도 담대하리라
22 그들이 히브리인이냐 나도 그러하며 그들이 이스라엘인이냐 나도 그러하며 그들이 아브라함의 후손이냐 나도 그러하며
23 그들이 그리스도의 일꾼이냐 정신 없는 말을 하거니와 나는 더욱 그러하도다 내가 수고를 넘치도록 하고 옥에 갇히기도 더 많이 하고 매도 수없이 맞고 여러 번 죽을 뻔하였으니
24 유대인들에게 사십에서 하나 감한 매를 다섯 번 맞았으며
25 세 번 태장으로 맞고 한 번 돌로 맞고 세 번 파선하고 일 주야를 깊은 바다에서 지냈으며
26 여러 번 여행하면서 강의 위험과 강도의 위험과 동족의 위험과 이방인의 위험과 시내의 위험과 광야의 위험과 바다의 위험과 거짓 형제 중의 위험을 당하고
27 또 수고하며 애쓰고 여러 번 자지 못하고 주리며 목마르고 여러 번 굶고 춥고 헐벗었노라
28 이 외의 일은 고사하고 아직도 날마다 내 속에 눌리는 일이 있으니 곧 모든 교회를 위하여 염려하는 것이라
29 누가 약하면 내가 약하지 아니하며 누가 실족하게 되면 내가 애타지 아니하더냐
30 내가 부득불 자랑할진대 내가 약한 것을 자랑하리라
31 주 예수의 아버지 영원히 찬송할 하나님이 내가 거짓말 아니하는 것을 아시느니라
32 다메섹에서 아레다 왕의 고관이 나를 잡으려고 다메섹 성을 지켰으나
33 나는 광주리를 타고 들창문으로 성벽을 내려가 그 손에서 벗어났노라
바울은 대적들에 대항해 자신을 변호하면서 자기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우리는 바울이 말하는 지혜와 어리석음, 자랑과 수치, 그리고 강함과 약함의 역설 사이에서 그리스도인들이 가져야 할 가치관이 어떤 것인지를 배울 수 있습니다.
어리석음을 자랑하다(16~21절)
바울은 자기를 어리석은 자로 여기지 말라면서도 어리석은 자로 받으라는 역설적인 부탁을 합니다. 자기가 어리석은 자가 아니지만, 어쩔 수 없이 어리석은 자처럼 자기를 자랑하고자 하기 때문입니다(16〜18절). 그가 가장 걱정하는 바는 성도들이 바울의 대적들을 기쁘게 용납할 뿐 아니라 그들의 가르침을 따른다는 데 있었습니다(19〜20절). 그래서 바울은 그들의 잘못을 깨우치기 위해 어리석고 욕된 행동, 곧 자랑을 해보겠다고 한 것입니다(21절). 바울은 혈통이나 지위에 대한 자랑만큼 어리석은 것이 없음을 잘 알고 있었지만, 오직 교회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이런 전략을 취한 것입니다. 바울의 행동은 언제나 자기 이익이 아니라 교회의 유익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참된 사역자는 이처럼 교회의 유익을 위해 자기 생각이나 유익을 포기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고난과 침묵을 자랑하다(22~27절)
자신이 어떤 집안에서 태어났고, 어디에서 어떤 사역을 했는지 떠벌리는 사람을 참된 사역자로 보기 어렵습니다. 바울의 대적들은 정통 유대인이라는 사실을 자랑했습니다. 그러나 바울 역시 정통 유대인이었습니다(22절). 게다가 그리스도의 일꾼으로서 바울만큼 많은 일을 한 사람이 없었습니다(23절). 바울은 이를 드러내기 위해 자신이 어떤 일을 당했는지를 열거합니다(24〜27절). 바울이 고린도를 처음 방문한 것은 빌립보에서 옥에 갇히고, 데살로니가에서 박해를 받고, 아덴에서 철학자들과 논쟁을 벌이는 등 많은 일을 겪은 후였습니다(참조, 행 16〜17장). 즉 복음을 위해 많은 고난과 희생을 당한 상태였습니다. 이제까지는 자신이 겪은 일들을 드러내지 않았는데, 성도들이 잘못된 길로 빠지려 하자 그들을 위해 겪은 자신의 고난을 열거한 것입니다. 바울은 성도들과 교회가 거짓된 길로 가지 않게 할 수 있다면 무슨 일이든지 하려 했습니다. 우리 모두가 이런 자세를 배운다면 주님의 교회가 더 굳건하게 세워질 수 있을 것입니다.
약함을 자랑하다(28〜33절)
바울은 자기 업적을 길게 이야기하기보다 자신이 얼마나 교회를 위해 염려하고 애태웠던가를 이야기합니다(28〜29절). 수많은 고난을 이겨 낸 ‘영웅’이 되기보다 오히려 자기 약함을 자랑합니다(30절). 교인들 위에서 권세를 부리는 ‘강함’이 아니라 애타는 마음을 품는 ‘약함’이 자랑스럽다는 것입니다. 바울은 예수님을 만난 후 다메섹에서 광주리를 타고 빠져나왔던 이야기도 합니다(32〜33절). 아마도 골리앗을 쓰러뜨린 ‘강한’ 다윗이 사울을 피해 창문으로 도망쳐야 했던 것을 연상시키는 이야기로 보입니다(참조, 삼상 19:12). 원래 바울은 대제사장의 위임을 받아 교회를 잔멸 하려 했던 ‘강한’ 자였지만, 그리스도를 만난 이후로 세상적으로는 약한 자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의 권세로 인해 참된 강함을 갖고 있었습니다. 참된 사역자는 이처럼 그리스도의 권세로 강한 자입니다.
성도의 자랑은 얼마나 예수님을 닮는가에 있습니다. 바울의 대적들처럼 재산이나 혈통이나 학벌이나 외모에 관심이 많다면 예수님의 십자가를 자랑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과거에는 강했으나 주님을 알고서는 약해졌다는 사실이 자랑이 되고, ‘예수님을 닮았다, 예수님처럼 말하고 행동한다’는 말을 최고의 찬사로 듣는 성도들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