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역자의 책무와 일상_디모데전서 6:1-10

1 무릇 멍에 아래에 있는 종들은 자기 상전들을 범사에 마땅히 공경할 자로 알지니 이는 하나님의 이름과 교훈으로 비방을 받지 않게 하려 함이라

2 믿는 상전이 있는 자들은 그 상전을 형제라고 가볍게 여기지 말고 더 잘 섬기게 하라 이는 유익을 받는 자들이 믿는 자요 사랑을 받는 자임이라 너는 이것들을 가르치고 권하라

3 누구든지 다른 교훈을 하며 바른 말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경건에 관한 교훈을 따르지 아니하면

4 그는 교만하여 아무 것도 알지 못하고 변론과 언쟁을 좋아하는 자니 이로써 투기와 분쟁과 비방과 악한 생각이 나며

5 마음이 부패하여지고 진리를 잃어 버려 경건을 이익의 방도로 생각하는 자들의 다툼이 일어나느니라

6 그러나 자족하는 마음이 있으면 경건은 큰 이익이 되느니라

7 우리가 세상에 아무 것도 가지고 온 것이 없으매 또한 아무 것도 가지고 가지 못하리니

8 우리가 먹을 것과 입을 것이 있은즉 족한 줄로 알 것이니라

9 부하려 하는 자들은 시험과 올무와 여러 가지 어리석고 해로운 욕심에 떨어지나니 곧 사람으로 파멸과 멸망에 빠지게 하는 것이라

10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되나니 이것을 탐내는 자들은 미혹을 받아 믿음에서 떠나 많은 근심으로써 자기를 찔렀도다

바울은 이제 편지를 마무리하면서 다시 한번 디모데에게 교회에서 공적으로는 어떤 일을 감당해야 하며 사적으로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를 가르칩니다.

사랑과 섬김으로 일으키는 변화(1-2a절)

당시에는 노예 제도가 있었기에 종과 주인이 함께 예수님을 영접하면 이들의 관계가 어떻게 되느냐는 의문이 교회의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그런데 디모데가 이미 이 문제를 오랜 시간 경험해 왔던 것을 알기 때문인지 바울은 굳이 길게 설명하지는 않고, 원칙만 정확하게 제시해 주고 있습니다. 종과 상전이 같이 예수님을 믿었다면 종은 오히려 상전을 이전보다 더 잘 섬김으로써 하나님의 이름과 교훈이 비방 받지 않게 해야 합니다(1절). 상전과 종이 함께 예수님을 믿는다면 두 사람이 형제가 되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종은 오히려 상전을 더 잘 섬겨야 합니다(2a절). 이것이 복음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힘입니다. 초대교회는 노예 제도라는 사회의 모순을 혁명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의 사랑과 섬김으로 극복해 갔습니다.

가장 중요한 책무(2b-5절)

“너는 이것들을 가르치고 권하라”(2b절)는 이제 편지를 마감하며 중요한 사항을 요약하겠다는 말입니다. 바울은 에베소 교회의 가장 큰 문제인 거짓 교사들로 인해 생긴 혼란을 종결시키기를 원했습니다(3절). ‘교만하여 아무것도 알지 못하고 변론과 언쟁을 좋아하는 자’ 곧 거짓 교사들을 징계하고 내쫓는 것이 디모데에게 맡겨진 가장 중요한 책무였습니다(4절). 거짓 교사들은 겉으로 보기에는 매우 경건해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경건해 보이는 태도로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자들입니다(5절). 하나님의 말씀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처럼 보이지만 변론과 언쟁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이기고 자기를 드러내고자 하는 자들입니다. 사회나 기업에서도 인사담당자는 조직 내에서 주위에 악영향을 끼치는 사람들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듯, 교회의 지도자에게도 공동체에 악한 영향을 끼치는 사람을 배제하는 일이 가장 힘들지만 중요한 사역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자족하는 삶을 살라(6-10절)

이제 바울은 거짓 교사들을 축출하고 바른 복음을 가르치는 사역자로서 지켜야 할 원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6절의 헬라어 본문은 “자족함을 지닌 경건은 큰 이익이다”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사실 바울은 자기가 개척한 교회에서 생활비를 받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사역한 사람입니다. 그러니 그의 생활이 넉넉했을 리 없습니다. 바울은 디모데도 재물에 대해 자신과 같은 태도를 갖기를 원했습니다. ‘먹을 것과 입을 것이 있은즉 족한 줄로 아는 태도는 복음 사역자들에게 무엇보다도 강력한 힘이었습니다(8절). 사실 성도들의 입장에서는 참 지도자와 거짓 지도자를 구분하는 가장 확실한 표지가 바로 자족하는 삶입니다. 바울은 자신이 그런 삶을 살았고, 디모데에게도 그런 삶을 살라고 기르치고 있습니다. 사실상 사역자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재물 욕심 때문에 결국 파멸합니다(9-10절). 어떻게 보면 바울은 되면 데를 사랑했기에, 그리고 그가 참된 부유함을 누리기를 원했기에 “자족하는 삶을 살라”고 가르친 것입니다.

‘먹을 것과 입을 것이 있은즉 족한 줄로 아는’ 삶이야말로 예수 님을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을 구분하는 가장 분명한 기준일지 모릅니다. 자족한 마음은 일만 악의 뿌리인 욕심에 끌려다니지 않기에 말씀에 따라 경건한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내게 없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신 것에 주목하고 감사하고 자족하는 경건한 성도들이 되기를 바랍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8 여호와는 의로우시도다 그러나 내가 그의 명령을 거역하였도다 너희 모든 백성들아 내 말을 듣고 내 고통을 볼지어다 나의 처녀들과 나의 청년들이 사로잡혀 갔도다 19 내가 내 사랑하는 자들을 불렀으나 그들은 나를 속였으며 나의 제사장들과 장로들은 그들의 목숨을 회복시킬 그들의 양식을 구하다가 성 가운데에서 기절하였도다 20 여호와여 보시옵소서 내가 환난을

12 지나가는 모든 사람들이여 너희에게는 관계가 없는가 나의 고통과 같은 고통이 있는가 볼지어다 여호와께서 그의 진노하신 날에 나를 괴롭게 하신 것이로다 13 높은 곳에서 나의 골수에 불을 보내어 이기게 하시고 내 발 앞에 그물을 치사 나로 물러가게 하셨음이여 종일토록 나를 피곤하게 하여 황폐하게 하셨도다 14 내 죄악의 멍에를 그의 손으로 묶고 얽어 내

1 슬프다 이 성이여 전에는 사람들이 많더니 이제는 어찌 그리 적막하게 앉았는고 전에는 열국 중에 크던 자가 이제는 과부 같이 되었고 전에는 열방 중에 공주였던 자가 이제는 강제 노동을 하는 자가 되었도다 2 밤에는 슬피 우니 눈물이 뺨에 흐름이여 사랑하던 자들 중에 그에게 위로하는 자가 없고 친구들도 다 배반하여 원수들이 되었도다 3 유다는 환난과 많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