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브람이 애굽에서 그와 그의 아내와 모든 소유와 롯과 함께 네게브로 올라가니
2 아브람에게 가축과 은과 금이 풍부하였더라
3 그가 네게브에서부터 길을 떠나 벧엘에 이르며 벧엘과 아이 사이 곧 전에 장막 쳤던 곳에 이르니
4 그가 처음으로 제단을 쌓은 곳이라 그가 거기서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더라
5 아브람의 일행 롯도 양과 소와 장막이 있으므로
6 그 땅이 그들이 동거하기에 넉넉하지 못하였으니 이는 그들의 소유가 많아서 동거할 수 없었음이니라
7 그러므로 아브람의 가축의 목자와 롯의 가축의 목자가 서로 다투고 또 가나안 사람과 브리스 사람도 그 땅에 거주하였는지라
8 아브람이 롯에게 이르되 우리는 한 친족이라 나나 너나 내 목자나 네 목자나 서로 다투게 하지 말자
9 네 앞에 온 땅이 있지 아니하냐 나를 떠나가라 네가 좌하면 나는 우하고 네가 우하면 나는 좌하리라
10 이에 롯이 눈을 들어 요단 지역을 바라본즉 소알까지 온 땅에 물이 넉넉하니 여호와께서 소돔과 고모라를 멸하시기 전이었으므로 여호와의 동산 같고 애굽 땅과 같았더라
11 그러므로 롯이 요단 온 지역을 택하고 동으로 옮기니 그들이 서로 떠난지라
12 아브람은 가나안 땅에 거주하였고 롯은 그 지역의 도시들에 머무르며 그 장막을 옮겨 소돔까지 이르렀더라
13 소돔 사람은 여호와 앞에 악하며 큰 죄인이었더라
14 롯이 아브람을 떠난 후에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이르시되 너는 눈을 들어 너 있는 곳에서 북쪽과 남쪽 그리고 동쪽과 서쪽을 바라보라
15 보이는 땅을 내가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니 영원히 이르리라
16 내가 네 자손이 땅의 티끌 같게 하리니 사람이 땅의 티끌을 능히 셀 수 있을진대 네 자손도 세리라
17 너는 일어나 그 땅을 종과 횡으로 두루 다녀 보라 내가 그것을 네게 주리라
18 이에 아브람이 장막을 옮겨 헤브론에 있는 마므레 상수리 수풀에 이르러 거주하며 거기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았더라
그리스도인이 되었다는 것은 상대적 가치가 아닌 절대적 가치를 추구한다는 것입니다. 곧 하나님과 하나님의 말씀 그리고 하나님 나라, 즉 영원한 것에 가치를 두고 살아간다는 것입니다. 본문은 중요한 기로에서 상대적 가치를 선택한 롯과 절대적 가치를 선택한 아브람을 대비합니다.
하나님의 전적인 개입으로 위기에서 벗어난 아브람은 애굽에서 얻은 많은 재물을 가지고 다시 가나안으로 올라갑니다. 그리고 처음 제단을 쌓았던 곳(벧엘)에 이르러 제단을 쌓고 하나님을 예배합니다(1〜3절). 아브람의 예배는 하나님과 관계의 회복이고, 소명자의 길을 다시 걷겠다는 다짐입니다. 우리가 드리는 예배는 형식적인 의식이 아닌 회복과 다짐의 현장이 되어야 합니다.
아브람이 애굽에서 돌아올 때 수많은 가축을 데려왔기에 풍부한 목초지가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벧엘과 아이에는 목초지가 부족했고, 아브람과 롯의 목자들 간에 다툼이 일어났습니다(5〜7절). 하나의 위기에서 벗어나자 또 다른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번에는 많은 소유 때문에 발생한 문제였습니다. 이전에는 결핍으로 인한 위기였지만, 이번에는 풍요로움으로 인한 위기입니다. 누구나 많은 소유를 원합니다. 하지만 반드시 그것이 선한 결과를 가져다주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많은 소유가 주어졌을 때 우리는 하나님이 원하지 않으시는 선택을 하기 쉽습니다.
아브람은 족장으로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었지만 롯에게 과감히 양보합니다(9절). 이러한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애굽 땅에서 경험한 하나님의 보호하심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자신이 서 있는 땅이 하나님의 약속의 땅이라면 하나님이 얼마든지 풍요롭게 하실 것을 믿었습니다. 우리 또한 우리 인생이 하나님의 것이고, 하나님이 내가 선택한 것보다 더 좋은 것을 주신다는 믿음이 있을 때 물질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롯은 눈을 들어 땅들을 비교합니다. 그의 눈에 들어 온 요단 지역은 ‘여호와의 동산 같고 애굽 땅’과 같아 보였습니다. 상대적 가치 기준에 따라 판단한 것입니다. 그래서 롯은 요단 온 지역을 택하고 아브람과 헤어졌습니다(10절). 롯이 선택한 그 땅(소돔과 고모라)은 겉으로 보기에는 풍요로웠지만, 그 안에는 온갖 죄악이 가득한 부패한 도시였습니다(13절). 악은 언제나 좋은 모습으로 위장하고 우리 눈을 속입니다. 그래서 자신의 안목을 믿지 말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구해야 합니다. 눈에 보기 좋은 곳보다 하나님을 바라보며 나아가야 합니다. 우리 눈과 생각을 기준으로 선택한다면 아무리 풍요로워도 그것은 악할 뿐입니다.
롯이 떠난 후 하나님은 아브람에게 나타나셔서 눈을 들어 사방을 바라보라고 하십니다. 그리고 그에게 보이는 땅을 주겠다고 약속하십니다. 그리고 그 땅에서 살아갈 그의 자손이 티끌과 같이 많아지게 하겠다고 약속하십니다(14〜 17절). 사실 아브람이 한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그저 상대적 가치를 바라보지 않고 절대적 가치를 바라보는 눈을 지켰을 뿐입니다. 신앙은 때로 지키는 것만으로도 위대한 결과를 만들어 냅니다.
아브람과 롯, 두 사람 모두 눈을 들어 세상을 바라보았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지닌 눈은 전혀 다른 눈이었기에 다른 곳에 가치를 둘 수밖에 없었습니다. 진정 우리는 자신의 욕망이 가리키는 곳을 바라보지 말고 하나님의 약속이 가리키는 곳을 바라보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