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새롭게 임한 하나님의 나라_누가복음 5:27-39

27 그 후에 예수께서 나가사 레위라 하는 세리가 세관에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나를 따르라 하시니

28 그가 모든 것을 버리고 일어나 따르니라

29 레위가 예수를 위하여 자기 집에서 큰 잔치를 하니 세리와 다른 사람이 많이 함께 앉아 있는지라

30 바리새인과 그들의 서기관들이 그 제자들을 비방하여 이르되 너희가 어찌하여 세리와 죄인과 함께 먹고 마시느냐

31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건강한 자에게는 의사가 쓸 데 없고 병든 자에게라야 쓸 데 있나니

32 내가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노라

33 그들이 예수께 말하되 요한의 제자는 자주 금식하며 기도하고 바리새인의 제자들도 또한 그리하되 당신의 제자들은 먹고 마시나이다

34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혼인 집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을 때에 너희가 그 손님으로 금식하게 할 수 있느냐

35 그러나 그 날에 이르러 그들이 신랑을 빼앗기리니 그 날에는 금식할 것이니라

36 또 비유하여 이르시되 새 옷에서 한 조각을 찢어 낡은 옷에 붙이는 자가 없나니 만일 그렇게 하면 새 옷을 찢을 뿐이요 또 새 옷에서 찢은 조각이 낡은 것에 어울리지 아니하리라

37 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 부대에 넣는 자가 없나니 만일 그렇게 하면 새 포도주가 부대를 터뜨려 포도주가 쏟아지고 부대도 못쓰게 되리라

38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넣어야 할 것이니라

39 묵은 포도주를 마시고 새 것을 원하는 자가 없나니 이는 묵은 것이 좋다 함이니라

5:1〜6:16은 제자를 부르심으로 시작하고(5:1~11, A), 사도를 세우심으로 끝납니다(6:12〜16, A'). 그 사이에는 나병 환자에게 손을 대시고, 제사장도 아니면서 죄 사함을 선포하시고(5:12〜26, B), 안식일에 추수와 치유를 행하시는, 율법을 초월하는 예수님의 모습이 나타납니다(6:1〜11, B'). 이 모든 메시지는 오늘 본문에서 절정에 이르러 ‘세리를 제자로 삼아 그와 함께하는’ 모습으로 융합되고 있습니다.

죄인을 부르러 오신 분(27~32절)

예수님은 당시 나병 환자만큼이나 더러운 자로 여겨지던 세리 레위를 제자로 부르셨고, 레위는 베드로, 야고보, 요한처럼 ‘모든 것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랐습니다(27〜28절; 참조, 5:10〜11). 레위가 베푼 잔치에는 ‘다른 사람’ 곧 ‘무리’도 있었고, 바리새인과 서기관의 비방도 나타났습니다(29〜30절; 참조, 1, 15, 21절). 이처럼 이전의 여러 메시지가 본문에 다 들어 있습니다. 예수님은 단 한마디 말씀으로 모든 문제의 ‘열쇠’를 제시하십니다(31〜32절). 예수님은 건강한(자기를 건강하다 여기는) 자들이 아니라 병든(자신의 죄를 인정하는) 자들을 위해 오셨습니다. 다른 말로 하면, 의인(이라 자부하는 자들)이 아니라 죄인(임을 인정하는 자들)을 불러 회개시키러 오셨습니다. 이것이 바로 예수님이 세우실 새 이스라엘, 하나님 나라에 들어올 자격 요건입니다. 자신이 죄인이라고 고백했던 시몬 베드로, 자신의 더러움과 주님의 주권을 인정했던 나병 환자, 그리고 중풍 병자를 메고 온 사람들 모두 이 조건에 부합합니다(참조, 8, 12, 18절). 예수님은 이처럼 문제가 없는 자들이 아니라 자기 문제를 인정하는 자들에게 죄 사함을 선포하시고, 손을 대시고, 제자로 부르셔서 함께하십니다(참조, 10, 13, 20절). 예수님이 이처럼 죄인을 부르시는데, 우리가 구원받았다고 교만한 마음을 품고 있다면 이처럼 어리석은 모습은 없습니다.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33~39절)

이제 하나님의 나라에서는 유대교의 옷을 입고 있을 수 없었습니다. 금식하며 기도하는 것이 잘못은 아니지만, 그것이 의로움의 기준이 될 수는 없었습니다.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은 요한의 제자와 예수님의 제자를 비교하며 예수님의 제자들이 경건하지 않다고 비판했습니다(33절). 그러나 예수님은 금식과 기도는 경건의 도구일 뿐, 그 자체가 신앙의 본질일 수 없음을 지적하시며, 본질을 떠난 금식은 결혼식 잔치에서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고 지적하십니다(34〜35절). 이어서 예수님은 이제 새로운 시대, 새로운 하나님의 나라가 시작될 것을 선포하십니다. 새로운 시대를 낡은 시대에 욱여넣는 것은 어리석은 짓일 뿐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유대교를 고치려 하거나(새 옷 조각을 낡은 옷에 붙이기), 예수님의 복음에 유대교의 옷을 입히려 는(낡은 가죽 부대에 새 포도주 넣기) 행위는 결국 실패로 돌아갈 것입니다(36~38절). 낡은 것은 결국 소멸될 뿐인데, 어리석은 자들은 구태의연한 태도를 버리려 하지 않습니다(39절). 당시 유대인들은 다윗의 자손 메시아가 와서 새로운 이스라엘을 건설하기를 갈망하면서도 과거 이스라엘의 전통은 포기할 수 없었고, 로마에 세금을 바쳐 보호를 받고 있으면서도 정작 세리는 천대했고, 고기 먹기를 즐겼으면서도 도축업자를 죄인으로 여겼습니다. 이는 굉장한 모순입니다. 예수님의 말씀처럼, 참 신앙은 본질을 추구하며 낡은 껍데기를 과감히 버릴 수 있는 태도로 나타납니다.

교회사를 되돌아보면, ‘새 포도주가 낡은 부대를 터뜨리는’ 현상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습니다. 우리가 복음을 붙들면 생명을 무시하고 자유를 억압하는 세상의 질서는 낡은 부대가 터지듯 무너지고, 새로운 질서가 세워질 것입니다. 우리는 복음의 권세로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 다윗이 그 마음에 생각하기를 내가 후일에는 사울의 손에 붙잡히리니 블레셋 사람들의 땅으로 피하여 들어가는 것이 좋으리로다 사울이 이스라엘 온 영토 내에서 다시 나를 찾다가 단념하리니 내가 그의 손에서 벗어나리라 하고 2 다윗이 일어나 함께 있는 사람 육백 명과 더불어 가드 왕 마옥의 아들 아기스에게로 건너가니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저마다 가족을 거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