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새롭게 피어나는 소망_예레미야 52:24-34

24.사령관이 대제사장 스라야와 부제사장 스바냐와 성전 문지기 세 사람을 사로잡고

25.또 성 안에서 사람을 사로잡았으니 곧 군사를 거느린 지휘관 한 사람과 또 성중에서 만난 왕의 내시 칠 명과 군인을 감독하는 군 지휘관의 서기관 하나와 성 안에서 만난 평민 육십 명이라

26.사령관 느부사라단은 그들을 사로잡아 립나에 있는 바벨론의 왕에게 나아가매

27.바벨론의 왕이 하맛 땅 립나에서 다 쳐 죽였더라 이와 같이 유다가 사로잡혀 본국에서 떠났더라

28.느부갓네살이 사로잡아 간 백성은 이러하니라 제칠년에 유다인이 삼천이십삼 명이요

29.느부갓네살의 열여덟째 해에 예루살렘에서 사로잡아 간 자가 팔백삼십이 명이요

30.느부갓네살의 제이십삼년에 사령관 느부사라단이 사로잡아 간 유다 사람이 칠백사십오 명이니 그 총수가 사천육백 명이더라

31.유다 왕 여호야긴이 사로잡혀 간 지 삼십칠 년 곧 바벨론의 에윌므로닥 왕의 즉위 원년 열두째 달 스물다섯째 날 그가 유다의 여호야긴 왕의 머리를 들어 주었고 감옥에서 풀어 주었더라

32.그에게 친절하게 말하고 그의 자리를 그와 함께 바벨론에 있는 왕들의 자리보다 높이고

33.그 죄수의 의복을 갈아 입혔고 그의 평생 동안 항상 왕의 앞에서 먹게 하였으며

34.그가 날마다 쓸 것을 바벨론의 왕에게서 받는 정량이 있었고 죽는 날까지 곧 종신토록 받았더라

솔로몬 성전은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복이 완성되었음을 선언하는 상징물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성전은 결국 파괴되었고, 이스라엘은 그 땅에서 쫓겨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예레미야는 이를 기록하면서도 소망을 버리지 않았습니다. 놀랍게도 본문은 약속의 땅이 아니라 바벨론 땅에서도 하나님의 소망이 있음을 그리며 예언서를 마치고 있습니다.

1. 완벽한 멸망과 새로운 소망

본문은 바벨론의 제3차 침공 때 유다의 피해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설명합니다. 우선 대제사장과 부제사장, 그리고 성전 문지기 세 사람이 사로잡혔습니다. 유다의 최고 종교 지도자들이 붙잡힌 것입니다. 군사를 거느린 지휘관, 왕의 내시 7명, 군 지휘관의 서기관, 그리고 백성, 즉 군인들 60명도 잡혔는데, 이들은 정치, 군사력을 의미합니다. 종교, 정치 권력이 모두 붙잡혀 바벨론 왕에게 끌려갔고 그 땅에서 모두 죽임을 당했으니 유다는 완전히 끝난 것입니다. “유다가 사로잡혀 본국에서 떠났더라”라는 표현은 하나님의 백성이 약속의 땅에서 완전히 쫓겨났음을 확언합니다. 마치 과거에 가나안 족속들이 그 땅에서 쫓겨났듯이 이제 이스라엘이 그 땅에서 쫓겨난 것입니다. 그러나 소망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본문은 바벨론 군대가 예루살렘을 세 번에 걸쳐 침공했고 몇 명이 포로로 잡혀갔는지를 말합니다. 4,600명의 유다 백성이 잡혀간 것은 야곱의 가족 70명이 가나안을 떠나 애굽으로 내려간 사건을 연상시킵니다(참조, 출 1:1-7). 이는 출애굽과 마찬가지로 출바벨론을 통해 약속의 땅으로 돌이오리라는 소망을 암시합니다. 범죄로 인해 혹독한 징계를 당한다 하더라도 하나님의 백성에게는 소망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님을 기억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절대로 당신의 백성을 버리지 않으시고, 반드시 회복시키실 것입니다.

2. 소망의 씨앗

예레미야서의 마지막 기록은 여호야긴 왕이 석방되고 바벨론 왕의 호의를 받았다는 것입니다. 이는 예레미야가 바라보았던 소망이 싹트기 시작했음을 보여 주는 매우 중요한 기록입니다. 그는 아버지 여호야김이 죽은 후, 바벨론에 의해 예루살렘이 포위당한 상태에서 18세에 유다의 왕으로 등극해 단 석 달을 버티다가 항복하고 바벨론에 끌려갔습니다(BC 597년; 참조, 왕하 24:8). 그러나 여호야긴은 바벨론에서도 소망을 잃지 않았고, 37년이 지나 55세가 될 때까지 수모와 고통 속에서 버텼습니다. 비록 그는 유다에서 통치하던 3개월간 하나님 보시기에 온전한 모습으로 보내지 못했지만, 바벨론 땅에 끌려와서도 유다의 왕이라는 정체성을 잃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렇게 죗값을 치렀고, 하나님은 여호야긴이 포로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셨을 뿐 아니라 바벨론에 끌려온 다른 왕들보다 높은 자리에 오르게 하셨습니다. 여호야긴은 죄수의 의복을 벗었고, 왕의 앞에서 양식을 먹는, 즉 고위급 신하의 지위에 오르게 되었는데, 이는 창세기에서 요셉이 노예로 애굽에 끌려갔지만 결국 총리가 되었던 것을 연상시킵니다. 또 하나님이 유다를 구원하실 새로운 섭리를 시작하셨음을 암시해 줍니다. 하나님의 백성에게는 절망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 어떠한 어려움 가운데에서도 회복시키시는 하나님을 믿고 기대하고 기다려야 합니다.

여호야긴이 풀려나고 21년 후에 바벨론이 바사(페르시아)에 의해 멸망합니다(BC 539년). 그리고 회복의 역사가 시작됩니다. 이처럼 하나님은 아무도 소망을 찾지 못할 때 소망을 주시고, 그 약속을 지키십니다. 우리가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한다 하더라도 주님께 돌이켜 마음을 찢고 회개하면 주님은 모든 것을 회복시켜 주실 것입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36 아비가일이 나발에게로 돌아오니 그가 왕의 잔치와 같은 잔치를 그의 집에 배설하고 크게 취하여 마음에 기뻐하므로 아비가일이 밝는 아침까지는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하다가 37 아침에 나발이 포도주에서 깬 후에 그의 아내가 그에게 이 일을 말하매 그가 낙담하여 몸이 돌과 같이 되었더니 38 한 열흘 후에 여호와께서 나발을 치시매 그가 죽으니라 39 나발이 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