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백성이 다 세례를 받을새 예수도 세례를 받으시고 기도하실 때에 하늘이 열리며
22 성령이 비둘기 같은 형체로 그의 위에 강림하시더니 하늘로부터 소리가 나기를 너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 내가 너를 기뻐하노라 하시니라
23 예수께서 가르치심을 시작하실 때에 삼십 세쯤 되시니라 사람들이 아는 대로는 요셉의 아들이니 요셉의 위는 헬리요
24 그 위는 맛닷이요 그 위는 레위요 그 위는 멜기요 그 위는 얀나요 그 위는 요셉이요
25 그 위는 맛다디아요 그 위는 아모스요 그 위는 나훔이요 그 위는 에슬리요 그 위는 낙개요
26 그 위는 마앗이요 그 위는 맛다디아요 그 위는 서머인이요 그 위는 요섹이요 그 위는 요다요
27 그 위는 요아난이요 그 위는 레사요 그 위는 스룹바벨이요 그 위는 스알디엘이요 그 위는 네리요
28 그 위는 멜기요 그 위는 앗디요 그 위는 고삼이요 그 위는 엘마담이요 그 위는 에르요
29 그 위는 예수요 그 위는 엘리에서요 그 위는 요림이요 그 위는 맛닷이요 그 위는 레위요
30 그 위는 시므온이요 그 위는 유다요 그 위는 요셉이요 그 위는 요남이요 그 위는 엘리아김이요
31 그 위는 멜레아요 그 위는 멘나요 그 위는 맛다다요 그 위는 나단이요 그 위는 다윗이요
32 그 위는 이새요 그 위는 오벳이요 그 위는 보아스요 그 위는 살몬이요 그 위는 나손이요
33 그 위는 아미나답이요 그 위는 아니요 그 위는 헤스론이요 그 위는 베레스요 그 위는 유다요
34 그 위는 야곱이요 그 위는 이삭이요 그 위는 아브라함이요 그 위는 데라요 그 위는 나홀이요
35 그 위는 스룩이요 그 위는 르우요 그 위는 벨렉이요 그 위는 헤버요 그 위는 살라요
36 그 위는 가이난이요 그 위는 아박삿이요 그 위는 셈이요 그 위는 노아요 그 위는 레멕이요
37 그 위는 므두셀라요 그 위는 에녹이요 그 위는 야렛이요 그 위는 마할랄렐이요 그 위는 가이난이요
38 그 위는 에노스요 그 위는 셋이요 그 위는 아담이요 그 위는 하나님이시니라
예수님은 회개의 세례를 전파하는 요한에게 나아가 세례를 받으셨습니다. 세례를 통해 성령의 충만함을 입으시고 본격적으로 공생애를 시작하셨습니다. 누가는 예수님의 공생애를 자세히 서술하기 전에 예수님의 족보를 소개함으로써, 예수님이 하나님에게서 온 메시아이심을 확증했습니다.
세례받으심(21~22절)
요한은 백성에게 회개의 세례를 베풀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죄인임을 고백하고 하나님의 구원을 기다렸습니다. 그런데 같은 세례를 예수님도 받으셨습니다. 죄가 없으신 분임에도 말입니다. 예수님이 세례를 받으시자 하늘이 열렸습니다. 그렇게 하나님의 영광이 계시되었습니다.
예수님이 세례를 받으신 사건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요한의 사역과 요한이 전하는 하나님의 말씀을 예수님이 인정하셨음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또 예수님이 완전히 인간의 모습으로 오셨음을 보여 주기 때문입니다. 이 사건을 통해 성령의 임재하심도 드러났습니다. 예수님이 세례를 받으실 때, 성령이 비둘기 같은 형체로 예수님께 임하셨습니다. 또 하늘로부터 예수님이 하나님이심을 알려 주는 음성이 선포되었습니다. 누가는 성령의 형체를 시각적 경험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내 사랑하는 아들, 내가 너를 기뻐한다’라는 하나님의 음성을 귀로 들을 수 있었다고 기록했습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가장 확실한 증거입니다.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예수님의 정체성과 예수님의 사역을 하나님이 기뻐하시고 용납하셨다는 직접적 증거입니다.
특별히 본문에서는 다른 복음서에서와는 달리, 예수님이 세례를 받으실 때 기도하셨음을 말해 주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이 맡기신 일을 항상 기도하며 감당하셨습니다. 이는 예수님이 홀로 일하시지 않고 하나님, 성령님과 함께 일하셨음을 보여 줍니다.
성도의 일도 기도와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왜냐하면 성도는 혼자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성도는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과 함께하는 사람입니다.
예수님의 족보(23~38절)
예수님은 서른 살에 공적 사역을 시작하셨습니다. 지금까지 누가는 예수님이 그리스도 되심과 구원자 되심을 하나님의 신적 계시와 간섭을 통해 확증했습니다. 이제 본 단락에서는 매우 인간적인 방법이지만, 그 시대의 많은 사람이 중요하게 생각했던 족보를 통해 예수님의 그리스도 되심을 우리에게 알려 주고 있습니다. 본문에 나타나는 족보는 마태복음에 나타나는 족보와는 조금 다른 특징을 보여 줍니다. 누가는 마태가 소개한 족보와는 정반대의 순서로 기술했습니다. 곧 현재에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인물들을 소개합니다. 또 누가는 마태보다 더 오래된 조상까지 제시합니다. 마태는 아브라함에서 멈추지만, 누가는 아담에게까지 올라가고 있습니다. 누가가 이 족보를 통해 전하고자 하는 내용은 분명합니다. 이는 예수님이 다윗, 아브라함, 그리고 아담의 계보에 계시다는 것입니다. 그분은 다윗의 후손으로 왕의 상속자이십니다. 그분은 하나님의 아들이자 다윗의 아들로서 통치권을 가지고 계십니다. 그분은 아브라함의 후손으로 이스라엘의 약속과 소망을 이루실 분입니다. 예수님은 아담의 후손으로 모든 인류를 대표하시는 분입니다.
예수님이 메시아이자 구원자이심은 역사적 사실이며, 하나님이 말씀해 주신 놀라운 사실입니다. 이러한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 모든 인류는 소망을 가지게 됩니다. 그분을 영접하지 않은 사람은 어떤 소망도 없습니다. 아담으로 수렴되는 예수님의 족보를 통해, 그리고 하나님의 음성을 통해 오직 예수님만이 우리의 구원자이심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