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유다의 시드기야 왕 열째 해 곧 느부갓네살 열여덟째 해에 여호와의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임하니라
2.그 때에 바벨론 군대는 예루살렘을 에워싸고 선지자 예레미야는 유다의 왕의 궁중에 있는 시위대 뜰에 갇혔으니
3-5.이는 그가 예언하기를 여호와의 말씀에 보라 내가 이 성을 바벨론 왕의 손에 넘기리니 그가 차지할 것이며 유다 왕 시드기야는 갈대아인의 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반드시 바벨론 왕의 손에 넘겨진 바 되리니 입이 입을 대하여 말하고 눈이 서로 볼 것이며 그가 시드기야를 바벨론으로 끌어 가리니 시드기야는 내가 돌볼 때까지 거기에 있으리라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너희가 갈대아인과 싸울지라도 승리하지 못하리라 하셨다 하였더니 유다 왕 시드기야가 이르되 네가 어찌하여 이같이 예언하였느냐 하고 그를 가두었음이었더라
6.예레미야가 이르되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였느니라 이르시기를
7.보라 네 숙부 살룸의 아들 하나멜이 네게 와서 말하기를 너는 아나돗에 있는 내 밭을 사라 이 기업을 무를 권리가 네게 있느니라 하리라 하시더니
8.여호와의 말씀과 같이 나의 숙부의 아들 하나멜이 시위대 뜰 안 나에게 와서 이르되 청하노니 너는 베냐민 땅 아나돗에 있는 나의 밭을 사라 기업의 상속권이 네게 있고 무를 권리가 네게 있으니 너를 위하여 사라 하는지라 내가 이것이 여호와의 말씀인 줄 알았으므로
9.내 숙부의 아들 하나멜의 아나돗에 있는 밭을 사는데 은 십칠 세겔을 달아 주되
10.증서를 써서 봉인하고 증인을 세우고 은을 저울에 달아 주고
11.법과 규례대로 봉인하고 봉인하지 아니한 매매 증서를 내가 가지고
12.나의 숙부의 아들 하나멜과 매매 증서에 인 친 증인 앞과 시위대 뜰에 앉아 있는 유다 모든 사람 앞에서 그 매매 증서를 마세야의 손자 네리야의 아들 바룩에게 부치며
13.그들의 앞에서 바룩에게 명령하여 이르되
14.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기를 너는 이 증서 곧 봉인하고 봉인하지 않은 매매 증서를 가지고 토기에 담아 오랫동안 보존하게 하라
15.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사람이 이 땅에서 집과 밭과 포도원을 다시 사게 되리라 하셨다 하니라
국가 위기 상황에서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친척의 밭을 구입합니다. 하나님은 예레미야의 이러한 순종을 통해 유다 백성에게 임할 소망과 하나님의 임재를 확실하게 보여 주셨습니다. 절망적 상황에서 예레미야와 같이 올바른 선택과 행동을 하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보이는 대로 행동하지 않습니다.
바벨론 군대는 이미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있었습니다. 이때 예레미야는 유다의 멸망을 예언한 죄로 시위대 감옥에 갇혀 있었습니다. 이처럼 절망적 상황 속에서 하나님은 예레미야에게 그의 숙부의 아들 하나멜에게서 밭을 사라고 말씀하십니다. 예레미야는 바벨론에게 나라가 망하게 될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바벨론의 군대를 본 모든 예루살렘 주민은 집과 토지를 어떻게든 처분해 현금을 마련하려 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예레미야는 그렇게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눈에 보이는 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오로지 하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였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을 향한 믿음을 잃지 않고 말씀에 순종했습니다. 사람들은 그의 행위를 보며 어리석은 선택이라고 비웃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역사를 통해 예레미야의 선택이 옳았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약속대로 이스라엘을 회복시키셨고, 예레미야가 산 땅에 다시 포도원과 집이 세워지게 하셨습니다.
이처럼 하나님 백성의 선택과 행동의 기준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이어야 합니다. 성도가 말씀의 인도를 받기보다 눈에 보이는 상황에 이리저리 끌려다닌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사람들은 결코 그 사람을 통해 하나님의 능력도, 은혜도 보지 못할 것입니다. 예레미야가 친척의 밭을 사는 것을 본 사람들 중 일부는 예레미야처럼 하나님의 약속을 믿게 되었을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할 때 사람들은 하나님을 보게 될 것이고, 그분을 신뢰하게 될 것입니다.
2. 미래의 소망을 위해 준비합니다.
성도들에게도 절망적인 상황은 찾아옵니다. 그러나 하나님과 동행하는 사람은 절망을 넘어 희망을 보는 믿음의 눈이 필요합니다.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약속을 믿었기 때문에 미래를 준비했습니다. 그는 장차 그 땅이 회복된 후에 재개될 경제활동을 준비한 것입니다. 예레미야의 이러한 행동은 많은 사람에게 소망을 주었습니다. 그는 여러 사람이 보는 앞에서 땅의 매매 증서를 작성하고, 그 위에 도장을 찍었습니다. 성도들의 삶과 행위를 사람이 보고 있다는 점을 간과하지 말아야 합니다. 세상은 하나님의 자녀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유심히 살펴봅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당신의 백성에게 주신 특권입니다. 따라서 우리의 행동과 선택이 사람들에게 소망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한국전쟁이 끝난 지 10년도 되지 않은 1962년, 가난한 한국 땅에 철저한 기독교 정신으로 미래를 준비하자는 모토 아래 민족지도자 양성 학교인 가나안 농군 학교가 세워졌습니다. 김용기 장로가 가난과 절망에 빠진 민족을 일으키기 위해 하나님의 말씀 위에서 시작한 학교입니다. 이 학교를 통해 수십만의 일꾼들이 배출되었고, 지금은 해외의 어려운 이웃을 돕는 사역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이처럼 성도는 절망과 낙심이 자리 잡은 현실 속에서도 하나님의 권능을 의지함으로 미래의 소망을 심는 선택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그러한 성도들을 기뻐하시고 축복하십니다.
성도들에게 올바른 선택은 보이는 것이 아니라 믿음으로 하는 선택입니다. 눈에 보이는 환경이 아무리 어렵더라도 거기에 마음을 빼앗기지 말고, 하나님 말씀에 귀를 더 기울이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그분이 원하시는 뜻을 선택하는 것이 바로 믿음입니다. 하나님은 믿음으로 행하는 성도를 기뻐하시고 반드시 축복하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