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순종을 향한 결단_창세기 24:54-67

54 이에 그들 곧 종과 동행자들이 먹고 마시고 유숙하고 아침에 일어나서 그가 이르되 나를 보내어 내 주인에게로 돌아가게 하소서

55 리브가의 오라버니와 그의 어머니가 이르되 이 아이로 하여금 며칠 또는 열흘을 우리와 함께 머물게 하라 그 후에 그가 갈 것이니라

56 그 사람이 그들에게 이르되 나를 만류하지 마소서 여호와께서 내게 형통한 길을 주셨으니 나를 보내어 내 주인에게로 돌아가게 하소서

57 그들이 이르되 우리가 소녀를 불러 그에게 물으리라 하고

58 리브가를 불러 그에게 이르되 네가 이 사람과 함께 가려느냐 그가 대답하되 가겠나이다

59 그들이 그 누이 리브가와 그의 유모와 아브라함의 종과 그 동행자들을 보내며

60 리브가에게 축복하여 이르되 우리 누이여 너는 천만인의 어머니가 될지어다 네 씨로 그 원수의 성 문을 얻게 할지어다

61 리브가가 일어나 여자 종들과 함께 낙타를 타고 그 사람을 따라가니 그 종이 리브가를 데리고 가니라

62 그 때에 이삭이 브엘라해로이에서 왔으니 그가 네게브 지역에 거주하였음이라

63 이삭이 저물 때에 들에 나가 묵상하다가 눈을 들어 보매 낙타들이 오는지라

64 리브가가 눈을 들어 이삭을 바라보고 낙타에서 내려

65 종에게 말하되 들에서 배회하다가 우리에게로 마주 오는 자가 누구냐 종이 이르되 이는 내 주인이니이다 리브가가 너울을 가지고 자기의 얼굴을 가리더라

66 종이 그 행한 일을 다 이삭에게 아뢰매

67 이삭이 리브가를 인도하여 그의 어머니 사라의 장막으로 들이고 그를 맞이하여 아내로 삼고 사랑하였으니 이삭이 그의 어머니를 장례한 후에 위로를 얻었더라

우리가 하나님의 뜻에 순종할 때 가장 먼저 직면하는 것은 ‘다음’에 대한 걱정입니다. 하지만 순종은 다음에 펼쳐질 상황에 대한 확신을 따라가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뜻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결단하는 것입니다. 리브가의 가족들은 모든 일이 하나님의 뜻임을 확인했습니다(50절). 이제 그들에게 남은 것은 그 뜻을 이루기 위한 결단입니다.

라반과 브두엘로부터 이삭과 리브가의 결혼 승낙을 받은 아브라함의 종은 비로소 준비된 대접을 받습니다. 그리고 다음 날 아침 일찍 가나안으로 돌아가고자 합니다(54〜56절). 어쩌면 오랜 여정으로 지쳤기에 하룻밤은 충분한 휴식을 취하기에 너무나 부족했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종으로서 다시 받지 못할 극진한 대접이기에 더욱 마음이 흔들렸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상황이 아닌 하나님의 뜻에 집중했습니다. 이 모습을 통해 우리는 사명을 완수하기까지 목표에 집중해야 함을 배울 수 있습니다.

리브가의 가족들은 리브가를 붙잡아두고 싶은 마음에 며칠 더 머물기를 요청했습니다(55절). 가족들은 가사 일꾼이 줄어든다는 현실적인 문제와 다시는 리브가를 볼 수 없을지 모른다는 아쉬운 감정에 주저했을 것입니다. 이렇듯 하나님의 뜻을 안다고 해서 모두 다 순종의 길을 즉각 걷는 것은 아닙니다. 그들은 리브가의 결혼이 하나님의 뜻이라 고백했음에도 여전히 현실과 감정에 사로잡혀 있었습니다. 우리의 현실보다 더욱 크신 하나님의 뜻과 계획을 바라보아야 지체 없이 순종할 수 있습니다.

아브라함의 종과 의견이 좁혀지지 않자 리브가의 가족들은 리브가에게 직접 선택하도록 합니다. 이에 리브가는 간결하고도 단호하게 따라가겠다고 답합니다(57〜58절). 자신이 결혼할 이삭이 어떤 사람인지, 가나안 땅은 어떤 곳인지 자세한 설명조차 듣지 못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리브가는 하나님의 뜻을 깨닫자 즉각 순종을 결단한 것입니다. 신앙은 모험과 같기에 용기와 결단이 요구됩니다. 신앙은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믿는 것이고, 아직 성취되지 않은 하나님의 뜻을 신뢰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브라함의 종이 리브가를 데리고 가나안 땅으로 돌아오고 있을 때 이삭은 들에서 묵상하고 있었습니다(61〜63절). 특별히 해가 저물 때 묵상했다는 것은 단회적인 사건이 아니라 습관을 따른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곧 그는 하루의 삶을 돌아보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감사하며, 내일의 인도하심을 구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이것이 순종을 위한 결단을 돕는 원동력이 되었던 것입니다.

이삭은 너울로 얼굴을 가린 리브가를 자신의 어머니 사라의 장막으로 들인 후에 그녀를 사랑하는 아내로 삼고, 비로소 어머니를 잃은 슬픔에서 위로를 얻습니다(66〜67절). 이삭이 리브가를 아내로 삼은 것은 외모나 조건에 의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종이 경험한 하나님의 행하심을 들음으로 하나님의 뜻임을 확신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그가 평소에 묵상하는 자가 아니었다면, 종을 평소에 신뢰하지 못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아브라함의 종과 리브가 그리고 이삭은 하나님의 뜻을 깨닫자 무수한 난관과 장애물이 놓여 있음에도 머뭇거림 없이 순종을 결단합니다. 하나님의 행하심에 대한 분명한 확신과 습관을 좇은 묵상이 그들로 결단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러한 깊은 영성과 하나님의 행하심에 대한 신뢰가 우리에게도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36 아비가일이 나발에게로 돌아오니 그가 왕의 잔치와 같은 잔치를 그의 집에 배설하고 크게 취하여 마음에 기뻐하므로 아비가일이 밝는 아침까지는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하다가 37 아침에 나발이 포도주에서 깬 후에 그의 아내가 그에게 이 일을 말하매 그가 낙담하여 몸이 돌과 같이 되었더니 38 한 열흘 후에 여호와께서 나발을 치시매 그가 죽으니라 39 나발이 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