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스스로 지혜롭다 하는 자_욥기 37:14-24

14 욥이여 이것을 듣고 가만히 서서 하나님의 오묘한 일을 깨달으라

15 하나님이 이런 것들에게 명령하셔서 그 구름의 번개로 번쩍거리게 하시는 것을 그대가 아느냐

16 그대는 겹겹이 쌓인 구름과 완전한 지식의 경이로움을 아느냐

17 땅이 고요할 때에 남풍으로 말미암아 그대의 의복이 따뜻한 까닭을 그대가 아느냐

18 그대는 그를 도와 구름장들을 두들겨 넓게 만들어 녹여 부어 만든 거울 같이 단단하게 할 수 있겠느냐

19 우리가 그에게 할 말을 그대는 우리에게 가르치라 우리는 아둔하여 아뢰지 못하겠노라

20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을 어찌 그에게 고할 수 있으랴 삼켜지기를 바랄 자가 어디 있으랴

21 그런즉 바람이 불어 하늘이 말끔하게 되었을 때 그 밝은 빛을 아무도 볼 수 없느니라

22 북쪽에서는 황금 같은 빛이 나오고 하나님께는 두려운 위엄이 있느니라

23 전능자를 우리가 찾을 수 없나니 그는 권능이 지극히 크사 정의나 무한한 공의를 굽히지 아니하심이니라

24 그러므로 사람들은 그를 경외하고 그는 스스로 지혜롭다 하는 모든 자를 무시하시느니라

엘리후는 어제 본문에서 겨울 날씨를 소재로 하여 하나님의 성품을 이야기했는데, 오늘 본문에서는 여름 날씨를 소재로 가르침을 이어 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엘리후가 제시한 결론은 상당히 아이러니합니다. 지금까지 자신이 지혜롭다 생각하며 한껏 교만한 말을 내세운 그가 결국 자신을 조롱하는 데까지 이르기 때문입니다. 엘리후는 욥이 오만하다며 비판했지만, 결국 그 자신이 비판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오묘한 일을 깨달으라(14~18절)

엘리후는 욥과 세 친구들의 대화를 들은 후, 자신은 특별한 지혜를 보여 줄 것처럼 말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의 말은 그다지 특별하지 않았습니다. 엘리후는 욥을 세상 만물의 변화를 보고도 하나님의 오묘한 일을 깨닫지 못하는 사람으로 취급했습니다(14절). 욥은 이미 하나님이 지혜와 능력으로 만물을 다스리신다는 사실을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9:4〜10). 하지만 엘리후는 마치 자기가 그것을 처음 알아서 욥에게 가르쳐 준다는 듯이 여름날의 번개와 빽빽한 구름과 뜨거운 남풍, 거울처럼 맑아지는 하늘이 모두 하나님의 명령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말합니다(15〜18절). 이는 겨울의 추위도 언젠가는 여름의 더위에 의해 물러나는 것처럼 욥에게도 회복이 있으리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긴 합니다. 하지만 엘리후는 정작 욥의 문제가 무엇인지 제대로 알지 못할 뿐 아니라, 전혀 새롭지 않은 내용을 마치 새로운 지식인 양 설명하고, 분명하지 않은 것을 분명한 지식인 것처럼 주장하는 어리석은 태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날씨와 계절의 변화만으로 하나님이 어떤 분이며 무슨 의도로 그렇게 일하시는지 알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엘리후는 자기만 그것을 깨달은 것처럼 말하고, 다른 사람을 가르치려는 태도까지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태도는 결국 비웃음거리로 전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에게 가르치라(19~24절)

지금까지 다른 사람들의 입을 막고 자기 말만 계속 쏟아냈던 엘리후는 갑자기 말을 바꾸어 “우리는 아둔하여 아뢰지 못하겠다”라고 말하며 욥에게 가르칠 기회를 제공하는 듯 말합니다(19절). 물론 이는 욥의 가르침을 듣고자 함이 아니라, 욥에게 가르칠 능력이 없음을 드러낼 의도입니다(20절). 앞에서 겨울 날씨에 비유하여 하나님의 징계와 긍휼에 대해 이야기했던 엘리후는 이번에는 여름에 구름을 몰아내는 바람과 밝은 빛을 하나님의 영광에 비유하며 그 영광을 아무도 볼 수 없다고 말합니다(21〜22절). 그러고는 지금까지 자기가 하나님에 대한 모든 지식을 갖춘 듯 행동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인간은 전능자이신 하나님을 찾을 수 없고, 권능이 크신 하나님은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정의와 공의를 발휘하신다고 언급합니다(23〜24절). 자기가 하나님을 잘 아는 것처럼 말을 시작해 놓고선, 마지막에는 ‘인간은 전능자를 찾을 수 없다’라고 인정할 뿐 아니라 ‘하나님은 스스로 지혜롭다 하는 모든 자를 무시하신다’라는 아이러니한 말로 마치고 있습니다. 엘리후야말로 스스로 지혜롭다고 하는 자였으니, 결국 하나님이 자기를 무시하신다고 인정하는 모양새가 되고 말았습니다. 이처럼 자기를 내세우고 남을 가르치기 좋아하는 자는 곧 그 바닥을 드러내고 맙니다.

엘리후가 세 친구들에 비해 자연현상을 훨씬 광범위하고 실감나게 묘사한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자연현상을 통해 하나님의 섭리와 성품을 깨달아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결국 세 친구들이 말한 것과 다르지 않은 결론에 도달하고 말았습니다. 그렇기에 인간의 실존을 잘 아는 지혜자는 해 아래 새것이 없는 현실을 깊이 인식하고, 말하기보다는 듣기를, 가르치기보다는 배우기를 먼저 하려는 태도를 가지게 마련입니다. 우리에게 이런 지혜가 있기를 소망합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36 아비가일이 나발에게로 돌아오니 그가 왕의 잔치와 같은 잔치를 그의 집에 배설하고 크게 취하여 마음에 기뻐하므로 아비가일이 밝는 아침까지는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하다가 37 아침에 나발이 포도주에서 깬 후에 그의 아내가 그에게 이 일을 말하매 그가 낙담하여 몸이 돌과 같이 되었더니 38 한 열흘 후에 여호와께서 나발을 치시매 그가 죽으니라 39 나발이 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