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리브가가 집 안 자기에게 있는 그의 맏아들 에서의 좋은 의복을 가져다가 그의 작은 아들 야곱에게 입히고
16 또 염소 새끼의 가죽을 그의 손과 목의 매끈매끈한 곳에 입히고
17 자기가 만든 별미와 떡을 자기 아들 야곱의 손에 주니
18 야곱이 아버지에게 나아가서 내 아버지여 하고 부르니 이르되 내가 여기 있노라 내 아들아 네가 누구냐
19 야곱이 아버지에게 대답하되 나는 아버지의 맏아들 에서로소이다 아버지께서 내게 명하신 대로 내가 하였사오니 원하건대 일어나 앉아서 내가 사냥한 고기를 잡수시고 아버지 마음껏 내게 축복하소서
20 이삭이 그의 아들에게 이르되 내 아들아 네가 어떻게 이같이 속히 잡았느냐 그가 이르되 아버지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나로 순조롭게 만나게 하셨음이니이다
21 이삭이 야곱에게 이르되 내 아들아 가까이 오라 네가 과연 내 아들 에서인지 아닌지 내가 너를 만져보려 하노라
22 야곱이 그 아버지 이삭에게 가까이 가니 이삭이 만지며 이르되 음성은 야곱의 음성이나 손은 에서의 손이로다 하며
23 그의 손이 형 에서의 손과 같이 털이 있으므로 분별하지 못하고 축복하였더라
24 이삭이 이르되 네가 참 내 아들 에서냐 그가 대답하되 그러하니이다
25 이삭이 이르되 내게로 가져오라 내 아들이 사냥한 고기를 먹고 내 마음껏 네게 축복하리라 야곱이 그에게로 가져가매 그가 먹고 또 포도주를 가져가매 그가 마시고
26 그의 아버지 이삭이 그에게 이르되 내 아들아 가까이 와서 내게 입맞추라
27 그가 가까이 가서 그에게 입맞추니 아버지가 그의 옷의 향취를 맡고 그에게 축복하여 이르되 내 아들의 향취는 여호와께서 복 주신 밭의 향취로다
28 하나님은 하늘의 이슬과 땅의 기름짐이며 풍성한 곡식과 포도주를 네게 주시기를 원하노라
29 만민이 너를 섬기고 열국이 네게 굴복하리니 네가 형제들의 주가 되고 네 어머니의 아들들이 네게 굴복하며 너를 저주하는 자는 저주를 받고 너를 축복하는 자는 복을 받기를 원하노라
욕망에 사로잡히면 중간에 멈출 수 없게 됩니다. 어느 순간 내가 욕망을 품은 것이 아니라 욕망이 나를 사로잡아 버립니다. 이삭의 가족은 욕망의 늪에 빠져 서로를 속이고 의심하는 모습을 보여 줍니다. 기초가 무너진 이삭의 가정을 보면서 귀한 교훈을 얻기를 바랍니다.
리브가는 두 아들의 미래에 관한 하나님의 말씀(25:23)을 자기의 방식대로 이루려고 치밀한 계획을 세웁니다. 에서의 옷을 야곱에게 입히고, 염소 가죽으로 야곱을 에서처럼 위장시키고, 염소 새끼를 잡아 이삭을 위한 별미를 만들었습니다(15〜16절). 야곱이 축복을 받게 하기 위해 일사불란하게 모든 일을 자기가 해결하려고 합니다. 어느 곳에도 하나님의 개입을 기대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하나님의 복을 구하고 누리는 것은 하나님과의 친밀함을 누리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배제한 하나님의 복은 있을 수 없습니다.
야곱은 형 에서의 옷과 염소의 가죽으로 위장하고 아버지 이삭에게 나아갑니다(15〜18절). 그런데 훗날 야곱은 아들들에게 옷과 염소를 통해 속임을 당합니다(37:31〜33). 사건의 발단도 아들을 향한 편애였습니다. 우리가 행한 어떤 일이 때로는 나에게 그대로 되돌아올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한 대로 돌려받게 하심으로 선행을 갚아 주기도 하시고, 잘못을 깨닫게도 하십니다. 그러므로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마 7:12)는 말씀을 기억하고 선을 행해야 합니다.
야곱은 별미를 가지고 이삭에게 나아가 “내 아버지여”라고 부릅니다. 이삭은 “네가 누구냐”고 묻습니다. 이삭은 그가 에서인지 세 번이나 확인합니다. 그때마다 야곱은 뻔뻔하게 거짓말을 합니다(18〜24절). 거짓말이 또다른 거짓말을 낳았습니다. 심지어 하나님의 이름을 말하며 아버지를 속입니다. 이 일을 계획할 때 리브가 앞에서 조바심을 내 두려워하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처럼 욕망의 늪에 빠지면 자신을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빠지게 되고 결국 헤어 나올 수 없게 됨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삭은 에서가 예상보다 너무 일찍 돌아왔다고 생각하고 의아해합니다. 또한 에서의 목소리가 달라 의심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야곱의 두 손을 만져 보며 맏아들인지를 확인합니다. 또한 입을 맞추면서 옷의 향취로 확인하려고 했습니다(21〜27절). 아버지가 아들을 믿지 못하는 이 모습 너무나 어색하고 안타깝습니다. 이삭의 문제는 시력과 청력, 촉감이 무뎌진 것보다 가족을 향한 신뢰와 영적 분별력이 무뎌진 것이었습니다.
이삭은 모든 검증을 마치고 나서 맏아들 에서라고 확신하고 축복합니다. 축복의 내용은 재물과 권위에 관한 것이었습니다(27〜29절). 그의 아버지 아브라함은 재물을 서자에게도 나누어 주었지만 이삭은 모든 것을 오직 에서에게만 주려고 한 것입니다. 아마도 야곱은 그 축복을 받으며 아버지에 대한 서운함에 그다지 기쁘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아버지를 속여 축복을 받기는 했지만 사랑은 받지 못한 아쉬움이 가슴에 남았을 것입니다. 사랑이라고 모두 옳지 않으며 어긋난 사랑은 오히려 오해와 상처만 남습니다.
이삭의 가정 안에 한순간 신뢰와 사랑이 무너진 것은 아닙니다. 왜곡된 사랑이 오랫동안 뿌리내려 집착과 욕망이라는 열매를 맺게 된 것입니다. 우리에게 허락하신 자녀를 불완전한 인간의 사랑이 아닌 완전한 하나님의 사랑으로 사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