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여호와께서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바벨론과 갈대아 사람의 땅에 대하여 하신 말씀이라
2.너희는 나라들 가운데에 전파하라 공포하라 깃발을 세우라 숨김이 없이 공포하여 이르라 바벨론이 함락되고 벨이 수치를 당하며 므로닥이 부스러지며 그 신상들은 수치를 당하며 우상들은 부스러진다 하라
3.이는 한 나라가 북쪽에서 나와서 그를 쳐서 그 땅으로 황폐하게 하여 그 가운데에 사는 자가 없게 할 것임이라 사람이나 짐승이 다 도망할 것임이니라
4.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그 날 그 때에 이스라엘 자손이 돌아오며 유다 자손도 함께 돌아오되 그들이 울면서 그 길을 가며 그의 하나님 여호와께 구할 것이며
5.그들이 그 얼굴을 시온으로 향하여 그 길을 물으며 말하기를 너희는 오라 잊을 수 없는 영원한 언약으로 여호와와 연합하라 하리라
6.내 백성은 잃어 버린 양 떼로다 그 목자들이 그들을 곁길로 가게 하여 산으로 돌이키게 하였으므로 그들이 산에서 언덕으로 돌아다니며 쉴 곳을 잊었도다
7.그들을 만나는 자들은 그들을 삼키며 그의 대적은 말하기를 그들이 여호와 곧 의로운 처소시며 그의 조상들의 소망이신 여호와께 범죄하였음인즉 우리는 무죄하다 하였느니라
8.너희는 바벨론 가운데에서 도망하라 갈대아 사람의 땅에서 나오라 양 떼에 앞서가는 숫염소 같이 하라
9.보라 내가 큰 민족의 무리를 북쪽에서 올라오게 하여 바벨론을 대항하게 하리니 그들이 대열을 벌이고 쳐서 정복할 것이라 그들의 화살은 노련한 용사의 화살 같아서 허공을 치지 아니하리라
10.갈대아가 약탈을 당할 것이라 그를 약탈하는 자마다 만족하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하나님의 공의는 대상과 상관없이 죄에 대해 동일하게 심판하십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랑은 공의를 무너뜨리지 않으면서 죄에 대한 용서와 구원을 성취합니다. 성도는 공의와 사랑으로 다스리시는 주권자의 뜻을 깨닫고 그 뜻을 받들어 섬겨야 합니다.
1. 바벨론의 심판을 예언하심
바벨론은 하나님의 언약 백성인 유다 왕국을 무너뜨렸습니다. 유다가 가나안땅에 거하면서 하나님 앞에 죄를 범하여 하나님이 바벨론을 심판의 도구로 사용하셨던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도 바벨론이 하나님 앞에 온전히 행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의 필요에 의해 도구로 쓰임 받았을 뿐 그들도 우상숭배와 교만으로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나님은 예레미야를 통해 바벨론으로 유다를 심판하리라고 예언하셨을 뿐 아니라, 유다 멸망 후 70년이 지나면 바벨론도 심판받을 것임을 알리셨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도구로 쓰임 받음을 영광로 알고 하나님을 겸손히 섬겨야 마땅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우상을 숭배했고 포악하고 잔인하게 다른 나라를 침략하며 악행을 저질렀습니다. 유다가 그들의 죄로 바벨론에게 멸망당했듯이 바벨론도 하나님의 또 다른 심판 도구에게 멸망과 수치를 당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성도는 하나님의 공의로우신 심판이 있음을 기억하여 겸손히 행해야 합니다.
2. 유다의 해방을 약속하심
바벨론의 심판과 멸망은 곧 유다의 해방을 의미했습니다. 우리 민족이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받다가 일본이 전쟁에서 패함으로 식민 지배에서 해방된 것과 같습니다. 유다 민족은 자신을 멸망시킨 바벨론에게 스스로 복수하지는 않았지만, 이방에 의해 바벨론이 처참하게 무너지는 역사를 통해 하나님이 복수하심을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공의로 모든 죄악에 대해 공평하게 심판하셨지만, 유다의 입장에서 보면 하나님이 자신들의 원수를 갚아주신 것이었습니다. 유다 민족은 이러한 역사를 통해 자신들의 수치와 과오를 떠나보내고 새로운 역사에 대한 소망을 갖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의 구원의 약속은 성도들에게 소망이요 믿음을 지키는 힘이 됩니다.
3. 다윗 언약을 이루시는 하나님
하나님이 유다 민족을 완전히 멸하시지 않고 70년의 바벨론 포로 기간 후에 회복시키심은 다윗과 맺은 언약을 신실히 지키신 것이었습니다. 다윗 후손의 왕위가 영원할 것이라는 하나님의 언약은 영원한 하나님 나라를 통치하시는 그리스도의 왕위를 의미하지만, 역사 속에서도 그 명맥을 유지시키셨던 것입니다(삼하 7:13). 바벨론이 멸망한 후에 유다 민족은 다윗의 후손 스룹바벨 총독의 지휘 아래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무너진 성전을 재건합니다(스 6:15-16). “잊을 수 없는 영원한 언약으로 여호와와 연합하라”는 말씀은 이 모든 역사의 구속사적 의미를 보여 줍니다. 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이 구원의 은혜를 베푸시니 백성은 이에 응답하여 하나님의 뜻대로 순종해야 합니다. 오늘날 성도가 영원한 하나님 나라를 소망하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것은 영원한 언약을 신실히 지키시고 약속을 반드시 성취하시는 하나님의 은혜 때문입니다. 성도는 그 은혜에 합당한 응답으로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를 지신 이유는 그것이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길이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죄 사함을 받은 성도는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실천하여 구원의 은혜에 보답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