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달월 곧 열두째 달 십삼일은 왕의 어명을 시행하게 된 날이라 유다인의 대적들이 그들을 제거하기를 바랐더니 유다인이 도리어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을 제거하게 된 그 날에
2 유다인들이 아하수에로 왕의 각 지방, 각 읍에 모여 자기들을 해하고자 한 자를 죽이려 하니 모든 민족이 그들을 두려워하여 능히 막을 자가 없고
3 각 지방 모든 지방관과 대신들과 총독들과 왕의 사무를 보는 자들이 모르드개를 두려워하므로 다 유다인을 도우니
4 모르드개가 왕궁에서 존귀하여 점점 창대하매 이 사람 모르드개의 명성이 각 지방에 퍼지더라
5 유다인이 칼로 그 모든 대적들을 쳐서 도륙하고 진멸하고 자기를 미워하는 자에게 마음대로 행하고
6 유다인이 또 도성 수산에서 오백 명을 죽이고 진멸하고
7 또 바산다다와 달본과 아스바다와
8 보라다와 아달리야와 아리다다와
9 바마스다와 아리새와 아리대와 왜사다
10 곧 함므다다의 손자요 유다인의 대적 하만의 열 아들을 죽였으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11 그 날에 도성 수산에서 도륙한 자의 수효를 왕께 아뢰니
12 왕이 왕후 에스더에게 이르되 유다인이 도성 수산에서 이미 오백 명을 죽이고 멸하고 또 하만의 열 아들을 죽였으니 왕의 다른 지방에서는 어떠하였겠느냐 이제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냐 곧 허락하겠노라 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냐 또한 시행하겠노라 하니
13 에스더가 이르되 왕이 만일 좋게 여기시면 수산에 사는 유다인들이 내일도 오늘 조서대로 행하게 하시고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를 나무에 매달게 하소서 하니
14 왕이 그대로 행하기를 허락하고 조서를 수산에 내리니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가 매달리니라
15 아달월 십사일에도 수산에 있는 유다인이 모여 또 삼백 명을 수산에서 도륙하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고
16 왕의 각 지방에 있는 다른 유다인들이 모여 스스로 생명을 보호하여 대적들에게서 벗어나며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 칠만 오천 명을 도륙하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성경은 악한 자들이 ‘자기 꾀에 빠지고’(시 10:2), 악인의 범죄는 ‘스스로에게 올무가 된다’고 가르칩니다(잠 29:6). 에스더서는 ‘하나님을 전혀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이 세상을 다스리시는 하나님이 어떻게 악인들을 벌하시는지를 잘 보여 주고 있습니다. 악한 자들의 모의는 결국 그들의 멸망을 재촉했을 뿐입니다.
악행을 모의했던 날에(1~10절)
시간이 흘러 12월 13일이 되었습니다. 원래 이날은 하만과 그 무리가 유다인을 학살하기로 정한 날이었습니다(1절; 참조, 3:7). 하지만 오히려 그들이 죽임을 당할 날이 되고 말았습니다. 모르드개가 제국의 2인자가 되었으니 유다인들은 누구도 함부로 대할 수 없는 민족이 되었습니다. 각 지방의 권세자들도 모르드개를 두려워했기에 유다인들을 돕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2〜4절). 물론 하만이 유다인들을 학살하라고 공포한 조서 역시 왕의 반지로 인친 것이기에 유효했습니다. 하지만 유다인을 미워하고 대적했던 자들이 온 제국의 도움을 받는 유다인들과 싸워 이길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결국 유다인을 학살하기로 했던 날은 유다인을 죽이려고 모의했던 자들이 학살당하는 날이 되고 말았습니다(5절). 도성 수산에서 죽은 500명 중에는 유다인을 죽이기로 결의하는 자리에 참석했던 자들이 포함되었을 것입니다(6절). 유다인들은 이어서 하만의 아들 열 명을 죽여 그에 대한 복수를 완성했습니다(7〜10절). 그러나 하만이나 대적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않았는데, 이는 그들의 살인 모의를 처벌한 것이지 저들을 약탈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보여 줍니다. 이처럼 악한 모의를 한 자들은 하나님의 섭리에 의해 그들이 모의했던 그대로 처벌을 당하게 마련입니다. 우리는 악한 자들이 번영하는 것을 부러워하기 전에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심판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을 믿어야 합니다.
철저한 심판을 당한다(11~16절)
진행되는 상황을 보면 하만과 그를 따르던 무리뿐 아니라 제국 전역에 반유다인 정서가 넓고 깊게 퍼져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사실 유다인들은 하나님만을 섬기겠다고 하고, 먹는 것과 입는 것도 다른 민족과 너무도 달랐기에 다른 사람들에게 조롱과 공격을 당하기 쉬웠습니다. 그래서 하만의 조서가 반포되자 유다인을 적대하는 사람들이 그날을 고대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그들 역시 유다인들에 의해 죽임을 당합니다. 왕은 모든 결과를 에스더에게 알리며 더 원하는 것이 없느냐고 묻는데, 이는 아하수에로의 호의가 에스더에게 넘치게 부어지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11〜12절). 아직도 유다인들을 적대하는 사람들이 남아 있다고 여긴 에스더는 하루를 더 정해 그 남은 세력을 척결하게 하고,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를 나무에 매달아 유다인을 적대하는 자들이 어떻게 되는지를 확실하게 알리게 합니다(13〜14절). 추가조치로 수산 성에 남은 반유다인 세력 300명이 죽임을 당했습니다. 여러 지방에서는 하만의 조서에 근거해 유다인을 공격하는 자들이 있었지만 유다인들이 힘을 합해 그들을 대항하고 처형했습니다(15〜16절). 유다인들은 이번에도 그 재산에 손을 대지 않음으로 그들이 대항한 것은 약탈이 아니라 악행에 대한 심판임을 드러냅니다. 하나님의 백성을 대적하는 자들에게 하나님은 반드시 보응하십니다.
어둠에 속한 세상은 빛에 속한 성도들을 미워하게 마련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이 성도들을 지키시고 대적들에게 그 대가를 확실하게 치르게 하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세상에서 우리의 정체성을 드러내기를 주저하지 말고 그리스도인으로서 담대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살아가고 있음을 오히려 자랑스럽게 여기고, 예수님을 따르는 신앙을 가지고 있음을 드러내며 살아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