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아담에서 노아까지 이어진 계보_창세기 5:1-32

1 이것은 아담의 계보를 적은 책이니라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실 때에 하나님의 모양대로 지으시되

2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고 그들이 창조되던 날에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고 그들의 이름을 사람이라 일컬으셨더라

3 아담은 백삼십 세에 자기의 모양 곧 자기의 형상과 같은 아들을 낳아 이름을 셋이라 하였고

4 아담은 셋을 낳은 후 팔백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5 그는 구백삼십 세를 살고 죽었더라

6 셋은 백오 세에 에노스를 낳았고

7 에노스를 낳은 후 팔백칠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8 그는 구백십이 세를 살고 죽었더라

9 에노스는 구십 세에 게난을 낳았고

10 게난을 낳은 후 팔백십오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11 그는 구백오 세를 살고 죽었더라

12 게난은 칠십 세에 마할랄렐을 낳았고

13 마할랄렐을 낳은 후 팔백사십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14 그는 구백십 세를 살고 죽었더라

15 마할랄렐은 육십오 세에 야렛을 낳았고

16 야렛을 낳은 후 팔백삼십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17 그는 팔백구십오 세를 살고 죽었더라

18 야렛은 백육십이 세에 에녹을 낳았고

19 에녹을 낳은 후 팔백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20 그는 구백육십이 세를 살고 죽었더라

21 에녹은 육십오 세에 므두셀라를 낳았고

22 므두셀라를 낳은 후 삼백 년을 하나님과 동행하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23 그는 삼백육십오 세를 살았더라

24 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더니 하나님이 그를 데려가시므로 세상에 있지 아니하였더라

25 므두셀라는 백팔십칠 세에 라멕을 낳았고

26 라멕을 낳은 후 칠백팔십이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27 그는 구백육십구 세를 살고 죽었더라

28 라멕은 백팔십이 세에 아들을 낳고

29 이름을 노아라 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땅을 저주하시므로 수고롭게 일하는 우리를 이 아들이 안위하리라 하였더라

30 라멕은 노아를 낳은 후 오백구십오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31 그는 칠백칠십칠 세를 살고 죽었더라

32 노아는 오백 세 된 후에 셈과 함과 야벳을 낳았더라

성경에서 족보는 단순한 혈통의 기록이 아니라 생명의 주인이신 하나님이 면면히 이어 오신 구원 약속의 증거입니다. 그렇기에 족보는 세대를 통해 드러난 하나님의 은혜의 증명서라고 할 것입니다. 아담의 계보는 타락한 인류 역사가 구원의 은혜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아담의 계보는 하나님에게서 시작된 역사입니다. 하나님은 사람을 창조하실 때 당신의 형상으로 아담을 지으셨습니다(1절). 여기서 ‘형상’은 누군가를 원본으로 삼아 찍어 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최초의 인간은 하나님을 닮은 인격으로 창조되었습니다. 그 인격은 후손에게도 이어졌습니다. 하나님은 인간을 남자와 여자로 만드시고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을 사람으로 부르셨습니다(2절). 하나님은 친히 모든 인생의 근원이 되어 주셨습니다.

범죄 이후에 아담은 자기의 형상과 같은 아들 셋을 낳습니다(3절). 아담의 후손은 완전한 하나님의 인격을 잃어버렸습니다. 아담과 하와가 범죄함으로 전 인격적으로 타락하고 부패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완전한 하나님의 인격을 닮은 후손을 생산하지 못하고 죄에 의해 파괴되고 변형된 하나님의 형상을 가진 존재만을 낳게 됩니다. 아담 안에서 태어난 자는 누구나 전 인격적으로 타락하고 부패한 죄인들입니다. 우리는 절대적으로 구원에서 무능한 존재입니다(전 7:20).

아담 자손의 계보는 아담을 시작으로 셋, 에노스, 게난, 마할랄렐, 야렛, 에녹, 므두셀라, 라멕, 노아와 그 자손까지 이어집니다(4〜32절). 이들은 각자의 수명을 살면서 자손을 낳고 때가 되어 죽었습니다. 이처럼 죽음은 아담의 범죄 이후로 인간이 극복할 수 없는 절대적 한계입니다. 우리는 이 죽음을 극복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날마다 주님 안에서 죽음을 대비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요 11:25).

에녹은 죽었다는 언급이 없습니다. 그는 365년을 살면서 하나님과 동행했는데 하나님이 그를 데려가셨다고 합니다(23〜24절). 에녹은 죽음을 맛보지 않고 이 세상에서 하늘나라로 바로 옮겨 간 것입니다. 이 사건은 사람이 하나님과 화목하고 인격적 교제를 회복할 때 하나님 안에서 영생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예시입니다. 죽음은 인생의 끝이 아닙니다. 영생의 소망이 우리에게 있습니다. 하나님이 죄인을 위해 화목제물로 보내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의지하는 자는 영원한 삶을 누릴 수 있습니다.

아담의 계보는 노아까지 기록되어 있습니다. 노아는 저주받은 땅에서 노동의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 위로가 될 존재입니다(29절). 이는 죄악으로 점철된 세상이 대홍수의 심판을 받을 것이지만, 노아를 통해 하나님의 구원이 이어질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은 인류구원의 뜻을 이루기 위해 즉각적인 심판을 유보하시고 약속의 씨를 낳을 후손을 낳도록 계속 구원의 역사를 주관해 오셨습니다. 하나님의 구원 약속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장차 예수님의 재림을 통해 그 구원은 완성될 것입니다. 그날을 향해 우리도 전진하고 있기에 위로를 받고 소망을 품습니다.

아담의 족보는 사람이 살다가 죽었다는 기록입니다. 실로 인류의 역사는 탄생과 죽음이 반복되는 허무한 기록입니다. 이것이 죄를 범한 인생의 비극적 운명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에녹을 통해 영생의 소망을 보여 주십니다. 노아를 통해 생명의 구원도 약속하십니다. 오직 구원의 복음, 생명의 복음만이 인생의 가장 큰 위로입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사흘 만에 시글락에 이른 때에 아말렉 사람들이 이미 네겝과 시글락을 침노하였는데 그들이 시글락을 쳐서 불사르고 2 거기에 있는 젊거나 늙은 여인들은 한 사람도 죽이지 아니하고 다 사로잡아 끌고 자기 길을 갔더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성읍에 이르러 본즉 성읍이 불탔고 자기들의 아내와 자녀들이 사로잡혔는지라 4 다윗과 그와 함께 한

1 블레셋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군대를 아벡에 모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스르엘에 있는 샘 곁에 진 쳤더라 2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은 수백 명씩 수천 명씩 인솔하여 나아가고 다윗과 그의 사람들은 아기스와 함께 그 뒤에서 나아가더니 3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이 이르되 이 히브리 사람들이 무엇을 하려느냐 하니 아기스가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에게 이르되 이는

15 사무엘이 사울에게 이르되 네가 어찌하여 나를 불러 올려서 나를 성가시게 하느냐 하니 사울이 대답하되 나는 심히 다급하니이다 블레셋 사람들은 나를 향하여 군대를 일으켰고 하나님은 나를 떠나서 다시는 선지자로도, 꿈으로도 내게 대답하지 아니하시기로 내가 행할 일을 알아보려고 당신을 불러 올렸나이다 하더라 16 사무엘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너를 떠나 네 대적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