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또 이르시되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는데
12 그 둘째가 아버지에게 말하되 아버지여 재산 중에서 내게 돌아올 분깃을 내게 주소서 하는지라 아버지가 그 살림을 각각 나눠 주었더니
13 그 후 며칠이 안 되어 둘째 아들이 재물을 다 모아 가지고 먼 나라에 가 거기서 허랑방탕하여 그 재산을 낭비하더니
14 다 없앤 후 그 나라에 크게 흉년이 들어 그가 비로소 궁핍한지라
15 가서 그 나라 백성 중 한 사람에게 붙여 사니 그가 그를 들로 보내어 돼지를 치게 하였는데
16 그가 돼지 먹는 쥐엄 열매로 배를 채우고자 하되 주는 자가 없는지라
17 이에 스스로 돌이켜 이르되 내 아버지에게는 양식이 풍족한 품꾼이 얼마나 많은가 나는 여기서 주려 죽는구나
18 내가 일어나 아버지께 가서 이르기를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19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나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 하리라 하고
20 이에 일어나서 아버지께로 돌아가니라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21 아들이 이르되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하나
22 아버지는 종들에게 이르되 제일 좋은 옷을 내어다가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라
23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으라 우리가 먹고 즐기자
24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하니 그들이 즐거워하더라
25 맏아들은 밭에 있다가 돌아와 집에 가까이 왔을 때에 풍악과 춤추는 소리를 듣고
26 한 종을 불러 이 무슨 일인가 물은대
27 대답하되 당신의 동생이 돌아왔으매 당신의 아버지가 건강한 그를 다시 맞아들이게 됨으로 인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았나이다 하니
28 그가 노하여 들어가고자 하지 아니하거늘 아버지가 나와서 권한대
29 아버지께 대답하여 이르되 내가 여러 해 아버지를 섬겨 명을 어김이 없거늘 내게는 염소 새끼라도 주어 나와 내 벗으로 즐기게 하신 일이 없더니
30 아버지의 살림을 창녀들과 함께 삼켜 버린 이 아들이 돌아오매 이를 위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나이다
31 아버지가 이르되 얘 너는 항상 나와 함께 있으니 내 것이 다 네 것이로되
32 이 네 동생은 죽었다가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얻었기로 우리가 즐거워하고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니라
탕자의 비유는 잃은 양 비유와 드라크마 비유의 결론입니다. 앞의 두 비유는 세리와 죄인들도 하나님 앞에서 중요한 존재임을 가르치는 데 그치지만, 탕자의 비유는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의 시각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데까지 나아갑니다.
혐오의 대상(11~19절)
예수님은 ‘두 아들’을 제시하심으로써 둘째 아들에 해당하는 ‘세리와 죄인들’이 유대 사회 가운데 무시해도 좋을 소수가 아님을 밝히십니다(11절). 유대인이 보기에 둘째 아들의 모습은 극도로 혐오스럽습니다. 유산을 미리 달라고 하는 것은 아버지가 죽기를 바랐다는 것이고(12절), 율법 규정에서 벗어나 맘대로 살려고 먼 곳, 즉 이방인의 땅으로 갔습니다(13절). 게다가 돼지 치는 일을 하고 그 사료까지 먹으려 했다는 것은 유대인들로서는 구역질이 날 만한 일입니다(15〜16절). 그런데 둘째 아들은 집으로 돌아가 ‘품꾼의 하나’ 즉 가족의 ‘주변인’으로라도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갖습니다(19절). 이는 세리와 죄인들의 자의식도 이와 그리 다르지 않았음을 알려 줍니다. 그들은 자신들을 죄인으로 여기고 있었고, 유대인 사회의 ‘가족’에 포함될 수 없기에 주변인의 위치라도 얻기를 원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긍휼의 대상(20〜24절)
그러나 아버지는 둘째 아들을 여전히 아들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아버지에게서는 그 아들을 향한 혐오가 전혀 보이지 않고, 오직 긍휼만이 보일 뿐입니다. 경건한 유대인들로서는 돼지를 치고 돼지 먹이를 먹던 자의 목을 안고 입을 맞추는 행동은 상상조차 못 할 일이지만, 아버지는 전혀 개의치 않습니다(20절). 둘째 아들은 자기가 아버지의 아들, 즉 가족이 될 자격이 없다고 말하지만(21절), 아버지는 그의 지위를 회복시킵니다(22〜23절). 이 비유를 통해 예수님은 세리와 죄인들 역시 하나님의 백성이고, 하나님은 그들을 결코 혐오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긍휼을 베푸신다고 선언하셨습니다. 사실 부모의 마음을 조금만 이해한다면,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잃었다가 다시 얻은 아들’이 얼마나 귀한지 깨달을 수 있습니다(24절). 예수님은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에게 그들을 향한 혐오를 긍휼로 바꾸라고 요구하십니다.
받은 은혜를 잊어버리다(25~32절)
맏아들은 바리새인과 서기관을 비유합니다. 그는 밭에서 일하다가 돌아오는 믿음직한 모습으로 묘사됩니다(25절). 아버지는 화가 난 큰아들을 위해 직접 나와서 권하는데, 이는 두 아들을 똑같이 사랑하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그러나 큰아들은 그 사랑을 깨닫지 못한 채, “내게는 염소 새끼도 주지 않았나이다”라고 불평합니다(29절). 그러나 아버지가 보기에 큰아들은 이미 아버지의 것을 모두 가지고 있는 기득권자입니다(31절). 아버지 곁에 머물면서 아버지 집에서 나오는 각종 혜택을 누리고 있었음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아버지는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 동생을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느냐고 말하는데(32절), 이 말을 통해 예수님은 사회적 지도층이자 기득권을 누리고 있었던 바리새인과 서기관이 당연히 소외 계층이 하나님의 은혜를 누리는 것을 기뻐해야 한다고 가르치셨습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이 누리는 것에 만족하고 감사하지 않습니다. 자기가 누리고 있는 것은 당연하고, 다른 사람이 뭔가를 더 누리면 불공평하다고 불평합니다. 하나님의 마음을 이해한 사람만이, 자기가 받은 복을 아는 사람만이 다른 사람이 복 받는 것을 함께 기뻐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마음을 품고 사람들을 긍휼히 여길 수 있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