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왕이 하만과 함께 또 왕후 에스더의 잔치에 가니라
2 왕이 이 둘째 날 잔치에 술을 마실 때에 다시 에스더에게 물어 이르되 왕후 에스더여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냐 곧 허락하겠노라 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냐 곧 나라의 절반이라 할지라도 시행하겠노라
3 왕후 에스더가 대답하여 이르되 왕이여 내가 만일 왕의 목전에서 은혜를 입었으며 왕이 좋게 여기시면 내 소청대로 내 생명을 내게 주시고 내 요구대로 내 민족을 내게 주소서
4 나와 내 민족이 팔려서 죽임과 도륙함과 진멸함을 당하게 되었나이다 만일 우리가 노비로 팔렸더라면 내가 잠잠하였으리이다 그래도 대적이 왕의 손해를 보충하지 못하였으리이다 하니
5 아하수에로 왕이 왕후 에스더에게 말하여 이르되 감히 이런 일을 심중에 품은 자가 누구며 그가 어디 있느냐 하니
6 에스더가 이르되 대적과 원수는 이 악한 하만이니이다 하니 하만이 왕과 왕후 앞에서 두려워하거늘
7 왕이 노하여 일어나서 잔치 자리를 떠나 왕궁 후원으로 들어가니라 하만이 일어서서 왕후 에스더에게 생명을 구하니 이는 왕이 자기에게 벌을 내리기로 결심한 줄 앎이더라
8 왕이 후원으로부터 잔치 자리에 돌아오니 하만이 에스더가 앉은 걸상 위에 엎드렸거늘 왕이 이르되 저가 궁중 내 앞에서 왕후를 강간까지 하고자 하는가 하니 이 말이 왕의 입에서 나오매 무리가 하만의 얼굴을 싸더라
9 왕을 모신 내시 중에 하르보나가 왕에게 아뢰되 왕을 위하여 충성된 말로 고발한 모르드개를 달고자 하여 하만이 높이가 오십 규빗 되는 나무를 준비하였는데 이제 그 나무가 하만의 집에 섰나이다 왕이 이르되 하만을 그 나무에 달라 하매
10 모르드개를 매달려고 한 나무에 하만을 다니 왕의 노가 그치니라
본문은 어리석은 왕을 이용해 아무 죄도 없는 유다 사람들을 죽이려 했던 하만의 최후를 보여 줍니다. 이 이야기는 의인인 모르드개와 에스더, 악인인 하만, 그리고 우매자인 아하수에로의 삼각 구도로 이뤄져 있습니다. 악인은 우매자를 이용해 의인을 치려 하지만, 결국 하나님은 악인이 우매자에 의해 멸망을 당하게 하시며, 원래 의인을 치는 도구였던 우매자는 오히려 의인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의인의 손에 들린 우매자(1〜6a절)
에스더가 베푼 두 번째 잔치에 왕과 하만이 다시 한번 같이 참여합니다(1절). 어제까지만 해도 하만은 왕후의 잔치에 왕과 함께 이틀 연속 참여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자랑스러워했지만(5:10〜12), 이것이 바로 자신을 파멸에 이르게 하는 덫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왕은 세 번째로 에스더에게 나라의 절반이라도 주겠다고 약속하는데, 이는 에스더의 권세가 왕에 필적할 정도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2절). 드디어 에스더는 왕후의 권세를 발휘해 유다 사람들이 죽임당하게 되었음을 알리며 그들을 살려 달라고 요청합니다(3〜4절). 여기서 에스더는 매우 겸손한 태도로 유다 사람들이 죽임을 당하는 것이 아니라 노비로 팔리는 것이었다면 이런 요청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 말은 왕으로 하여금 아무 죄도 없는 한 민족을 모두 죽이는 결정이 얼마나 몰상식한 일인가를 깨닫게 했을 것입니다. 어리석은 왕은 자신이 그 조서에 인장을 찍은 일을 기억하지도 못하고 있었습니다(5절). 그러다가 에스더의 말을 들으면서 자기가 하만에게 돈을 받고 내린 조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6a절). 사실 지금까지 왕 아하수에로는 하만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도구였을 뿐입니다. 이제는 그 도구가 의인의 손에 들렸습니다. 이처럼 악인은 자기가 판 함정에 빠져 멸망을 당하게 마련입니다.
우매자에 의해 죽는 악인(6b~10절)
자기가 하만에게 이용당했다는 사실을 깨달은 왕은 그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후원으로 들어가고, 이를 본 하만은 두려움에 붙잡혀 에스더에게 생명을 구걸합니다(6b〜7절). 마침 후원에서 다시 잔치 자리로 돌아온 왕은 하만이 에스더의 걸상 위에 엎드린 것을 보고 하만이 자기 앞에서 왕후를 강간하려 한다고 분노하는데(8a절), 이는 왕의 오해라기보다 하만에게 반란죄를 뒤집어씌우기 위해 한 말일 것입니다. 유다 사람들을 죽이게 한 조서를 문제 삼아 하만을 처벌할 수는 없는 것이, 자신이 바로 그 조서에 도장을 찍은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하만은 즉시 그 자리에서 체포되어 얼굴이 가려집니다(8b절). 내시 하르보나는 하만이 모르드개를 죽이려고 나무를 세웠다는 사실을 알리는데(9절), 이는 교만한 하만이 궁중의 다른 사람들에게도 증오의 대상이었음을 알게 합니다. 결국 하만은 모르드개를 달려고 했던 그 50규빗의 나무에 달리고 맙니다(10절). 1장에서 와스디가 단 하루 만에 왕후의 자리에서 쫓겨났듯이, 바사 제국의 2인자였던 하만 역시 단 하루 만에 죽임을 당해 나무에 달리고 말았습니다. 이처럼 하나님은 우매한 왕을 이용하려 했던 악인이 오히려 그 우매자에 의해 죽게 하셨습니다. 정의롭지 못한 방법으로 자기 유익을 구하는 자들이 잠시 동안은 흥하는 듯하지만, 그들의 결국은 멸망일 뿐입니다.
세상에는 악인과 우매자들이 넘쳐납니다. 사실 대부분의 악인들은 악인들 사이의 갈등에 의해 스스로 파멸하지만, 이 과정에서 의인과 지혜자들이 악인과 우매자들에 의해 억울한 일, 위험한 상황을 겪기도 합니다. 그때 의인들은 살아 계신 하나님이 그 고난을 사용하셔서 세상의 악을 몰아내시고 모든 것을 바로 잡으실 것임을 믿어야 합니다. 우리도 에스더처럼 주님의 섭리 가운데 쓰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