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 내가 불을 땅에 던지러 왔노니 이 불이 이미 붙었으면 내가 무엇을 원하리요
50 나는 받을 세례가 있으니 그것이 이루어지기까지 나의 답답함이 어떠하겠느냐
51 내가 세상에 화평을 주려고 온 줄로 아느냐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아니라 도리어 분쟁하게 하려 함이로라
52 이 후부터 한 집에 다섯 사람이 있어 분쟁하되 셋이 둘과, 둘이 셋과 하리니
53 아버지가 아들과, 아들이 아버지와, 어머니가 딸과, 딸이 어머니와, 시어머니가 며느리와, 며느리가 시어머니와 분쟁하리라 하시니라
54 또 무리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구름이 서쪽에서 이는 것을 보면 곧 말하기를 소나기가 오리라 하나니 과연 그러하고
55 남풍이 부는 것을 보면 말하기를 심히 더우리라 하나니 과연 그러하니라
56 외식하는 자여 너희가 천지의 기상은 분간할 줄 알면서 어찌 이 시대는 분간하지 못하느냐
57 또 어찌하여 옳은 것을 스스로 판단하지 아니하느냐
58 네가 너를 고발하는 자와 함께 법관에게 갈 때에 길에서 화해하기를 힘쓰라 그가 너를 재판장에게 끌어 가고 재판장이 너를 옥졸에게 넘겨 주어 옥졸이 옥에 가둘까 염려하라
59 네게 이르노니 한 푼이라도 남김이 없이 갚지 아니하고서는 결코 거기서 나오지 못하리라 하시니라
그리스도인들은 언젠가 주님 앞에 서게 될 날을 생각하며 깨어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죽음이나 예수님의 재림을 의식하며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초대교회 성도들 역시 마찬가지였던 것 같습니다. 누가는 예수님의 말씀을 통해 재림이나 종말이 멀리 있다고 여기며 안일하게 살아서는 안 된다고 강하게 경고하고 있습니다.
분쟁이 시작되었다(49~53절)
예수님이 불을 땅에 던지신다는 말씀은 해석이 쉽지 않지만, 예수님이 받으실 ‘세례’가 십자가 수난을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기에 ‘불’은 제자들이 받을 성령을 의미한다고 이해하는 것이 무난합니다(49〜50절). 그렇다면 이 말씀은 십자가, 부활, 승천, 성령 강림을 통해 하나님 나라를 세우실 시기가 임박했기에 예수님이 답답해하시며 이 일을 이루려 하신다, 즉 빨리 이루시려고 서두르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이 시급함을 ‘분쟁’으로 비유해 가르치고 계십니다. 복음이 선포되면 세상은 복음을 따르는 자와 거부하는 자로 나뉘어 분쟁이 일어납니다(51절). 싸움이 없을 때에는 사람들이 안일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지만, 싸움이 일어났을 때에는 누구도 편안하게 쉴 수 없고 빠르게 자기가 맡은 일을 감당해야만 이길 수 있습니다. 이처럼 복음을 가지고 세상에 보냄을 받은 사람은 세상의 영적 전쟁을 치르게 되기 때문에 결코 안일하게 시간을 보낼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 싸움은 가족 내에서도 일어날 것이기에(52〜53절), 일을 마치고 집안에 들어오면 그저 편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서도 안 됩니다. 이처럼 복음을 가진 우리는 주님의 때가 가까웠으므로 아무렇게나 시간을 보낼 것이 아니라 매 순간 긴박하게 하나님 나라를 위해 살아야 합니다. 매 순간 영적 전투를 감당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시간을 무가치하게 보내지 말아야 합니다.
즉시 해결하라(54~59절)
사람들은 생각보다 변화를 잘 예측하고 적응하는 존재들입니다. 구름을 보고 소나기를 예측하고, 남풍이 불면 더위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입니다(54〜55절). 그러나 영적 시각으로 시대를 분별하는 일은 잘하지 못합니다(56절). 사실 이는 매일의 삶에서 깨어 있지 않고 안일하게 시간을 보내는 사람은 절대 파악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다시 한번 분쟁을 예로 드시면서 하나님의 마지막 심판에 대해 안일한 태도를 갖지 않도록 가르치십니다. 두 사람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을 때, 먼저 잘못을 저지른 자나 상대방에게 해를 입힌 자의 입장에서는 어떻게든 재판까지 가지 않도록 피해자와 합의를 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지혜로운 선택입니다. 재판장 앞에 가서 선고를 받게 되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되기 때문입니다(58〜59절). 이처럼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죄를 지었다면 시급히 이를 해결하고 용서를 받아야지, 안일하게 차일피일 미루다가 최종 심판의 자리에 가게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매일의 삶 가운데 언제 주님이 다시 오실지 모르니 날마다 자신의 죄를 살피고 주님 앞에서 정결한 자녀로 살아가며 하나님의 나라를 구해야 합니다.
사람들은 중요한 일보다는 급한 일에 먼저 움직입니다. 죄를 회개하고 말씀을 깨닫는 일은 너무나 중요한 일이지만 다급한 일로 여기지 않기에 차일피일 미루다가 경건에서 멀어집니다. 사명을 감당하는 일도 촌각을 다투는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기에 미루다가 감당하지 못하고 맙니다.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정결하게 하고 사명을 감당하는 일은 결코 ‘내일 해도 되는 일’이 아닙니다. 우리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일이요, 우리 인생의 가치를 결정하는 일입니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먼저 해야 하는 일로 여기고 전심으로 힘써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