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언약의 확증과 할례_창세기 17:1-14

1 아브람이 구십구 세 때에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서 그에게 이르시되 나는 전능한 하나님이라 너는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

2 내가 내 언약을 나와 너 사이에 두어 너를 크게 번성하게 하리라 하시니

3 아브람이 엎드렸더니 하나님이 또 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4 보라 내 언약이 너와 함께 있으니 너는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될지라

5 이제 후로는 네 이름을 아브람이라 하지 아니하고 아브라함이라 하리니 이는 내가 너를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되게 함이니라

6 내가 너로 심히 번성하게 하리니 내가 네게서 민족들이 나게 하며 왕들이 네게로부터 나오리라

7 내가 내 언약을 나와 너 및 네 대대 후손 사이에 세워서 영원한 언약을 삼고 너와 네 후손의 하나님이 되리라

8 내가 너와 네 후손에게 네가 거류하는 이 땅 곧 가나안 온 땅을 주어 영원한 기업이 되게 하고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리라

9 하나님이 또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그런즉 너는 내 언약을 지키고 네 후손도 대대로 지키라

10 너희 중 남자는 다 할례를 받으라 이것이 나와 너희와 너희 후손 사이에 지킬 내 언약이니라

11 너희는 포피를 베어라 이것이 나와 너희 사이의 언약의 표징이니라

12 너희의 대대로 모든 남자는 집에서 난 자나 또는 너희 자손이 아니라 이방 사람에게서 돈으로 산 자를 막론하고 난 지 팔 일 만에 할례를 받을 것이라

13 너희 집에서 난 자든지 너희 돈으로 산 자든지 할례를 받아야 하리니 이에 내 언약이 너희 살에 있어 영원한 언약이 되려니와

14 할례를 받지 아니한 남자 곧 그 포피를 베지 아니한 자는 백성 중에서 끊어지리니 그가 내 언약을 배반하였음이니라

하나님은 때로 우리를 극한으로 몰아가십니다. 극한의 상황에서 인내의 임계점에 도달했을 때 우리는 비로소 하나님의 뜻하심을 발견하게 됩니다. 아브람이 86세에 이스마엘을 얻은 후, 또다시 13년의 시간이 지났습니다. 이제 아브람은 99세가 되었습니다. 인내의 임계점에 이른 아브람에게 하나님은 또다시 언약을 기억하게 하십니다.

아브람이 가나안 땅으로 이주한 지도 24년이 지났습니다. 모든 가능성이 사라진 때에 하나님은 침묵을 깨뜨리시고 아브람에게 “나는 전능한 하나님이라”고 계시하십니다(1절). 아브람은 이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지만 하나님은 그때가 약속이 성취되기에 가장 좋은 때로 삼으신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지금이 가장 좋은 때이니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고 명하십니다. 하나님은 모든 한계 속에서도 완벽하게 뜻을 이루시는 분입니다.

하나님은 아브람이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될 것임을 알리시고, 이름을 ‘열국의 아버지’라는 뜻의 ‘아브라함’으로 바꿔 주십니다(4〜5절). 성경에서 새로운 이름이 주어질 때는 새로운 정체성, 새로운 사명이 부여됩니다. 하나님은 아브람의 이름을 바꿔 주심으로 그가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될 것임을 확신하게 하신 것입니다. 우리도 본래는 ‘죄인’이었지만 새 언약에 동참함으로 ‘그리스도인’이라는 새 이름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과거의 모습을 버리고 그 이름에 합당한 삶, 그리스도를 닮은 모습으로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다시금 번성을 약속하시고, 그가 많은 민족의 조상이 될 것과 그들 중에 왕들도 나올 것임을 약속하십니다(6〜7절). 실제로 하나님의 약속대로 수많은 왕이 나왔고, 궁극적으로 만왕의 왕, 영원한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나심으로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말씀이 온전히 성취되었습니다. 하나님의 약속 성취는 우리의 생각을 뛰어넘어 완전함으로 나아갑니다.

하나님은 할례를 하나님과 언약 관계, 즉 하나님과 새로운 관계가 되었다는 표징으로 삼으라고 하십니다(9〜11절). 할례는 언약의 표징을 몸에 새기는 것으로, 언약의 하나님에 대해 신앙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에게도 하나님의 백성 됨의 표징이 있어야 합니다. 그것을 사도 바울은 ‘마음에 할례’라고 말합니다(롬 2:29).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자신의 옛 자아를 죽이고 새롭게 거듭남으로 그 삶이 변화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변화된 새로운 삶, 이전의 더럽고 죄악된 삶을 버리고 거룩한 삶을 사는 것, 이것이 바로 ‘마음의 할례’입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할례를 명하시면서 그의 집에 속한 자는 모두 빠짐없이 할례를 받으라고 하십니다(12〜13절). 곧 하나님의 언약이 아브라함만이 아니라 그의 집에 속한 모든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모두가 그 언약에 순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브라함의 자손만이 아닙니다. 그의 집에 속한 이방인들도 언약의 대상이 되고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 됩니다. 이 말씀은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세례를 베풀고 주님의 말씀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는 지상명령으로 연결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 마음의 할례를 받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방법보다 인간적인 방법들이 더 현실적이고 더 실현 가능성이 높아 보여도,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고, 하나님의 약속을 떠올리며,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걸어가는 것, 이것이 확실한 생명의 길입니다.

1 view

Recent Posts

See All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36 아비가일이 나발에게로 돌아오니 그가 왕의 잔치와 같은 잔치를 그의 집에 배설하고 크게 취하여 마음에 기뻐하므로 아비가일이 밝는 아침까지는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하다가 37 아침에 나발이 포도주에서 깬 후에 그의 아내가 그에게 이 일을 말하매 그가 낙담하여 몸이 돌과 같이 되었더니 38 한 열흘 후에 여호와께서 나발을 치시매 그가 죽으니라 39 나발이 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