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땅과 거기에 충만한 것과 세계와 그 가운데에 사는 자들은 다 여호와의 것이로다
2 여호와께서 그 터를 바다 위에 세우심이여 강들 위에 건설하셨도다
3 여호와의 산에 오를 자가 누구며 그의 거룩한 곳에 설 자가 누구인가
4 곧 손이 깨끗하며 마음이 청결하며 뜻을 허탄한 데에 두지 아니하며 거짓 맹세하지 아니하는 자로다
5 그는 여호와께 복을 받고 구원의 하나님께 의를 얻으리니
6 이는 여호와를 찾는 족속이요 야곱의 하나님의 얼굴을 구하는 자로다 (셀라)
7 문들아 너희 머리를 들지어다 영원한 문들아 들릴지어다 영광의 왕이 들어가시리로다
8 영광의 왕이 누구시냐 강하고 능한 여호와시요 전쟁에 능한 여호와시로다
9 문들아 너희 머리를 들지어다 영원한 문들아 들릴지어다 영광의 왕이 들어가시리로다
10 영광의 왕이 누구시냐 만군의 여호와께서 곧 영광의 왕이시로다 (셀라)
시편 24편은 다윗이 언약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겨 올 때를 연상시킵니다. 어쩌면 다윗은 이 노래를 부르며 언약궤 앞에서 춤을 추었을지도 모릅니다. 다윗의 이 찬송에서 하나님을 어떻게 인식하고, 예배해야 할지를 배울 수 있습니다.
창조주 하나님이 왕이시다(1 ~2절)
시인 다윗은 자신이 이스라엘의 왕이지만 진정한 왕은 여호와 하나님이심을 잊지 않았고, 언제나 그 사실을 백성에게 가르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다윗은 이스라엘을 포함한 이 땅의 모든 것과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것이라고 노래하는데(1절) 이는 자신도 수많은 사람 중 한 명일 뿐이고, 수많은 나라의 왕들 중 하나일 뿐임을 인정한 것입니다. 시인은 하나님이 땅의 터를 바다 위에 세우셨고, 강들 위에 건설하셨다고 노래하는데(2절), 이는 창세기의 창조 장면을 떠올리게 합니다(참조, 창 1:9〜10). 또한 마치 땅이 배처럼 물 위에 떠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하면서 하나님이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하시는 분임을 선포합니다. 무엇보다 다윗은 하나님이 진정한 왕이시고 자신은 그저 피조물 중 하나에 불과함을 철저하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 앞에 서기 위한 첫째 관문은 바로 이런 겸손함입니다.
하나님 앞에 서려면(3~6절)
일반적으로 왕권을 정당화하기 위해 종교를 사용하는 경우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하지만 다윗은 자신이 하나님의 신하임을 분명하게 인식했습니다. 다윗은 여호와의 산에 올라 그 성소에 설 자가 누구인지를 노래하는데, 이는 왕 앞에 나아가기 위해 자신을 정돈하는 신하들의 모습을 떠올리게 합니다. 거룩한 왕 앞에는 정결하고 거짓되지 않은 자만이 설 수 있음을 선포하고(3〜4절), 그런 자질을 갖춘 자는 하나님께 복을 받을 것이라고 선언합니다(5절). 다윗은 자신도 하나님 앞에 설 자격을 갖추기를 원했을 것입니다. 그는 자신이 여호와를 찾는 족속, 즉 이스라엘의 왕으로서 하나님의 얼굴을 구하고 있으니 하나님이 자신을 맞아주실 것을 기대합니다(6절). 우리는 하나님 앞에 나아갈 때 이런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예배 때마다 우리가 이런 마음을 갖는다면 우리의 예배는 그 자체로 풍성해질 것입니다.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라(7~10절)
이제 다윗은 언약궤 앞에 서서 길앞잡이, 즉 왕의 행차 앞에서 길을 여는 역할을 하는 모습을 보여 줍니다. 다윗은 자신이 왕이신 하나님 옆에 앉은 ‘2인자’라고도 생각하지 않고, 하나님의 행차를 돕는 길앞잡이 역할을 하기를 기뻐한 것입니다. 여기서 문은 권위를 상징합니다. 시인 다윗은 문들을 향해 머리를 들라고 외치며 영광의 왕이 들어가신다고 선포합니다(7절). 문이 머리를 든다는 것은 열린다는 의미로, 왕이 행차하시는데 그 앞을 가로막을 자가 없다는 뜻입니다. 하나님은 강하고 능하시며, ‘전쟁에 능한’ 여호와십니다(8절). 그러므로 그분 앞을 막았다가는 모두 멸절당하게 되리라는 외침입니다. 다윗은 계속 영광의 왕 여호와를 외치며 세상의 모든 권세를 상징하는 문들에게 머리를 들라고 명령하며 노래를 마칩니다(9〜10절). 우리도 다윗처럼, 주님의 권세를 외치는 길앞잡이 노릇을 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세상의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주님의 크신 권세 앞에 굴복하라고 외치는 성도들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윗은 이스라엘의 왕임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자신을 겸손히 낮추고 하나님만을 높이려 했기에 이스라엘의 가장 이상적인 왕으로 인정될 수 있었습니다. 성도는 하나님 앞에서 겸손함과 순전함으로 하나님만 높이고 예배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영광의 주님과 함께하는 은혜를 누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