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윗이 놉에 가서 제사장 아히멜렉에게 이르니 아히멜렉이 떨며 다윗을 영접하여 그에게 이르되 어찌하여 네가 홀로 있고 함께 하는 자가 아무도 없느냐 하니
2 다윗이 제사장 아히멜렉에게 이르되 왕이 내게 일을 명령하고 이르시기를 내가 너를 보내는 것과 네게 명령한 일은 아무것도 사람에게 알리지 말라 하시기로 내가 나의 소년들을 이러이러한 곳으로 오라고 말하였나이다
3 이제 당신의 수중에 무엇이 있나이까 떡 다섯 덩이나 무엇이나 있는 대로 내 손에 주소서 하니
4 제사장이 다윗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보통 떡은 내 수중에 없으나 거룩한 떡은 있나니 그 소년들이 여자를 가까이만 하지 아니하였으면 주리라 하는지라
5 다윗이 제사장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우리가 참으로 삼 일 동안이나 여자를 가까이 하지 아니하였나이다 내가 떠난 길이 보통 여행이라도 소년들의 그릇이 성결하겠거든 하물며 오늘 그들의 그릇이 성결하지 아니하겠나이까 하매
6 제사장이 그 거룩한 떡을 주었으니 거기는 진설병 곧 여호와 앞에서 물려 낸 떡밖에 없었음이라 이 떡은 더운 떡을 드리는 날에 물려 낸 것이더라
7 그 날에 사울의 신하 한 사람이 여호와 앞에 머물러 있었는데 그는 도엑이라 이름하는 에돔 사람이요 사울의 목자장이었더라
8 다윗이 아히멜렉에게 이르되 여기 당신의 수중에 창이나 칼이 없나이까 왕의 일이 급하므로 내가 내 칼과 무기를 가지지 못하였나이다 하니
9 제사장이 이르되 네가 엘라 골짜기에서 죽인 블레셋 사람 골리앗의 칼이 보자기에 싸여 에봇 뒤에 있으니 네가 그것을 가지려거든 가지라 여기는 그것밖에 다른 것이 없느니라 하는지라 다윗이 이르되 그같은 것이 또 없나니 내게 주소서 하더라
다윗은 이제 길고 지난한 도망자의 생활을 시작합니다. 그러나 이 시간은 다윗에게 필요한 연단의 시간입니다. 하나님을 더욱 의지하고 자신을 내려놓을 수 있는 시간입니다. 다윗이 사울을 피해 도망치면서 처음 선택한 목적지는 성소가 있는 놉이었습니다. 그곳에서 다윗은 여러 가지 연단의 과정을 경험합니다.
다윗은 놉에 있는 제사장 아히멜렉에게로 갑니다. 아히멜렉은 평소와 달리 혼자 온 다윗을 의아하게 여깁니다. 다윗은 왕의 은밀한 명령 때문이라고 둘러댑니다(1〜2절). 다윗은 첫 목적지를 성소가 있는 곳으로 정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대제사장의 도움을 얻습니다. 다윗은 도피 생활을 시작하면서 먼저 하나님을 찾았습니다. 다윗은 하나님께 기대고,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도움 얻기를 원했습니다. 어려움이 닥칠 때 믿고 신뢰할 분은 하나님입니다. 또한 믿음의 공동체도 우리에게 큰 위로와 힘이 됩니다.
사울을 피해 도망치느라 허기진 다윗은 아히멜렉에게 먹을 것을 요청합니다. 아히멜렉은 성소에서 물려 낸 거룩한 떡이 있는데, 다윗과 부하들이 성결하다면 내어 주겠다고 제안합니다(3〜4절). 거룩한 떡을 먹을 수 있는 정결한 상태인지 확인한 것입니다. 하나님의 사람은 자신이 처한 상황과 형편이 어떠하든지 정결함을 잃지 않도록 힘써야 합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성도로 부르셨기 때문입니다.
다윗은 3일간 여자를 가까이하지 않았다고 대답합니다. 이에 아히멜렉은 거룩한 떡을 내어 주었습니다(5〜6절). 다윗의 말이 사실에 근거한 것은 아니지만, 그의 마음을 대변하는 말이기는 했습니다. 그는 지금 왕이 되기까지 연단의 과정을 보내고 있는 것입니다. 다윗은 지금 깨끗한 그릇으로 서 있습니다. 성도는 언제 어디를 가더라도 하나님 백성의 분명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환경에 압도되지 않는 믿음은 정체성을 붙잡을 때 지킬 수 있습니다.
그 자리에 도엑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7절). 에돔 사람 도엑은 나중에 거리낌 없이 제사장들을 죽이는 인물입니다. 하나님이 연단 하는 믿음의 길에서는 선한 사람도 만나지만 악한 사람도 만납니다. 도엑이 그런 인물입니다. 나중에 다윗은 도엑이 행한 일로 인해 애통해합니다. 연단의 과정은 힘들고 고통스럽습니다. 원치 않는 사람들이 등장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믿음으로 인내하면 단단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관계 맺기 힘든 사람을 만날 때 연단의 과정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다윗은 아히멜렉에게 무기가 있느냐고 물어봅니다. 아히멜렉은 다윗이 죽인 골리앗의 칼을 가져가도록 허락합니다. 다윗은 그만한 것이 또 어디 있겠냐며 기쁘게 가져갑니다(9절). 극적인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골리앗의 칼을 성소에 보관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제 마땅히 돌아가야 할 주인에게 돌아간 것입니다. 하나님은 연단의 과정 가운데 필요한 것을 공급하십니다. 연단의 과정은 하나님의 채우심을 경험하는 시간입니다.
연단의 과정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특히 하나님이 사용하시는 사람은 예외 없이 광야의 시간을 거칩니다. 다윗은 연단의 과정을 시작하면서 먼저 하나님을 의지했습니다. 도망자 신분이지만 정결한 상태를 잃지 않았고, 하나님의 공급하심도 체험했습니다. 하나님이 연단의 과정을 이끄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연단의 과정에서도 기쁨을 잃지 말고 주님만 의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