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마음으로 우리를 영접하라 우리는 아무에게도 불의를 행하지 않고 아무에게도 해롭게 하지 않고 아무에게서도 속여 빼앗은 일이 없노라
3 내가 이 말을 하는 것은 너희를 정죄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이전에 말하였거니와 너희가 우리 마음에 있어 함께 죽고 함께 살게 하고자 함이라
4 나는 너희를 향하여 담대한 것도 많고 너희를 위하여 자랑하는 것도 많으니 내가 우리의 모든 환난 가운데서도 위로가 가득하고 기쁨이 넘치는도다
5 우리가 마게도냐에 이르렀을 때에도 우리 육체가 편하지 못하였고 사방으로 환난을 당하여 밖으로는 다툼이요 안으로는 두려움이었노라
6 그러나 낙심한 자들을 위로하시는 하나님이 디도가 옴으로 우리를 위로하셨으니
7 그가 온 것뿐 아니요 오직 그가 너희에게서 받은 그 위로로 위로하고 너희의 사모함과 애통함과 나를 위하여 열심 있는 것을 우리에게 보고함으로 나를 더욱 기쁘게 하였느니라
바울은 드로아에서 디도를 만나지 못하고 마게도냐로 갔다는 내용(2:13) 다음에 이어지는 말을 7:5에서야 기록했습니다. 아마도 고린도 성도들은 디도에게 바울이 속히 와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던 모양입니다. 그런데 겨울에는 항해가 불가능했던 탓에 디도는 드로아에 도착하지 못했습니다. 결국 바울은 디도로부터 고린도 교회의 상황을 전해 듣지 못한 채 마게도냐로 가는 마지막 배를 타야 했습니다. 이에 고린도 성도들의 마음이 상하여 바울을 오해했던 것 같습니다. 바울은 이에 대한 오해를 풀고 있습니다.
오해에도 불구하고 얻는 위로와 기쁨(2~4절)
바울은 2:13에서 마게도냐로 갔다는 말 이후에 화제를 바꾸어, 복음 사역에 대한 자신의 자세에 대해 길게 이야기했습니다(2:14〜7:1). 본문에서 바울은 자신이 고린도 교회를 무시하지 않았으며 악의도 없음을 강조하고, 자기가 고린도에 도착하면 마음으로 영접해 주길 요청합니다(2절). 또 고린도 교회가 자신을 오해한 것을 정죄하려는 의도도 없음을 밝히며(3a절) 자신이 고린도 성도들과 함께 죽고 함께 살기를 원할 정도로 그들을 깊이 사랑하고 있다고 고백합니다(3b절). 그리고 바울은 고린도 교회를 향해 ‘담대한 것’과 ‘자랑하는 것’이 많다고 말하는데, 이는 아마도 자신이 마게도냐에서 겪은 여러 환난을 통해 많은 복음의 열매가 있었기에, 그것을 간증할 수 있다는 의미로 보입니다. 즉 바울은 마게도냐로 가기로 결정함으로써 고린도 교회로부터는 오해를 사고, 자신 또한 많은 환난을 겪기도 했지만, 그 모든 것을 통해 예수님을 드러낼 수 있었기에 위로와 기쁨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4절; 롬 8:28). 이처럼 바울은 주님의 복음에 진전이 되기만 한다면 자신은 어떤 어려움을 겪어도 좋다고 말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이처럼 참된 복음 사역자는 하나님으로부터 위로를 얻게 마련입니다.
환난에도 불구하고 얻는 위로와 가쁨(5~7절)
바울은 드로아에서 디도를 만나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마게도냐로 넘어가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노라고 말합니다(5절). 사실 바울은 이전에 마게도냐(빌립보, 데살로니가, 베뢰아)를 처음 방문했을 때에도 상당히 많은 고생을 했습니다. 빌립보에서는 매를 맞고 옥에 갇히는 일이 있었고, 데살로니가와 베뢰아에서는 유대인들의 박해 때문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도망을 다녀야 했습니다(2차 전도 여행, 행 16〜17장). 바울이 다시 마게도냐를 방문했을 때에도 아마 고린도 교회의 문제 때문에 마음이 무거웠을 것이고, 마게도냐라는 지역 자체가 바울에게 호의적이지 않은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었기에 우리가 모르는 고난도 많이 당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바울은 마게도냐에서 디도를 만날 수 있었고, 디도를 통해 고린도 교회의 성도들이 회개하여 교회에 문제를 일으켰던 자(아마도 바울의 대적)를 징계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이것이 바울에게는 큰 기쁨이 되었습니다(6〜7절). 그 많은 환난을 당하면서도 바울은 고린도 교회가 회개했다는 소식만으로 기뻐했습니다. 이처럼 참된 하나님의 사역자는 교회가 바로 섰다는 소식 하나로 모든 환난의 고통을 잊고 위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역사상 존경받는 신앙인들은 모두 교회 때문에 고민하고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사실 예수님의 제자들은 교회를 섬기다가 교회 때문에 근심하고, 교회 때문에 기뻐하는 경험을 하게 마련입니다. 교회가 성도들의 근심거리가 되는 것이 좋은 일은 아니지만, 바울이 보여 주듯 원래 신앙생활이란 교회 때문에 근심했다가 또 그 때문에 위로와 회복, 기쁨을 얻는 생활입니다. 우리도 주님의 몸 된 교회를 전심으로 사랑하고 섬기다가 겪는 모든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주님이 주시는 위로와 기쁨으로 회복되는 은혜를 누리기를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