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영광을 위한 하나님의 역사_출애굽기 7:1-13

1.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볼지어다 내가 너를 바로에게 신 같이 되게 하였은즉 네 형 아론은 네 대언자가 되리니

2.내가 네게 명령한 바를 너는 네 형 아론에게 말하고 그는 바로에게 말하여 그에게 이스라엘 자손을 그 땅에서 내보내게 할지니라

3.내가 바로의 마음을 완악하게 하고 내 표징과 내 이적을 애굽 땅에서 많이 행할 것이나

4.바로가 너희의 말을 듣지 아니할 터인즉 내가 내 손을 애굽에 뻗쳐 여러 큰 심판을 내리고 내 군대, 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을 그 땅에서 인도하여 낼지라

5.내가 내 손을 애굽 위에 펴서 이스라엘 자손을 그 땅에서 인도하여 낼 때에야 애굽 사람이 나를 여호와인 줄 알리라 하시매

6.모세와 아론이 여호와께서 자기들에게 명령하신 대로 행하였더라

7.그들이 바로에게 말할 때에 모세는 팔십 세였고 아론은 팔십삼 세였더라

8.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9.바로가 너희에게 이르기를 너희는 이적을 보이라 하거든 너는 아론에게 말하기를 너의 지팡이를 들어서 바로 앞에 던지라 하라 그것이 뱀이 되리라

10.모세와 아론이 바로에게 가서 여호와께서 명령하신 대로 행하여 아론이 바로와 그의 신하 앞에 지팡이를 던지니 뱀이 된지라

11.바로도 현인들과 마술사들을 부르매 그 애굽 요술사들도 그들의 요술로 그와 같이 행하되

12.각 사람이 지팡이를 던지매 뱀이 되었으나 아론의 지팡이가 그들의 지팡이를 삼키니라

13.그러나 바로의 마음이 완악하여 그들의 말을 듣지 아니하니 여호와의 말씀과 같더라

선한 일을 위해 일하는 데 실패하는 것 같을 때, 하나님의 사람들은 세상이 정의롭지 못하다고 탄식하며 실망하기도 합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계획과 뜻을 깨닫고, 실망치 않고 하나님의 일을 감당하기를 바랍니다.

1. 악인의 완고함을 허락하신 하나님

하나님은 모세를 바로에게 보내시면서 바로에게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내보낼 것을 요구하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바로의 마음을 완고하게 하심으로 바로가 쉽게 이스라엘을 내보내지 않으리라 예고하십니다. 이 말씀을 오해하면, 하나님이 바로의 마음을 완고하게 만드신다고 보기 쉽습니다. 만일 그렇다면 바로가 완고한 책임이 하나님께 있습니다. 그러나 선하신 하나님이 사람의 마음을 악하게 만든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그러므로 이 말씀은 하나님이 바로의 완고한 마음을 그대로 방치하신 것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선택과 유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원리입니다. 하나님이 어떤 사람은 믿음을 주셔서 구원해 주시고, 어떤 사람은 악하게 만들어 징벌받게 하시는 것이 아닙니다(엡 2:8). 그러므로 성도는 자신의 완악한 마음을 그대로 두지 아니하시고 강권적 역사로 변화시키시고 구원해 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와 찬송을 드려야 합니다(딛 3:5).

2. 스스로 영광을 받으시는 하나님

하나님이 바로의 완고함을 방치하신 데에는 깊은 뜻이 숨겨져 있습니다. 하나님은 애굽에 열 가지 재앙을 내려 바로와 애굽 사람이 여호와께서 진짜 하나님이신 줄 알게 할 것임을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이 애굽 땅에서 행하신 열 가지 재앙은 애굽의 우상들과 연관이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열 가지 재앙을 통해 애굽의 우상들을 치심으로 오직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만이 신이심을 알게 하려 하셨습니다. 만일 하나님이 바로의 완고함을 단번에 꺾으시고 이스라엘 백성을 출애굽시키려 하셨다면 처음부터 애굽의 모든 장자와 짐승의 첫 새끼들을 죽이셨을 것입니다.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해 바로가 처음부터 모세의 말을 듣도록 하셨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처음부터 열 가지 재앙을 계획하셨고 그때까지는 바로의 마음이 완고하게 허락하셨던 것입니다. 이와같이 모든 일은 역사의 주관자이신 하나님의 계획과 섭리 속에 있습니다. 성도는 역사의 주관자이신 거룩하신 하나님을 믿음으로 하나님 나라가 사탄의 세력을 멸하고 반드시 승리할 것임을 의심치 말아야 합니다.

3. 하나님의 역사에 사용되는 성도

하나님이 모세와 아론을 통해 이스라엘을 향한 자신의 구원의 뜻을 이루셨듯이 하나님은 성도를 역사의 도구로 사용하십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하나님의 역사의 도구라는 사명을 감당해야 합니다. 하나님이 직접 나타나셔서 많은 사람을 믿게 만들어 구원하실 수도 있지만, 전도라는 미련한 방법을 명하신 것은 우리를 구원의 도구로 삼으신 하나님의 섭리입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많은 장애물과 환난 속에서도 하나님의 섭리를 믿음으로 하나님의 뜻을 성취하는 역사의 도구로 쓰임 받아야 합니다. 맡은 자에게 구할 것은 충성이라는 말씀과 같이 하나님의 도구로써 충성을 다하는 성도가 되어야 합니다(고전 4:2).

일꾼은 주인의 뜻을 다 이해하지 못할지라도 주인이 시키는 대로 충성을 다할 뿐입니다. 하나님의 일꾼은 하나님의 명령대로만 성실히 준행하면 마지막에는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하나님의 위대한 역사를 확인하게 됩니다. 성도는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도구로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1 view

Recent Posts

See All

1 다윗이 그 마음에 생각하기를 내가 후일에는 사울의 손에 붙잡히리니 블레셋 사람들의 땅으로 피하여 들어가는 것이 좋으리로다 사울이 이스라엘 온 영토 내에서 다시 나를 찾다가 단념하리니 내가 그의 손에서 벗어나리라 하고 2 다윗이 일어나 함께 있는 사람 육백 명과 더불어 가드 왕 마옥의 아들 아기스에게로 건너가니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저마다 가족을 거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