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어떤 율법교사가 일어나 예수를 시험하여 이르되 선생님 내가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
26 예수께서 이르시되 율법에 무엇이라 기록되었으며 네가 어떻게 읽느냐
27 대답하여 이르되 네 마음을 다하며 목숨을 다하며 힘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고 또한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였나이다
28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 대답이 옳도다 이를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 하시니
29 그 사람이 자기를 옳게 보이려고 예수께 여짜오되 그러면 내 이웃이 누구니이까
30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다가 강도를 만나매 강도들이 그 옷을 벗기고 때려 거의 죽은 것을 버리고 갔더라
31 마침 한 제사장이 그 길로 내려가다가 그를 보고 피하여 지나가고
32 또 이와 같이 한 레위인도 그 곳에 이르러 그를 보고 피하여 지나가되
33 어떤 사마리아 사람은 여행하는 중 거기 이르러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34 가까이 가서 기름과 포도주를 그 상처에 붓고 싸매고 자기 짐승에 태워 주막으로 데리고 가서 돌보아 주니라
35 그 이튿날 그가 주막 주인에게 데나리온 둘을 내어 주며 이르되 이 사람을 돌보아 주라 비용이 더 들면 내가 돌아올 때에 갚으리라 하였으니
36 네 생각에는 이 세 사람 중에 누가 강도 만난 자의 이웃이 되겠느냐
37 이르되 자비를 베푼 자니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라 하시니라
38 그들이 길 갈 때에 예수께서 한 마을에 들어가시매 마르다라 이름하는 한 여자가 자기 집으로 영접하더라
39 그에게 마리아라 하는 동생이 있어 주의 발치에 앉아 그의 말씀을 듣더니
40 마르다는 준비하는 일이 많아 마음이 분주한지라 예수께 나아가 이르되 주여 내 동생이 나 혼자 일하게 두는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시나이까 그를 명하사 나를 도와 주라 하소서
41 주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42 몇 가지만 하든지 혹은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마리아는 이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어떤 율법 교사가 예수님께 와서 영생을 얻는 법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예수님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통해 당신께서 지금 걸어가시는 십자가의 길에 대한 의미를 더욱 확실히 말씀해주십니다.
영생을 얻는 방법(25〜28절)
한 율법 교사가 예수님께 영생을 얻는 방법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그런데 그는 예수님께 가르침을 받으려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을 시험하려고 질문한 것입니다. 그는 자신이 율법을 잘 알고 있기에 영생을 얻는 법도 안다고 생각했습니다. 예수님은 그 율법 교사의 질문에 직접 답을 주지 않으시고, 그가 붙들고 있는 율법이 어떻게 말하는지 되물으십니다. 율법 교사는 기다렸다는 듯이, 신명기 6:5과 레위기 19:18로 대답했습니다. 율법 교사는 율법을 지키면 영생을 얻는다는 답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그의 대답이 옳다고 하심으로 동의하시는듯한 모습을 보이십니다. 하지만 하나님을 향한 사랑은 둘째 치고라도 이웃에게 도무지 사랑을 베풀 능력이 없는 우리에게 이는 너무나 공허하고 의미 없는 답입니다. 예수님은 이 사실을 잘 알고 계셨습니다. 이 안타까운 사실 때문에 예수님이 우리에게 참된 이웃이 되셔서 영생을 얻는 사랑을 베풀어 주신 것입니다.
내 이웃은 누구인가(29~37절)
율법 교사는 예수님이 자신을 인정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자기를 더욱 드러내고자 “내 이웃이 누구입니까?”라고 질문했습니다. 예수님은 이번에도 직접 답을 주지 않고 비유로 말씀하십니다. 이 비유에 강도를 만난 사람이 등장하는데, 제사장과 레위인은 그를 돕지 않고 피했지만, 사마리아 사람은 그를 불쌍히 여겨 선을 베풀었습니다. 예수님은 율법 교사에게 누가 강도 만난 자의 이웃이 되겠느냐고 물으심으로, 자비를 베푼 사람이 강도 만난 사람의 이웃이 된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하십니다. 율법 교사는 유대인들 가운데 율법의 기준에 따라 자신의 이웃이 정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우리가 선을 베풀 때 그 대상이 그 누구든 우리의 이웃이 된다고 말씀하십니다. 이웃의 범위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확장돼 가는 유동적인 것임을 알려 주신 것입니다. 예수님이 걸어가시는 십자가의 길은 모든 사람에게 참된 이웃이 되어 주시는 길입니다. 성도는 주님의 뒤를 따라 많은 사람에게 이웃이 되어 주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마르다와 마리아(38~42절)
예수님 일행이 마르다와 마리아의 집에 머물게 되었습니다. 마르다는 예수님 일행을 대접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였습니다. 그런데 동생 마리아는 마르다를 돕지 않고, 예수님 곁에서 말씀을 듣고 앉아만 있었습니다. 마르다는 동생이 자신을 돕는 것이 마땅하다고 여겨 예수님께 마리아가 그렇게 하도록 말씀해주시기를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마리아가 좋은 편을 택했다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그저 당신의 일을 맡아 할 일꾼으로 부르신 것이 아닙니다. 주님의 말씀을 듣고 주님과 동행할 사람들로 부르셨습니다. 다른 모든 것보다 중요한 일이 바로 이것입니다. 예수님과 동행하는 것을 택한 사람은 가장 좋은 것을 택한 사람입니다.
우리의 구원은 율법을 지키는 것이나, 어떤 선한 일을 행하는 것에 달려 있지 않습니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만나고 그분의 도우심을 입는 것에 달려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만이 우리에게 영생을 주실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말씀을 따르고 그분과 교제하며 주님의 사랑을 많은 사람에게 베푸는 성도가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