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옛 이스라엘과 새 이스라엘_누가복음 7:36-50

36 한 바리새인이 예수께 자기와 함께 잡수시기를 청하니 이에 바리새인의 집에 들어가 앉으셨을 때에

37 그 동네에 죄를 지은 한 여자가 있어 예수께서 바리새인의 집에 앉아 계심을 알고 향유 담은 옥합을 가지고 와서

38 예수의 뒤로 그 발 곁에 서서 울며 눈물로 그 발을 적시고 자기 머리털로 닦고 그 발에 입맞추고 향유를 부으니

39 예수를 청한 바리새인이 그것을 보고 마음에 이르되 이 사람이 만일 선지자라면 자기를 만지는 이 여자가 누구며 어떠한 자 곧 죄인인 줄을 알았으리라 하거늘

40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시몬아 내가 네게 이를 말이 있다 하시니 그가 이르되 선생님 말씀하소서

41 이르시되 빚 주는 사람에게 빚진 자가 둘이 있어 하나는 오백 데나리온을 졌고 하나는 오십 데나리온을 졌는데

42 갚을 것이 없으므로 둘 다 탕감하여 주었으니 둘 중에 누가 그를 더 사랑하겠느냐

43 시몬이 대답하여 이르되 내 생각에는 많이 탕감함을 받은 자니이다 이르시되 네 판단이 옳다 하시고

44 그 여자를 돌아보시며 시몬에게 이르시되 이 여자를 보느냐 내가 네 집에 들어올 때 너는 내게 발 씻을 물도 주지 아니하였으되 이 여자는 눈물로 내 발을 적시고 그 머리털로 닦았으며

45 너는 내게 입맞추지 아니하였으되 그는 내가 들어올 때로부터 내 발에 입맞추기를 그치지 아니하였으며

46 너는 내 머리에 감람유도 붓지 아니하였으되 그는 향유를 내 발에 부었느니라

47 이러므로 내가 네게 말하노니 그의 많은 죄가 사하여졌도다 이는 그의 사랑함이 많음이라 사함을 받은 일이 적은 자는 적게 사랑하느니라

48 이에 여자에게 이르시되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시니

49 함께 앉아 있는 자들이 속으로 말하되 이가 누구이기에 죄도 사하는가 하더라

50 예수께서 여자에게 이르시되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으니 평안히 가라 하시니라

7장은 이렇게 요약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이방의 권세보다 높으시고(1~10절), 백성의 아픔을 돌아보시며(11〜17절), 선지자들이 예언했던 일들을 이루시는 그리스도시다(18〜23절). 그러나 유대인들은 예수님이 자기들의 기대와 달랐기에 믿지 않았다(24〜35절). 예수님은 그들의 기대와는 다른 하나님 나라를 도래하게 하신다(36〜50절).’

죄인으로 낙인찍기(36~39절)

이 이야기에는 바리새인과 죄를 지은 여자, 그리고 예수님이 등장합니다. 바리새인은 유대인의 기존질서를 상징합니다. 예수님이 바리새인의 집에 초대받아 들어가신 것은 유대인의 질서 안에서 사역하셨던 것을 나타냅니다(36절). 그런데 여기에 죄를 지은 한 여자가 등장하는데, 누가는 이 여인의 행동을 매우 자세하게 기록함으로써 그 행동이 간절함과 진심에서 우러나온 것임을 보여 줍니다. 분명 이 여인은 과거의 잘못을 부끄러워하며, 그리스도 앞에서 자신을 낮추고 섬기려 하고 있습니다(37~38절). 그러나 유대교의 기존질서를 상징하는 바리새인은 그리스도는 죄를 지은 여인의 섬김을 받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39절). 아무리 전심으로 뉘우쳐도 과거의 죄로 인한 낙인은 지워지지 않는 것이 유대교의 질서였고, 그들은 이 질서를 더욱 공교하게 해 줄 그리스도를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사랑받는 자와 사랑하는 자(40~47절)

예수님의 비유에서 두 가지를 주목해야 합니다. 첫째는 ‘빚이 없는 자와 빚이 있는 자’가 아니라 ‘크게 빚진 자와 작게 빚진 자’의 비교라는 사실입니다(41절). 사실 유대인이라고 해서 죄가 없는 것은 아닌데, 유대인들은 자기들이 죄를 ‘적게’ 지었기에 구원을 얻고, 이방인들은 죄를 ‘많이’ 지었기에 멸망 당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오십보백보’의 문제일 뿐입니다. 둘째는 예수님이 “누가 더 사랑받았느냐?”라고 묻지 않으시고 “누가 더 사랑하겠느냐?”라고 물으셨다는 사실입니다(42절). 유대인은 자기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받은 민족이라 으스댔지만, 예수님은 정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하나님을 사랑하는 데 있음을 밝히십니다. 유대인이 날마다 암송하는 쉐마본문(신 6:4〜5)은 “하나님을 사랑하라”고 명령하지만, 정작 그들은 하나님께 사랑을 받는 것에만 관심을 갖고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바리새인 시몬이 이 여인만큼 예수님을 사랑하지 않았음을 밝히십니다(44〜47절). 우리가 참된 하나님의 백성이라면 받은 은혜에 감사하며 어떻게 하나님을 사랑할 것인가에 마음을 쏟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권능을 가진 분(48~50절)

예수님은 이 여인에게 죄 사함을 선포하심으로써 당신께서 하나님 나라의 통치자이심을 드러내십니다(48절). 사람들은 예수님의 이 선언을 듣고 “이가 누구이기에?”라고 질문했는데, 이는 아직 예수님의 권세를 제대로 알아보지 못했다는 뜻입니다(49절). 결국 하나님 나라의 은혜를 받기에 합당한 사람은 이 여인 외에는 없었습니다. 예수님은 이 여인에게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라고 말씀하시며, 구원의 유일한 조건이 바로 믿음임을 밝히셨습니다. 혈통이나 직분이나 사회적 지위, 지금까지 쌓아온 업적이 구원으로 이끌지 못합니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님을 믿을 때에야 영원한 나라를 약속받을 수 있습니다.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칩니다(롬 5:20). 자신의 죄를 더 많이 깨닫는 자에게 은혜가 더 넘칩니다. 죄를 깨달으면 깨달을수록 죄 용서의 은혜를 체험하게 되고, 그 은혜에 감사해 주님을 더 열렬히 사랑하게 됩니다. 억만 죄를 용서받은 죄인임을 잊지 말고, 뜨겁게 주님을 사랑하십시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6 그가 다윗을 인도하여 내려가니 그들이 온 땅에 편만하여 블레셋 사람들의 땅과 유다 땅에서 크게 약탈하였음으로 말미암아 먹고 마시며 춤추는지라 17 다윗이 새벽부터 이튿날 저물 때까지 그들을 치매 낙타를 타고 도망한 소년 사백 명 외에는 피한 사람이 없었더라 18 다윗이 아말렉 사람들이 빼앗아 갔던 모든 것을 도로 찾고 그의 두 아내를 구원하였고 19

1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사흘 만에 시글락에 이른 때에 아말렉 사람들이 이미 네겝과 시글락을 침노하였는데 그들이 시글락을 쳐서 불사르고 2 거기에 있는 젊거나 늙은 여인들은 한 사람도 죽이지 아니하고 다 사로잡아 끌고 자기 길을 갔더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성읍에 이르러 본즉 성읍이 불탔고 자기들의 아내와 자녀들이 사로잡혔는지라 4 다윗과 그와 함께 한

1 블레셋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군대를 아벡에 모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스르엘에 있는 샘 곁에 진 쳤더라 2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은 수백 명씩 수천 명씩 인솔하여 나아가고 다윗과 그의 사람들은 아기스와 함께 그 뒤에서 나아가더니 3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이 이르되 이 히브리 사람들이 무엇을 하려느냐 하니 아기스가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에게 이르되 이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