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완성 그리고 새로운 시작_출애굽기 40:17-33

17.둘째 해 첫째 달 곧 그 달 초하루에 성막을 세우니라

18.모세가 성막을 세우되 그 받침들을 놓고 그 널판들을 세우고 그 띠를 띠우고 그 기둥들을 세우고

19.또 성막 위에 막을 펴고 그 위에 덮개를 덮으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되니라

20.그는 또 증거판을 궤 속에 넣고 채를 궤에 꿰고 속죄소를 궤 위에 두고

21.또 그 궤를 성막에 들여놓고 가리개 휘장을 늘어뜨려 그 증거궤를 가리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되니라

22.그는 또 회막 안 곧 성막 북쪽으로 휘장 밖에 상을 놓고

23.또 여호와 앞 그 상 위에 떡을 진설하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되니라

24.그는 또 회막 안 곧 성막 남쪽에 등잔대를 놓아 상과 마주하게 하고

25.또 여호와 앞에 등잔대에 불을 켜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되니라

26.그가 또 금 향단을 회막 안 휘장 앞에 두고

27.그 위에 향기로운 향을 사르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되니라

28.그는 또 성막 문에 휘장을 달고

29.또 회막의 성막 문 앞에 번제단을 두고 번제와 소제를 그 위에 드리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되니라

30.그는 또 물두멍을 회막과 제단 사이에 두고 거기 씻을 물을 담으니라

31.모세와 아론과 그 아들들이 거기서 수족을 씻되

32.그들이 회막에 들어갈 때와 제단에 가까이 갈 때에 씻었으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되니라

33.그는 또 성막과 제단 주위 뜰에 포장을 치고 뜰 문에 휘장을 다니라 모세가 이같이 역사를 마치니


성막이 다 세워졌습니다. 성막이 세워진 목적은 제작에 있지 않았습니다. 그다음에 일어날 역사를 위한 것입니다. 새로운 시작입니다. 완성되고 새롭게 시작되는 역사 속에서 우리의 현재 모습을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합니다.


출애굽 이듬해에 성막이 세워졌습니다(17절). 모세는 하나님의 명령을 온전히 따라 성막을 세우고 그 안에 기구들을 비치하는 등 모든 명령을 수행했습니다. 이처럼 우리가 하나님의 명령대로 세운 것에 하나님이 임재하십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대로 행할 때, 하나님은 우리와 함께하십니다. 그리고 우리가 생각지도 못했던 권능과 영광으로 우리의 시간과 공간을 풍성하게 채우십니다.


받침 위에 널판과 기둥을 세웁니다. 그 위에 덮개를 덮어 성막의 틀을 완성합니다(18-19절). 이 과정은 이스라엘이 이동할 때마다 계속 반복되었습니다. 솔로몬의 성전이 봉헌되는 순간까지 바뀌지 않고 시행되었습니다. 만약 이스라엘이 상황과 필요에 의해 어떤 순서를 생략하거나 약식으로 진행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요? 아마도 하나님이 임재하지 않으셨을 것입니다. 하나님의 명령대로 세워지지 않은 곳은 결코 성막이 될 수 없습니다.


성막의 궤에 증거판을 담고 채를 꿰어 놓습니다. 이 궤 위에는 속죄소를 올려놓습니다(20-21절). 증거판은 하나님 백성이 따라야 할 지침을 하나님이 친히 기록해 주신 것입니다.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속죄소가 그 위에 덮임으로써, 우리의 모든 삶이 하나님의 주관하에 있음이 상징적으로 드러납니다. 하나님 뜻대로 행한다고 해서 그것을 자신의 공로로 여겨서는 안 됩니다. 순종하게 하시는 것도 하나님의 은혜요 역사입니다.


진설병을 진설하고 등잔대를 제 위치에 놓아 불을 켭니다. 금 향단도 제자리에 놓고 향을 사릅니다. 휘장을 달고 번제단을 설치해 번제와 소제를 드립니다(23-29절). 하나님이 정하신 대로 모든 일이 진행되었습니다. 형식주의에 빠져서는 안 되지만, 형식을 무시해서도 안 됩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만드신 형식을 따르며 그 안에 담긴 하나님의 뜻을 이해하고 분별해야 합니다.


모세와 아론 그리고 아론의 아들들이 수족을 씻고 회막에 들어가 제단에 나아갑니다(30-32절). 성막을 세우고 모든 기구를 정렬하며 제사를 드린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하나님을 만나기 위해서였습니다. 여전히 신앙 공동체가 가장 중요시해야 하는 목적이 이것입니다. ‘하나님과의 만남” 하나님을 만나지 못하면 이 모든 것이 무의미합니다.


휘장을 다는 것으로 역사가 완성됩니다(33절). 이것은 성막제작 역사(work)의 마침입니다. 이제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어 이스라엘의 역사(history)로 남을 것입니다. 우리 삶에도 하나님이 역사(work)하십니다. 그것은 그 자체로 끝나지 않고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낼 것입니다. 아름담고 견고한 신앙의 역사(history)를 써 나가시기를 기원합니다. 멈추거나 정체되지 말고,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의 능력에 의지하여 하루하루 십자가로 나아가십시오.


신앙에 마침표는 없습니다. 마지막 날에 주님 앞에 서는 순간까지 그 여정은 수많은 역사의 반복입니다. 그러므로 성도가 어느 지점에서 멈추고 만족한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역사가 아닌 자신의 자서전으로끝나고 말 것입니다. 우리가 어떤 특별한 일을 이뤘다면, 거기서 멈추지 말고 하나님이 보여 주시는 또다른 일로 달려가십시오.

1 view

Recent Posts

See All

1 다윗이 그 마음에 생각하기를 내가 후일에는 사울의 손에 붙잡히리니 블레셋 사람들의 땅으로 피하여 들어가는 것이 좋으리로다 사울이 이스라엘 온 영토 내에서 다시 나를 찾다가 단념하리니 내가 그의 손에서 벗어나리라 하고 2 다윗이 일어나 함께 있는 사람 육백 명과 더불어 가드 왕 마옥의 아들 아기스에게로 건너가니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저마다 가족을 거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