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욥의 예배_욥기 1:13-22

13 하루는 욥의 자녀들이 그 맏아들의 집에서 음식을 먹으며 포도주를 마실 때에

14 사환이 욥에게 와서 아뢰되 소는 밭을 갈고 나귀는 그 곁에서 풀을 먹는데

15 스바 사람이 갑자기 이르러 그것들을 빼앗고 칼로 종들을 죽였나이다 나만 홀로 피하였으므로 주인께 아뢰러 왔나이다

16 그가 아직 말하는 동안에 또 한 사람이 와서 아뢰되 하나님의 불이 하늘에서 떨어져서 양과 종들을 살라 버렸나이다 나만 홀로 피하였으므로 주인께 아뢰러 왔나이다

17 그가 아직 말하는 동안에 또 한 사람이 와서 아뢰되 갈대아 사람이 세 무리를 지어 갑자기 낙타에게 달려들어 그것을 빼앗으며 칼로 종들을 죽였나이다 나만 홀로 피하였으므로 주인께 아뢰러 왔나이다

18 그가 아직 말하는 동안에 또 한 사람이 와서 아뢰되 주인의 자녀들이 그들의 맏아들의 집에서 음식을 먹으며 포도주를 마시는데

19 거친 들에서 큰 바람이 와서 집 네 모퉁이를 치매 그 청년들 위에 무너지므로 그들이 죽었나이다 나만 홀로 피하였으므로 주인께 아뢰러 왔나이다 한지라

20 욥이 일어나 겉옷을 찢고 머리털을 밀고 땅에 엎드려 예배하며

21 이르되 내가 모태에서 알몸으로 나왔사온즉 또한 알몸이 그리로 돌아가올지라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 하고

22 이 모든 일에 욥이 범죄하지 아니하고 하나님을 향하여 원망하지 아니하니라

사탄은 잔인하고 무자비하게 욥을 공격했습니다. 단번에 욥이 가진 모든 것을 없애 버렸습니다. 그러나 욥은 소유하고 있던 모든 것을 잃어버린 순간에 자신이 진실로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임을 드러냈습니다.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을 예배하는 모범을 오늘 본문에서 볼 수 있습니다.

욥에게 찾아온 재앙(13-19절)

욥과 자녀들은 평안한 일상을 누리고 있었습니다. 욥의 맏아들이 형제자매들을 다 불러 잔치를 즐기고 있던 어느 날이었습니다. 욥에게 첫 번째 재앙이 찾아왔습니다. 그 재앙이란 스바 사람들의 습격이었습니다. 스바 사람들은 훗날 아라비아 남단에 정착한 이들로, 욥의 시대에는 여기저기 다니며 장사를 하던 사람들로 여겨집니다(6:19). 이들은 욥의 소와 나귀를 빼앗고 종들을 죽였습니다. 두 번째 재앙은 자연재해로 발생했습니다. ‘하나님의 불’이 양과 종들을 불태워 버린 것입니다. 세 번째 재앙은 갈대아 사람들의 습격이었습니다. 갈대아 사람들은 티그리스강 주변에 거주했던 이들로, 족장 시대에는 여러 지역을 떠돌아다니며 부랑 생활을 했습니다. 이들은 욥의 낙타를 모두 빼앗고 종들을 죽였습니다. 마지막 재앙은 함께 모여 있던 욥의 자녀들이 집이 무너지는 바람에 몰살당한 것이었습니다. 첫 번째와 세 번째 재앙은 사람들로부터 온 재앙이고, 두 번째와 네 번째 재앙은 자연으로부터 온 재앙입니다. 고대 근동에서 숫자 4는 완전함을 상징했습니다. 즉 네 재앙은 욥이 당한 일이 완전한 비극, 총체적 시련임을 암시합니다. 특히 자녀들의 죽음은 그를 죽음보다 더한 고통으로 몰아넣었을 것입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극심한 시련을 허락하실 때가 있습니다. 그 시련은 우리와 하나님의 관계성을 증명하는 계기가 됩니다. 모든 것을 잃는다 해도 하나님과의 관계만은 잃지 않고, 오히려 더욱 견고하게 붙잡으시길 기도합니다.

욥의 예배(20-22절)

폭풍처럼 찾아온 재앙의 소식들을 듣고 있던 욥은 자녀들의 죽음 앞에서는 더 이상 앉아 있지 못했습니다. 그는 일어나 자신의 겉옷을 찢고 머리털을 밀었습니다. 그리고 땅바닥에 엎드려 하나님을 예배했습니다. 여기서 예배했다는 표현은 경배했다는 의미입니다. 그는 엄청난 재앙을 당하고도 하나님 앞에 엎드렸습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욥의 말을 살펴보면, 그가 평소에 자기 소유를 어떻게 여기고 있었는지 드러납니다. 그는 자신이 소유한 모든 것은 하나님이 허락하신 것이었다고 고백합니다. 그는 자기 소유물을 우상으로 삼지 않았습니다. 오로지 모든 주권을 가지신 하나님만을 궁극적 경배의 대상으로 섬겼습니다. 모든 주권이 하나님께 있다는 사실을 평소에 마음 깊이 인정하며 살았기에, 이러한 엄청난 재앙 앞에서도 그 마음이 흔들리지 않았던 것입니다. 하나님을 원망하는 죄를 짓지 않으려면 얼마나 견고하고 진실한 믿음이 필요한지 알 수 있습니다.

욥이 절망 속에서 드린 경배는 예배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잘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것이 예배입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삶이 곧 예배가 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의 모습입니다. 자기 소유에 대한 권리뿐만 아니라 자신의 인생 자체에 대한 권리가 주님께 있음을 인정하는 것, 이것이 예배입니다.

욥은 너무나도 사랑했던 자녀들을 잃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슬픔이 분노나 원망으로 바뀌지는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것이 하나님의 것임을 인정하는 믿음이 그에게 굳건히 뿌리 박혀 있었기 때문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받은 성도의 믿음도 이와 같아야 합니다. 구원이 오직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온 것이며, 삶의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임을 기억하십시오. 이것이 예배하는 삶입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 블레셋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군대를 아벡에 모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스르엘에 있는 샘 곁에 진 쳤더라 2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은 수백 명씩 수천 명씩 인솔하여 나아가고 다윗과 그의 사람들은 아기스와 함께 그 뒤에서 나아가더니 3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이 이르되 이 히브리 사람들이 무엇을 하려느냐 하니 아기스가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에게 이르되 이는

15 사무엘이 사울에게 이르되 네가 어찌하여 나를 불러 올려서 나를 성가시게 하느냐 하니 사울이 대답하되 나는 심히 다급하니이다 블레셋 사람들은 나를 향하여 군대를 일으켰고 하나님은 나를 떠나서 다시는 선지자로도, 꿈으로도 내게 대답하지 아니하시기로 내가 행할 일을 알아보려고 당신을 불러 올렸나이다 하더라 16 사무엘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너를 떠나 네 대적

1 그 때에 블레셋 사람들이 이스라엘과 싸우려고 군대를 모집한지라 아기스가 다윗에게 이르되 너는 밝히 알라 너와 네 사람들이 나와 함께 나가서 군대에 참가할 것이니라 2 다윗이 아기스에게 이르되 그러면 당신의 종이 행할 바를 아시리이다 하니 아기스가 다윗에게 이르되 그러면 내가 너를 영원히 내 머리 지키는 자를 삼으리라 하니라 3 사무엘이 죽었으므로 온 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