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욥이 대답하여 이르되
2 나의 괴로움을 달아 보며 나의 파멸을 저울 위에 모두 놓을 수 있다면
3 바다의 모래보다도 무거울 것이라 그러므로 나의 말이 경솔하였구나
4 전능자의 화살이 내게 박히매 나의 영이 그 독을 마셨나니 하나님의 두려움이 나를 엄습하여 치는구나
5 들나귀가 풀이 있으면 어찌 울겠으며 소가 꼴이 있으면 어찌 울겠느냐
6 싱거운 것이 소금 없이 먹히겠느냐 닭의 알 흰자위가 맛이 있겠느냐
7 내 마음이 이런 것을 만지기도 싫어하나니 꺼리는 음식물 같이 여김이니라
8 나의 간구를 누가 들어 줄 것이며 나의 소원을 하나님이 허락하시랴
9 이는 곧 나를 멸하시기를 기뻐하사 하나님이 그의 손을 들어 나를 끊어 버리실 것이라
10 그러할지라도 내가 오히려 위로를 받고 그칠 줄 모르는 고통 가운데서도 기뻐하는 것은 내가 거룩하신 이의 말씀을 거역하지 아니하였음이라
11 내가 무슨 기력이 있기에 기다리겠느냐 내 마지막이 어떠하겠기에 그저 참겠느냐
12 나의 기력이 어찌 돌의 기력이겠느냐 나의 살이 어찌 놋쇠겠느냐
13 나의 도움이 내 속에 없지 아니하냐 나의 능력이 내게서 쫓겨나지 아니하였느냐
엘리바스의 말을 들은 욥은 자신의 마음을 담아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욥은 엘리바스의 말을 듣고 자신이 왜 탄식할 수밖에 없는지를 항변합니다. 그리고 다시 한번 죽는 것이 나을 것 같다는 탄식을 내뱉습니다.
탄식하는 이유(1-7절)
욥은 엘리바스의 확신에 찬 권면을 듣고 대답합니다. 자신의 괴로움과 고통이 얼마나 큰지를 말하고 있습니다. 그 고통의 무게 때문에 자신은 이와같이 말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입니다. 욥은 하나님의 징계를 견딜 수가 없었음을 고백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입술을 통해 나오는 고백이 들나귀의 울음과 소의 울음처럼 너무도 당연하다고 말합니다. 소금이 없이 싱거운 것을 먹을 수 없고, 달걀 흰자위가 아무런 맛이 없는 것처럼 고난 앞에서 자신의 탄식은 너무도 당연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타인의 고난을 나의 작은 불편함보다 못하게 여기는 것이 우리의 타락한 본성입니다. 욥은 친구들이 자신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이해해주기를 바랐지만 엘리바스의 대답에 그 바람이 무참히 무너졌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고통이 얼마나 큰지를 다시 한번 토로합니다. 고난 앞에서 인간은 누구도 강하지 않음을 드러내며, 신음소리 같은 자신의 탄식을 꾸짖는 친구의 권면을 거부합니다. 욥의 고백에서 알 수 있듯이 사람들은 마땅한 징계라 해도 그 징계를 감당할 능력이 없습니다. 그리고 고난 앞에서 탄식을 내뱉고 슬픔의 눈물을 흘리는 것은 당연함을 알아야 합니다. 능력 없음과 탄식을 참는 것이 믿음이 아닙니다. 믿음은 이러한 연약함을 가지고 예수 그리스도께 나아가는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고난을 아십니다. “우리에게 있는 대제사장은 우리의 연약함을 동정하지 못하실 이가 아니요 모든 일에 우리와 똑같이 시험을 받으신 이로되 죄는 없으시니라”(히 4:15).
고통 가운데 있는 읍의 소원(8-13절)
욥은 자신의 고통의 무게를 전혀 깨닫지 못하는 엘리바스의 권면을 거부합니다. 그리고 그의 얼굴을 하나님께로 돌립니다. 하나님의 손으로 자신을 거두어 달라고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자신이 무언가를 결단하고 행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결판을 보겠다는 것이 아닙니다. 그는 하나님 앞에 자신의 소원을 아뢰고 있습니다. 자신은 이 고통과 고난을 견딜 수 없으니 하나님의 손으로 자신의 삶을 끝내주시기를 간구합니다. 그는 자신의 온 힘을 다해 하나님을 경외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기 위해 살아왔기에 하나님이 자신의 삶을 거두어 주신다면 그것을 당연히 받아들이겠다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욥은 그렇게 자신의 심경을 다시 한번 토로합니다. 그리고 엘리바스의 권면에 대해 자신은 징계라고 말하는 이 고난을 견딜 수 있는 힘이 없다고 고백합니다. 기다리고 참는 일도 감당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욥은 자신의 의로움을 자랑하거나 자신이 당하는 고난의 부당함을 토로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는 자신의 삶의 무게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다는 탄식과 함께 죽음을 통해 하나님이 자신을 구원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안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결과로 쉽게 판단합니다. 보이지 않았던 과정까지도 결과로 판단합니다. 욥이 고난을 당하자 엘리바스는 욥이 죄를 지었다고 단정 지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잘못된 판단이었습니다. 욥은 온 힘을 다해 하나님을 경외하고 말씀을 지키며 살아왔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손에 자신을 맡기고 고통 가운데서도 기뻐한다는 놀라운 고백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성도는 모든 삶의 과정으로 하나님 앞에 서게 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러면 고통 가운데서도 오직 하나님의 구원하심을 바라보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