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그런즉 내가 내 입을 금하지 아니하고 내 영혼의 아픔 때문에 말하며 내 마음의 괴로움 때문에 불평하리이다
12 내가 바다니이까 바다 괴물이니이까 주께서 어찌하여 나를 지키시나이까
13 혹시 내가 말하기를 내 잠자리가 나를 위로하고 내 침상이 내 수심을 풀리라 할 때에
14 주께서 꿈으로 나를 놀라게 하시고 환상으로 나를 두렵게 하시나이다
15 이러므로 내 마음이 뼈를 깎는 고통을 겪느니 차라리 숨이 막히는 것과 죽는 것을 택하리이다
16 내가 생명을 싫어하고 영원히 살기를 원하지 아니하오니 나를 놓으소서 내 날은 헛 것이니이다
17 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크게 만드사 그에게 마음을 두시고
18 아침마다 권징하시며 순간마다 단련하시나이까
19 주께서 내게서 눈을 돌이키지 아니하시며 내가 침을 삼킬 동안도 나를 놓지 아니하시기를 어느 때까지 하시리이까
20 사람을 감찰하시는 이여 내가 범죄하였던들 주께 무슨 해가 되오리이까 어찌하여 나를 당신의 과녁으로 삼으셔서 내게 무거운 짐이 되게 하셨나이까
21 주께서 어찌하여 내 허물을 사하여 주지 아니하시며 내 죄악을 제거하여 버리지 아니하시나이까 내가 이제 흙에 누우리니 주께서 나를 애써 찾으실지라도 내가 남아 있지 아니하리이다
하나님을 경외하며 경건하게 살아왔던 욥은 입으로 하나님 앞에서 범죄하지 않았습니다(1:22). 지금까지 하나님을 원망하지도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제 하나님 앞에서 원망을 시작합니다. 극심한 고난과 극한의 고통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그는 하나님을 원망하며 호소합니다.
불평하기로 결심하다(11-16절)
욥의 탄식은 이제 하나님을 향해 강하게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하나님을 원망하거나 입으로 범죄하지 않았던 욥은 이제 더 이상 자신의 입을 금하지 않겠다고 선언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영혼이 아프고 마음이 괴로우므로 불평하겠다고 선포합니다. 욥은 자신에게 가해진 이 고난이 부당하다고 하나님께 항변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바다나 바다의 괴물처럼 취급받고 있으며, 하나님이 자신을 감시하고 있다고 토로합니다. 자신이 조금이라도 쉬려고 눕기라도 하면 하나님이 꿈속에서조차 자신에게 고통을 주시고 놀라게 하신다고 원망하고 있습니다. 욥이 친구들 앞에서 처음 탄식할 때부터 간절히 원했던 것은 하나님이 자신의 생명을 그만 끊어 주시는 것이었습니다. 욥은 견딜 수 없는 고통 속에서 다시 한번 자신을 죽여 달라고 하나님께 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는 스스로 생명을 끝내거나 결정짓지 않습니다. 그는 오직 하나님 앞에 나아가고 있습니다.
분명히 하나님을 원망하는 것은 선한 행위가 아닙니다. 그럼에도 하나님 앞에 자신의 원망과 불평을 가지고 나아가는 사람은 은혜 안에 거하는 사람입니다.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오라 우리가 서로 변론하자 너희의 죄가 주홍 같을지라도 눈과 같이 희어질 것이요 진홍같이 붉을지라도 양털같이 희게 되리라”(사 1:18)는 말씀을 기억합시다. 괴롭고 고통스러울 때 그 모든 것을 가지고 하나님 앞에 나아가 토로하는 것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원하시는 일입니다.
나를 죽여 주소서(17-21절)
이제 욥은 하나님이 자신에게 관심을 두시고 간섭하시는 것 자체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17-18절의 탄식은 시편 8:4-5을 차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하나님이 사람을 크게 만드시고 사람에게 관심을 보이시고 아침마다 권징하시며 매 순간 연단하시는 것이 싫다고 고백합니다. 하나님이 자신을 지켜보시며 놓지 않으셔서 너무 답답하고 갑갑하다고 소리 지르고 있습니다. 이처럼 사람을 감찰하고 감시하시는 것 같은 하나님을 향해 자신의 범죄가 도대체 얼마나 크기에 자신을 이토록 괴롭히시냐고 따지고 있습니다. 자신에게 죄의 대가를 혹독하게 찾으려 하신다면 자신은 이제 흙에 누워 흙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이제 죽게 될 것이라고 하나님께 강력하게 울부짖고 있습니다.
시편 8편의 시인은 하나님의 돌보심과 인도하심을 기뻐하며 찬양했습니다. 하지만 극심한 고통 가운데 괴로워하는 욥은 자신의 인생에 간섭하시는 하나님에게서 벗어나고 싶다고 소리치고 있습니다. 자신을 제발 내버려 두라는 욥의 태도는 급기야 자신이 지은 죄가 하나님께 무슨 해가 된다고 이렇게 큰 죗값을 치러야 하느냐고 따지는 데까지 이르게 됩니다. 욥의 이러한 태도와 발언은 분명히 불평과 원망입니다. 그가 한 말들은 불경하다고 여기기에 충분할 정도입니다. 그러나 그의 불평과 원망은 여전히 그가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임을 나타냅니다. 모든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 달라고 하나님께 간절히 매달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살다 보면 이제껏 쌓아왔던 믿음이 무색해질 정도로 우리를 무너뜨리는 고난의 순간이 있습니다. 그 순간에도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을 잊어버리면 안 됩니다. 겟세마네에서 간절히 기도하신 예수님처럼 고난이 사라지지 않더라도 인내하며 하나님께 부르짖으며 나아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