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응답받는 기도_마태복음 15:21-28

21.예수께서 거기서 나가사 두로와 시돈 지방으로 들어가시니

22.가나안 여자 하나가 그 지경에서 나와서 소리 질러 이르되 주 다윗의 자손이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내 딸이 흉악하게 귀신 들렸나이다 하되

23.예수는 한 말씀도 대답하지 아니하시니 제자들이 와서 청하여 말하되 그 여자가 우리 뒤에서 소리를 지르오니 그를 보내소서

24.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나는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 외에는 다른 데로 보내심을 받지 아니하였노라 하시니

25.여자가 와서 예수께 절하며 이르되 주여 저를 도우소서

26.대답하여 이르시되 자녀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하지 아니하니라

27.여자가 이르되 주여 옳소이다마는 개들도 제 주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를 먹나이다 하니

28.이에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여자여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 하시니 그 때로부터 그의 딸이 나으니라

믿음과 사랑, 소망은 신앙생활의 3대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기도에도 이 원리는 그대로 적용됩니다. 어떤 대상을 향한 사랑으로 간절히 소망하는 것을, 믿을 수 있는 주님께 아뢰는 것이 기도입니다. 오늘 본문에서는 응답받는 기도의 원리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1. 사랑으로 드리는 간절한 기도

가나안 여자가 자기 딸이 흉악하게 귀신들려 고통받고 있다고 예수님을 향해 소리 지르며 따랐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 여인의 부르짖음에 아무런 답도 하지 않으셨습니다. 가나안 여자가 계속 소리를 지르면서 예수님을 따르자, 제자들은 예수님께 그 여자를 보내실 것을 청합니다. 여자가 불편하고 시끄럽고 귀찮았던 것입니다. 그러나 그 여인은 아픈 딸을 가진 엄마였기에 다른 사람들의 눈치와 부정적 반응을 개의치 않았습니다. 오직 예수님이 자신의 딸을 치유해 주셔서 딸이 회복하기만을 소원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이 무슨 취급과 모욕을 당해도 상관없었습니다. “자녀의 떡을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하지 않다”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심한 인격 모욕이었습니다. 이방인을 개에 비유하는 것은 당시 유대인들의 보편적 혐오 정서를 반영합니다. 그러나 그 여인은 모욕을 느낄 여유도 없었습니다. 모욕감을 느끼는 것도 사치였습니다. 이것이 바로 자녀를 향한 부모의 사랑입니다. 성도에게는 멸망의 자리에 있는 영혼을 향한 간절함이 요구됩니다. 영혼 구원을 위한 간절한 기도는 사랑으로 말미암습니다. 전도를 많이 하는 성도들은 복음을 전하는 과정에서 모욕과 비방을 받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영혼에 대한 사랑 때문에 모든 것을 감내하고 결국 그 영혼을 회개시킨다고 합니다. 성도는 우리의 구원을 위해 아들의 생명까지 내어 주신 하나님의 사랑을 품고 영혼 구원을 위해 힘써야 합니다.

2. 주님을 향한 믿음의 기도

예수님이 여인에게 냉정하게 대하시면서 인격적으로 모욕이 되는 심한 말씀을 하신 것은 의도적이었습니다. 그 여자의 반응을 통해 믿음을 보고자 하셨던 것입니다. 여자는“개들도 자기 주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를 먹습니다”라고 대답합니다. 예수님은 여인의 대답을 들으시고는 여자의 믿음이 크다고 칭찬하십니다. 그리고 그녀의 소원대로 될 것임을 선포하셨고 그녀의 딸은 그 순간 귀신으로부터 해방되었습니다. 여인은 자신이 개 취급을 받더라도 예수님을 주인으로 모시며 어떻게 해서든 주님의 은혜에 참여하게 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는 예수님에 대한 여인의 믿음으로 말미암았습니다. 여인은 예수님께 “다윗의 자손이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라고 외쳤습니다. 이는 예수님이 메시야이심을 고백한 것입니다. 유대인들은 예수님을 메시야로 인정하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대적하고 십자가에 못 박았는데, 이방 여인은 예수님이 메시야이심을 믿었습니다. 여인의 믿음으로 말미암은 간절함이 딸을 구원했습니다. 유대 종교지도자들도 종교적 열심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열심이 주 하나님을 향한 믿음으로 말미암지 않았기에 약속하신 메시야가 오셨으나 그를 거부한 것입니다. 성도는 온전한 믿음으로 주님의 계명을 지키며 주님께 칭찬받는 신앙생활을 지속해야 합니다. 가나안 여인처럼 예수님께 큰 믿음을 가졌다고 인정받는 믿음 생활을 해야 합니다.

우리가 기도하지 않는 이유는 주님에 대한 믿음이 약하고, 이웃에 대한 사랑이 식었으며, 간절하게 소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쉬지 말고 기도하라는 주님의 뜻에 순종하기 위해서는 언제나 믿음, 소망, 사랑으로 충만해야 합니다. 성도는 응답받는 기도 생활을 통해 언제나 주님과 동행하는 복된 길을 걸어가야 합니다.

1 view

Recent Posts

See All

16 그가 다윗을 인도하여 내려가니 그들이 온 땅에 편만하여 블레셋 사람들의 땅과 유다 땅에서 크게 약탈하였음으로 말미암아 먹고 마시며 춤추는지라 17 다윗이 새벽부터 이튿날 저물 때까지 그들을 치매 낙타를 타고 도망한 소년 사백 명 외에는 피한 사람이 없었더라 18 다윗이 아말렉 사람들이 빼앗아 갔던 모든 것을 도로 찾고 그의 두 아내를 구원하였고 19

1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사흘 만에 시글락에 이른 때에 아말렉 사람들이 이미 네겝과 시글락을 침노하였는데 그들이 시글락을 쳐서 불사르고 2 거기에 있는 젊거나 늙은 여인들은 한 사람도 죽이지 아니하고 다 사로잡아 끌고 자기 길을 갔더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성읍에 이르러 본즉 성읍이 불탔고 자기들의 아내와 자녀들이 사로잡혔는지라 4 다윗과 그와 함께 한

1 블레셋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군대를 아벡에 모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스르엘에 있는 샘 곁에 진 쳤더라 2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은 수백 명씩 수천 명씩 인솔하여 나아가고 다윗과 그의 사람들은 아기스와 함께 그 뒤에서 나아가더니 3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이 이르되 이 히브리 사람들이 무엇을 하려느냐 하니 아기스가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에게 이르되 이는

bottom of page